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8080>관련 문서 | 인물 · 역사 · 왕조 · 왕비 · 왕릉 · 언어 · 부흥운동 · 후백제 |
관련 틀 | 백제 · 역대 국왕 · 역대 태자 · 역대 왕후 · 제후 및 비정통 국왕 · 시조 · 역대 백제 좌우보 · 역대 상좌평 · 대외전쟁 · 대외관계 · 왕실 · 왕릉 · 도성 및 궁궐 · 틀:마한의 국가 · 백제삼서 · 백제/디자인 · 부흥운동 · 무기 | |
기타 | 대성팔족 · 은제관모장식(백제) · 여·철자형 주거지 · 정읍사 | }}}}}}}}} |
1. 개요
연대 순으로 정리한 백제사 연표.논란이 있을 경우 가장 합리적이거나 통설로 수용된 것을 취하되 이설을 주석 처리한다. 월일까지 기록이 남아있는 경우는 월일까지 기록한다.
2. 건국 이전
3. 건국 이후
3.1. 하남 위례성
*B.C 18 온조왕 백제건국, 하남 위례성에 도읍, 동명묘(東明廟)건립,*B.C 6 북은패하(浿河), 남-웅천(熊川), 동-주양(走壤), 서-대해(大海)까지 영역을 확보했다 함
*B,C 5 서울의 한산(지금의 광주)로 옮김.
*A,D 8 마한 병합(이에 대해서는 이견 존재함.)
*A.D13 국내 민호(民戶)를 남북(南北) 2부로 나눔
*A.D 15 동부(東部)와 서부(西部)를 둠
*A.D 18 탕정성(湯井城)을 쌓고 대두성의 주민을 거주시킴 원산성과 금현성을 수리, 고사부리성(高沙夫里城) 축조
*A.D 28 온조왕 사망, 다루왕 즉위
*A.D 32 남쪽의 주 / 군에 처음 벼농사를 짓게함
*A.D 56 동부에 명하여 우곡성(牛谷城)을 쌓고 말갈에 대비함
*A.D 75 신라 와산성을 함락시킴
*A.D 77 다루왕 사망, 기루왕 즉위
*A.D 85 신라변경을 침공
*A.D 113 신라와 수교함
*A.D 128 기루왕 사망, 개루왕 즉위
*A.D 132 북한산성을 쌓음
*A.D 166 도미와 그의 아내가 고구려로 도망감(도미전설), 개루왕 사망, 초고왕 즉위
*A.D 188 궁전수리, 신라모산성(母山城) 침공
*A.D 210 직현성과 사도성을 축조함
*A.D 214 초고왕 사망, 구수왕 즉위
*A.D 221 한수 서쪽의 군대를 열병함
*A.D 234 구수왕 사망, 사반왕 즉위, 사반왕 나이가 어려 고이왕 즉위
*A.D 242 남택을 개척하여 논을 만들고 벼를 심음
*A.D 246 좌장(左將) 진충(眞忠)을 보내어 낙랑변경 습격
*A.D 260 6좌평(佐平) 16관등(官等)제도 실시하였다고 함
*A.D 262 관인(官人)으로 재물받은 자, 도둑질 한 자는 장물의 3배 징수, 종신금고(終身禁錮)에 처하게 함
*A.D 268 고이왕 사망, 책계왕 즉위, 아단성과 사성 축조
*A.D 298 책계왕 사망, 분서왕 즉위
*A.D 304 낙랑의 서쪽 현(縣)을 빼앗음, 낙랑태수의 자객에게 분서왕 피살됨, 비류왕 즉위
*A.D 327 내신좌평 우복이 북한성에서 반란을 일으킴
*A.D 344 비류왕 사망, 계왕 즉위
*A.D 346 계왕 사망, 근초고왕 즉위
*A.D 369 한수이남 사열, 전군(全軍)이 황색(黃色)깃발 사용
3.2. 한산 시대
*A.D 371 평야성 전투에서 고구려의 고국원왕 전사 시킴, 한산(韓山)으로 천도. 동진(東晋)에 조공(朝貢)하여 근초고왕이 책봉(冊封)받음*A.D 372 왜왕에게 칠지도(七支刀) 하사
*A.D 375 근초고왕 사망, 근구수왕 즉위, 고흥 『서기』편찬, 일본에 한문 전수
