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9:53:53

반듯이


1. 개요
1.1. 예시
2. 반드시와의 구별법

1. 개요

1. 한국어의 부사중 하나로, 어원은 반듯+ 이이다. 작은 물체 또는 생각이나 행동 따위가 비뚤어지거나 기울거나 굽지 아니하고 바르게 한 것을 말한다.
2. 생김새가 아담하고 말끔하게.

1.1. 예시

  • 원주댁은 반듯이 몸을 누이고 천장을 향해 누워 있었다.
  • 그녀의 시체는 반의 저택에 반듯이 앉은 자세로 안치되어있었다.

2. 반드시와의 구별법

반듯이와 반드시는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표현이다. 반듯이는 바르게라는 의미의지만, 반드시는 틀림없이 꼭 이라는 의미다. 반듯이는 주로 형용사로 사용되지만, 반드시는 주로 부사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