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혜원의 수상 이력 | ||||||||||||||||||||||||||||||||||||||||||||||||||||||||||||||||||||||||
|
<colbgcolor=#66ccff,#141425><colcolor=#ffffff> 박혜원 朴慧園 | Park Hyewon | |
출생 | 1983년 8월 15일 ([age(1983-08-15)]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목일중학교 세화여자고등학교 한국체육대학교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주종목 | 1000m, 1500m |
신체 | 164cm, 57kg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며,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여자 계주에서 금메달을 일군 4명의 낭자 중 하나다.2. 선수 경력
홍대부속초등학교 4학년 때 집 근처의 목동 아이스링크에 놀러갔다가 스케이팅 레슨을 받던 친구를 보고 부모님을 졸라 스케이트를 처음 신었던 박혜원은 10년 만에 금메달을 목에 거는 영광을 안았다. 박혜원은 초등학교 시절에는 스피드 스케이팅을 병행했으나, 목일중학교에 입학하면서 쇼트트랙에만 전념하게 됐고, 이 후 각종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주목받기 시작했다.중학교 3학년 때인 1998년 5월 국가대표에 발탁됐고 태극마크를 달고 첫 출전한 네덜란드 1차 월드컵 1,500m에서는 중국의 에이스 양양A를 제치는 파란을 일으켰다. 승승장구하던 박혜원도 시련의 시간이 있었다. 그 해 벌어진 헝가리 2차 월드컵에서 경기 도중 영국 선수와 부딪혀 왼쪽 허벅지가 파열되는 부상으로 선수생활 중단 위기까지 갔던 것. 그녀는 이후 국/내외 대회에 거의 출전하지 못했고, 근 1년간을 고통스런 재활의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그러나 1999년 5차 월드컵 3,000m 개인종합 2위와 2000 세계선수권 개인종합 5위를 각각 차지했고 2001 세계선수권에서도 3,000m 계주 2위를 이끌며 부활하였다.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도 3,000m 계주 4번주자로 나섰을 때 특유의 강한 정신력과 노련한 경기운영으로 지난 1994년과 1998년에 이어 올림픽 여자 계주 3연패를 이루는 밑거름이 됐다.
3. 수상 기록
3.1. 주요 국제대회 성적
올림픽 | ||
금메달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3000m 계주 |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02 몬트리올 | 3000m 계주 |
<colbgcolor=#c0c0c0,#444444> 은메달 | 2000 셰필드 | 3000m 계주 |
은메달 | 2000 셰필드 | 1500m |
은메달 | 2001 전주 | 3000m 계주 |
세계 팀선수권 | ||
금메달 | 2002 밀워키 | 단체전 |
은메달 | 2000 헤이그 | 단체전 |
은메달 | 2001 노베야마 | 단체전 |
유니버시아드 | ||
금메달 | 2003 타르비시오 | 3000m 계주 |
3.2. 세계선수권 성적
세계선수권 수상성적 | ||||
대회 | 금 | 은 | 동 | 포디움 |
세계선수권 개인 메달 | 0 | 1 | 0 | 1 |
세계선수권 계주 메달 | 1 | 2 | 0 | 3 |
합계 | 1 | 3 | 0 | 4 |
세계선수권 성적 기록 | |||||||
시즌 | 종합랭킹 | 포인트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 계주 |
2000 | 5위 | 37 | - | 4위 | 은 | 4위 | 은 |
- | 8 | 21 | 8 | - | |||
2001 | 11위 | - | - | - | - | - | 은 |
- | - | - | - | - | |||
2002 | - | - | - | - | - | - | 금 |
세계선수권 성적 종목 통계 | |||||||
메달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 계주 | 합계 |
금 | - | - | - | - | - | 1 | 1 |
은 | - | - | - | 1 | - | 2 | 3 |
동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1 | - | 3 | 4 |
- 국가대표 팀으로 활약한 4시즌 중 3시즌의 세계선수권의 결과 기재. 수상기록이 없거나 세계선수권 참여를 하지 않은 시즌은 기재하지 않음. [1]
3.3. 월드컵 성적
월드컵 수상 기록 | ||||
월드컵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종합 | 0 | 0 | 1 | 1 |
1000 m 랭킹 | 0 | 0 | 1 | 1 |
합계 | 0 | 0 | 2 | 2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종합 | 0 | 1 | 2 | 3 |
1000 m | 0 | 2 | 2 | 5 |
1500 m | 1 | 2 | 1 | 4 |
3000 m | 3 | 2 | 1 | 6 |
개인전 합계 | 4 | 7 | 6 | 17 |
3000 m 계주 | 1 | 3 | 1 | 5 |
메달합계 | 5 | 10 | 7 | 22 |
랭킹 + 메달 합계 | 5 | 10 | 9 | 24 |
월드컵 랭킹[2]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1998-99 | - | - | 22위 | 26위 |
99-2000 | 3위 | 10위 | 3위 | 5위 |
2000-01 | 37위 | - | 23위 | 31위 |
2001-02 | 23위 | - | 14위 | 14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3] |
4. 기타
- 2000-01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 3000m에서 4:42.115를 기록하며 한국신기록
비공인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이는 현재 세계신기록(4:46.983)보다 4.833초나 빠른 기록이지만, 국내대회이기 때문에 세계신기록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1] 세계선수권 결과 기재 : 수상기록이 없는 시즌 결과는 제외, 8위까지의 개인 종목 순위 결과와 포인트의 기록. 2023년 세계선수권 부터는 종합제와 3000 m 슈퍼파이널을 하지 않기 때문에 메달과 순위결과만 기재.[2]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3] 랭킹 표기 : 전체 랭킹기록 15개의 80%인 12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