*A.D 377 고구려의 평양성 공격
*A.D 384 근구수왕 사망, 침류왕 즉위, 동진의 마라난타 불교전래
*A.D 385 한산(韓山)에 사찰 세우고 승려 10명을 둠, 침류왕 사망, 진사왕 즉위
*A.D 386 청목령에서 팔곤성과 서해로 이어지는 장성(長城) 축조
*A.D 387 말갈과 관미령(關彌嶺)에서 싸움
*A.D 392 고구려에 관미성과 한수 이북의 많은 부락을 빼앗김
*진사왕이 구원행궁에서 사망, 아신왕 즉위
*A.D 397 태자 전지를 왜에 파견
*A.D 403 왜가 사신을 보내옴, 신라의 변경을 침공함
*A.D 405 아신왕 사망, 전지왕 즉위
*A.D 408 여신(餘信)을 상좌평에 임명
*A.D 409 왜국에서 사신을 보내 야명주(夜明珠)를 바침
*A.D 420 전지왕 사망, 구이신왕 즉위, 송(宋)으로부터 작호 받음
*A.D 427 구이신왕 사망, 비유왕 즉위
*A.D 428 4부를 순무, 왜국사신과 수행자 50명이 옴
*A.D 434 신라에 사신을 보내어 양마(良馬) 2필, 흰매를 선물. 신라는 양금명주(良金明珠)를 보내옴
*A.D 455 비유왕 사망, 개로왕 즉위
*A.D 458 송으로부터 11명이 작호를 받음
*A.D 464 백제와 가야가 신라를 지원
*A.D 469 고구려 남변을 침공, 쌍현성 수리, 청목령에 대책(大冊) 설치
3.3. 웅진 시대
*A.D 475 고구려 침공으로 한성(漢城)함락, 개로왕 피살됨, 웅진(熊津)천도, 문주왕 즉위*A,D 476 대두산성(大豆山城) 수리, 한강이북의 민호를 이주시킴, 송(宋)에 사신을 보냈으나 고구려에 길이 막힘.
4. 탐라국(耽羅國), 백제에 방물을 바침. 사신에게 은솔의 관등을 줌
8. 해구(解仇)를 병관좌평에 임명
*A.D 477 궁전수리, 왕제(王弟) 곤지(昆支)를 내신좌평으로 삼음. 문주왕 병관좌평 해구(解仇)에게 시해됨, 삼근왕 즉위
*A.D 479 남제에 사신을 보냄, 삼근왕 사망, 동성왕 즉위
*A.D 486 백가를 위사좌평에 삼음, 남제에 사신을 보냄, 궁성수리, 우두성(牛頭城,부소산성?) 축조
*A.D 488 북위(北魏) 군대 격퇴
*A.D 493 동성왕, 신라의 이찬 비지(比智)의 딸과 혼인
*A.D 494 신라에 응원군 3천을 보내 신라를 구함
*A.D 495 고구려 침입, 신라에서 구원병 보냄, 고구려 대패시킴
*A.D 498 웅진교(熊津橋) 가설, 사정성(沙井城) 축조, 탐라를 정벌하기 위해 무진주까지 국왕이 행차함
*A.D 501 가림성(加林城) 축조, 위사좌평 백가를 파견, 왕이 사비서원 사냥, 마포촌 유숙중 백가의 자객에 의해 피살,무령왕 즉위
*A.D 502 백가의 반란 진압, 고구려의 수곡성 공격
*A.D 503 고목성에 침입한 말갈격퇴
*A.D 509 왜에서 사신을 보내옴
*A.D 512 고구려가 가불성, 원산성 침공하자 격퇴시킴
*A.D 513 왜에 오경박사(五經博士) 단양이(段揚爾) 파견
*A.D 516 왜에 오경박사(五經博士) 고안무(高安茂) 파견
*A.D 521 양(梁)에 조공, 양(梁)으로부터 무령왕이 영동대장군에 봉해짐
*A.D 523 무령왕 사망, 성왕 즉위
*A.D 525 무령왕릉 축조
*A.D 526 승려 겸익이 인도에 감, 웅진성 수리, 사정책(沙井柵) 축조
*A.D 529 고구려가 북변 침입, 3만 군사로 오곡원에서 대파함
3.4. 부여 시대
