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백승현/선수 경력|백승현/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c30452> | 백승현 관련 문서 Baek Seung Hyeon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마추어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
프로 경력 | ||
| LG 트윈스 LG TWINS | |
2015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질롱 코리아 GEELONG KOREA | |
2019-20 시즌 |
백승현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2024년 | → | 2025년 | → | 2026년 |
1. 개요
백승현의 2025년에 대한 문서.2. 시즌 전
등번호를 18번에서 2023 시즌에 사용하던 61번으로 변경했다.[1]3. 시범경기
4. 페넌트레이스
4.1. 전반기
4.1.1. 3월
3월 23일 개막시리즈 잠실 롯데전 8회 말 5:0으로 앞선 상황에 등판해서 안타와 사사구를 연속으로 내주며 무사 만루를 만들고 내려갔다.이후 김진성이 1실점으로 틀어막으며 자책점을 1점만 가져갔다. 반등해야 하는 시즌의 첫 번째 등판에서 작년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을 보여준 점이 회의적이다. 그나마 위로가 될 만한 점은 작년 140km 중반대에 형성되던 포심 구속이 이날은 150km를 여러 번 마크할 정도로 꽤나 올라간 모습을 보여줬다는 점이다.
3월 28일 창원 NC전에서 김진성이 블론한 다음인 1사 1,2루에서 올라와 삼진 2개로 2사 만루로 이닝을 끝냈고 8회초 1점이 나면서 승리투수가 됐다.
4.1.2. 4월
4월 3일 3-1로 앞선 7회말 2사에서 등판해 강백호를 범타로 잡아내며 홀드를 추가했다. 5-1로 앞선 8회 2사에 주자 2명을 남겨뒀지만 박명근이 실점하지 않으면서 1이닝 무실점.4월 8일 13:1로 앞선 8회말에 등판하였다. 압도적인 점수 차에도 불구하고 시작하자마자 볼넷-볼넷-안타로 무사 만루를 만들며 팬들의 뒷목을 잡게 하였으나, 푸이그를 최원영의 호수비로 아웃시킨 후 삼진-뜬공으로 이닝을 마무리지었다.
불안한 피칭으로 인하여 염경엽 감독은 실망감을 드러냈고 신인 김영우에게 추격조 1순위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4월 13일 9:2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7회초에 등판하였다. 7회에는 선두 타자 안타를 허용했지만, 삼진-뜬공-삼진을 잡아냈다. 8회는 삼자범퇴로 마무리하며, 2이닝 동안 안정적인 피칭을 보여주었다.
4월 16일 삼성전에 등판하여 1이닝동안 탈삼진 두 개를 잡으며 호투했다.
4월 19일 7회말 5:4로 아슬아슬하게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등판했다. 2아웃까지는 안정적으로 잡았지만, 3루수 문보경의 실책으로 출루를 허용했고, 곧바로 안타를 맞았다. 2사 1,3루 상황에서 김영우로 교체되었고, 추가 실점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