최근 수정 시각 : 2024-03-21 20:50:29

박세현(1897)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출생 1897년 3월 6일
경상남도 동래군 기장면 서부리 163
(현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사망 1918년 8월 21일
경상남도 부산부 대신정 630 부산형무소
(현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묘소 미확인
분류: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본관 밀양 박씨
서훈 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2. 생애3. 사후4. 기타

[clearfix]

1. 개요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호는 관양觀洋이다.[1]

2. 생애

1897년 경상남도 동래군東萊郡 기장면機長面 서부리西部里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2]

1913년 기장면 동부리에 설립한 여학교 명정의숙明貞義塾의 교장으로 부임하여 여성 계몽과 후진 양성에 매진했다.[3][4]

1914년 기장보통학교 국어교사 박우돌朴又突과 함께 애국가를 만들어 비밀리에 학생들에게 가르쳤다. ‘꿈을 깨세’ 또는 숙가塾歌로도 알려진 노래는 시간이 지나면서 기장군민 사이에 퍼져 나갔다.[5][6]
애국의 노래
작사 박우돌(1914년)

꿈을 깨세 꿈을 깨세 얼른 꿈깨서
어하우리 學徒학도들아 얼른 꿈 깨서
들었나 못들엇나 저새소리
處處처처에서 지직이고 햇빛이 비치네
들려오네 들려온다 文明문명의 鐘소리
歐洲구주에서 美洲미주에서 日本일본에서도
學徒들아 學徒들아 靑年청년學徒들아
우리들도 꿈을 깨고 얼른 배아서
寤寐不忘國權回復오매불망국권회복 成就성취하고서
世界列强세계열강 대열속에 前進전진해보세
기장군: 기장사람들 주요소식, '비문에 새겨진 기장 3‧1운동 주역들, 독립운동사'

1914년 김약수·박우돌·이오은李五殷·김철수 등과 함께 항일단체인 기장광복회機張光復會를 조직했다. 이때 박세현은 총무를 맡아 독립운동을 후원하기 위한 군자금 모집과 항일문서 인쇄를 주도했다.[7][8]

1917년 기장광복회 조직이 일경에 발각되었다. 회장인 김약수는 피신헸으나, 박세현은 체포되어 취조를 당했다. 2년후 기장 지역에서 일어난 만세 운동에서 광복회 조직원들이 다시 등장한 점에서 취조 당시 박세현은 동지들의 명단을 함구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후 유죄판결을 받고 부산형무소에 수감되었다.[9][10][11][12]

1918년 8월 고문의 후유증으로 옥중에서 사망했다.[13]

3. 사후

1993년 광복 48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정부는 독립운동가 230명에 대한 서훈을 발표하였고 박세현 등 68명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14][15]

4. 기타

  • 박세현은 기장보통학교의 첫번째 졸업생이었고, 명정의숙의 교장으로서 첫번째 졸업생을 배출했다.[16][17]
  • 명정의숙은 초대 기장면장 권상중權商重과 지역 유지들이 1910년에 설립한 민족 학당이다.[18]
  • 명정의숙 학생들은 1919년 기장 지역에서 일어난 만세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19][20]
  • 명정의숙 교장으로 재임하면서 제작에 참여한 '애국의 노래'는 1980년대에 다시 세상에 공개되었다. 다만 음은 유실되었고 가사만 전승되었다.[21]
  • 박세현의 사촌 동생 박세용朴世用은 일제 강점기 부산과 일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22]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의 자료에는 박세현의 출생일을 3월 6일, 부친의 성명은 박지수朴芝洙로 기재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의 자료에는 출생일을 8월 3일, 부친의 성명은 박재하朴載廈로 기재하고 있다.[23][24]

[1]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세현(朴世鉉)'[2]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박세현'[3]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세현(朴世鉉)' 재인용[4]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박세현' 재인용[5] '뜨거운 항일투쟁 의지 뒤늦은 햇빛 `二題`-박세현지사 재조명', 부산일보 1998.08.15[6]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세현(朴世鉉)' 재인용[7] 공훈전사사료관, '박세현朴世鉉'[8]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박세현' 재인용[9] 공훈전사사료관, '박세현朴世鉉'[10]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세현(朴世鉉)' 재인용[11]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기장광복회'[12]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기장면 3·1 운동'[13] 공훈전사사료관, '박세현朴世鉉' 재인용[14] '독립有功(유공) 2百(백)30명 서훈', 동아일보 1993.08.13[15] '독립유공 포상자 명단', 조선일보 1993.08.13[16]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세현(朴世鉉)' 재인용[17] '뜨거운 항일투쟁 의지 뒤늦은 햇빛 `二題`-박세현지사 재조명', 부산일보 1998.08.15 재인용[18]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명정의숙'[19]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명정의숙' 재인용[20]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기장면 3·1 운동' 재인용[21] '애국가보다 20년 앞선 '애국의 노래'의 재탄생', 헬로tv뉴스 2023.06.07[22]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박세용'[23]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세현(朴世鉉)' 재인용[24]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박세현'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