*A.D 538 봄에 사비(부여)로 천도,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로 칭함. 일본에 태자상(太子傷), 관불기(觀佛記)등을 보내 불교전파*A.D 541 양(梁)에 모시박사, 열반경, 공장(工匠), 화사 등을 요청
*A.D 551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 백제 한강 하루지역 점령, 왜에서 보리씨 천섬 보내옴
*A.D 552 금동석가상, 미륵석불, 경론을 왜에 보냄, 달솔 노리사치계가 일본에 불교전파
*A.D 553 왜왕이 사신을 보내 의박사, 역(易)박사를 요청하고 복서(卜書), 여러 약재를 가져감, 신라의 기습공격으로 한강유역을 빼앗김
*A.D 554 왜에 역박사, 오경박사, 의학박사를 보냄, 관산성(管山城) 전투에서 성왕 전사함, 위덕왕 즉위
*A.D 567 북제(北齊)에 조공, 능산리에 왕실 원찰 창건
*A.D 588 백제기술자들에 의해 왜의 나라지방에 비조사(飛鳥寺) 창건됨
*A.D 592 백제기술자들이 왜 법흥사(法興寺)의 불당 완성
*A.D 597 아좌태자가 왜에 건너가 성덕 태자상을 그림
*A.D 597 위덕왕 사망, 혜왕 즉위
*A.D 599 혜왕 사망, 법왕 즉위, 영(令)을 내려 살생을 금하고 민가의 매를 놓아주고 어렵도구를 불태우게함, 오합사(烏合寺) 창건 됨
*A.D 600 법왕 사망, 무왕 즉위
*A.D 602 백제 승려 관륵(觀勒)이 왜에 건너가 천문지리, 역서 등을 전함
*A.D 611 적암성 축조, 신라의 가잠성 함락시킴
*A.D 612 백제인 미마지(味摩之)가 왜에 가서 기악(伎樂)을 가르침
*A.D 624 신라를 쳐서 속함(速含)등 6성을 차지
*A.D 627 신라의 서쪽변방 2성을 함락시킴
*A.D 630 사비궁 중수
*A.D 632 의자왕자 태자로 책봉
*A.D 633 신라 서곡성(西谷城) 함락시킴
*A.D 634 왕흥사(王興寺)준공, 궁남지 조성
*A.D 639 자제(子弟)를 당(唐)의 국학(國學)에 입학시킴
*A.D 641 무왕 사망, 의자왕 즉위, 익산에 쌍릉 조성
*A.D 642 신라의 미후성 등 40여성 점령, 대야성을 함락시킴
*A.D 644 부여 융(隆)을 태자로 삼음
*A.D 645 신라의 7성을 점령
*A.D 654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 건립
*A.D 655 고구려, 말갈과 함께 신라의 30여성을 공취함
*A.D 656 좌평 성충(成忠)이 임금의 실정을 간언하다 옥에 갇힘
*A.D 657 왕의 서자(庶子) 41명에게 좌평제수와 식읍(食邑)을 줌
*A.D 659 신라, 백제를 치고자 당에 사신을 파견
*A.D 660 당의 소정방 13만 대군, 신라 김유신 5만군사 백제 침공, 의자왕 웅진성 피난, 왕자 부여융 신라에 항복(7.13), 의자왕 나 ? 당연합군에 항복(7.18), 백제 유민과 좌평 정무(正武) 백제부흥운동 시작(8.2), 소정방이 의자왕과 왕자, 대소신료, 백성 1만 3천여명을 포로로 당으로 데려감
*A.D 661 복신, 도침, 흑치상지 등 부흥운동 전개
*A.D 662 왕자 풍(豊) 귀국, 백제왕으로 즉위
*A.D 663 왜의 구원병과 부흥군 백강(百江) 전투패전, 주류성 함락, 부흥운동의 종식
4. 멸망 이후
5. 연대 불명
6. 기타 사건
7. 이모저모
- 부여는 백제에 의해 수도가 된 이후, 단 한번도 명칭이 변경되지 않고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