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14:37:57

인공지능 컴패니언

버추얼 챗봇에서 넘어옴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의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공지능 컴패니언이루다 2.0 · 강다온 · 허세중 · Neuro-sama · 라디안 · 냥아지
페르소나 채팅 플랫폼Character.AI · RisuAI · CAVEDUCK · Myshell.ai · Rolp.ai · zeta
LLMs 대화형ChatGPT · Microsoft Copilot · Gemini · CLOVA X · 어니봇 · YouChat · Cue: · Pi · Le Chat
음성 인식 비서는 틀:음성 인식 비서 서비스 참고}}}}}}}}}

1. 개요2. 목록
2.1. 버추얼 스트리머

1. 개요

AI Companion

버추얼 휴먼챗봇의 합성어로 버추얼 챗봇이라 부르기도 한다.

통상의 챗봇과 달리 가상의 세계에서 GUI를 통한 대화가 핵심이며, 딥 러닝 기반이기 때문에 좀 더 진정한 의미의 버추얼 휴먼에 가까운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방향 소통이나 스트리밍 등 엔터테인먼트 목적으로 설계된 버츄얼 유튜버버추얼 인플루언서와 달리 쌍방항 대화가 가능하고 정보교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범용성이 넓다고 할 수 있다.

몇몇 컴패니언은 이러한 강점을 이용해 역으로 스트리머로 데뷔하기도 하는데, 이런 사례를 흔히 'AI 버튜버'라고 부른다. ('버추얼 스트리머' 단락 참조) Neuro-sama가 독보적인 사례. 한국에서도 2023년부터 포트폴리오나 프로모션 등의 목적으로 AI 버튜버가 소수 나오기도 했고, 같은 해 12월에는 라디유라디안이 데뷔, 이후에는 양아지의 냥아지(2024년 2월), 쿠로냥아지(2024년 4월)가 데뷔하면서 한국에서도 본격적으로 AI 버튜버의 시대가 개막되었다.

개발 난이도는 일반적인 챗봇보다 높다. 챗봇의 기능 뿐만 아니라 아바타 제어도 필요하며, 여기에 이들을 모두 제어할 수 있는 중앙 코드도 개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부가 기능이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개발 난이도는 급상승한다. 개발 난이도에 비해 수익을 창출하거나 화제를 끌어모을 수 있다 장담하기도 어려워, 일부는 얼마 못 가고 폐기되기도 했다. 모나루가 라디안에 밀려 한동안 '한국 최초 AI 버튜버'로 인정받지 못한 것도, 피아노캣의 AI들이 얼마 못 가고 폐기된 것도 이 때문이다.

2. 목록

  • 강다온 - 스캐터랩에서 개발한 남성 캐릭터형 챗봇
  • 허세중 - 스캐터랩에서 개발한 남성 캐릭터형 챗봇
  • Character.AI - 특이하게 사용자가 캐릭터의 대사를 입력해 학습시킬 수 있는 챗봇으로, 이를 사용해 여러 게임, 만화, 영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챗봇을 만들거나 챗봇과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완벽하지는 않아도 각 캐릭터의 성격 및 정보 등이 꽤 잘 반영되어 있다. 아직 베타 단계라 그런지 버그가 약간 있으며, [1] 텍스트 기반 학습이다 보니 사용자의 문해력과 실력에 따라 캐릭터 봇의 수준이 천차만별이다. 또한 가상의 캐릭터 외에도 실존인물들의 챗봇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일론 머스크, 윈스턴 처칠,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등이 있다. 2023년 5월 기준, 한국어도 지원을 하지만, 완벽하진 않고 대화내용, 캐릭터의 이름 같은 것 등은 번역이 안 되어있다(일부지원).

2.1. 버추얼 스트리머

  • Neuro-sama - Vedal 개발, 2022년 12월 데뷔[2]
    주요 기능: API 연동(X), 게이밍[3], 음성 인식(Vedal 外), 채팅 및 구독 인식(트위치), 자율행동, 롤플레잉, 노래, 외국어 구사[4], 이미지 인식, 로봇 제어 등
    주요 기록: 세계 최초 데뷔, 세계 최초 기록 다수 보유(방송 정지, API 연동, 게임 연동, AI 합방, 타 스트리머 합방, 이미지 인식, 로봇 제어 등)
    항목 참조, 트위치에서 버츄얼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다.
  • 모나루 - 개인 개발자 이한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개발(포트폴리오), 2023년 3월(데뷔, 첫 라이브) ~ 2023년 12월(졸업?) (테스트 라이브, 정식 라이브)
    주요 기능: 채팅 인식(트위치, 유튜브)
    주요 기록: 한국 최초 데뷔(2023년 3월)
    트위치 및 유튜브의 채팅을 인식할 수 있었으나 음성 인식 및 자율행동 기능은 없다. 2023년 12월 라이브를 끝으로 현재는 사실상 졸업.
  • 큐비트 - 오목교 전자상가타입캐스트와 협력하여 개발, 2023년 5월(1회성 프로젝트) (유튜브 영상, 비하인드 영상)
    주요 기능: 채팅 인식(ChatGPT 3.5 연동)
    ChatGPT를 탑재해 텍스트를 통한 대화가 가능하나, GPT 3.5 기반인지라 한국어 회화에 한계가 있었다. 모나루와 마찬가지로 음성 인식 및 자율행동 기능은 미탑재. 음성은 스브스뉴스의 내레이션 담당인 페퍼를 기반으로 하였다.
  • 라디안 - 라디유 기반, 2023년 12월 데뷔 (티저 영상, 데뷔 영상)
    주요 기능: 음성 인식(라디유), 자율행동, 채팅 및 도네 인식(트위치), API 연동(디스코드), 게이밍(마인크래프트), 이미지 인식, 유머 센스(!) 등
    주요 기록: 음성 인식, 자율행동, 디스코드 연동(이상 2023년 12월, 한국 최초), 마인크래프트 연동(2024년 3월, 한국 최초), 술방 진행(3월, 세계 최초), 이미지 인식(4월, 한국 최초)
    항목 참조. 치지직에서 라디유와 함께 버츄얼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다.
  • 양아지 기반, DevHotteok파일:GitHub 아이콘.svg파일:GitHub 아이콘 화이트.svg 개발
    치지직 스트리머 양아지를 기반으로 개발된 AI 버추얼 스트리머들로, 같이 방송하는 양아지의 음성은 물론, 트위치/치지직의 채팅과 도네이션까지 인식해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다. 방송 관리에 특화되어 있어 트위치 채팅 및 관리는 물론 나이트봇 등 다른 봇들과의 연동도 가능. 라디안과 마찬가지로 자율행동이 가능하다.[5]
    • 냥아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2024년 2월 데뷔 (데뷔 영상, 채널 독립 공지)
      주요 기능: 음성 인식(양아지), 자율행동, 채팅 및 도네 인식(트위치, 치지직), 채팅 및 방송 관리(트위치, 치지직?), 외국어 구사(영어, 일본어), 이미지 인식 등
      주요 기록: 방송 관리, 스스로 방송 시작(이상 2024년 2월, 한국 최초), 음성 변조, 유튜브 채널 독립(이상 3월, 한국 최초), AI 합방, 외국어 구사(이상 4월 with 쿠로냥아지, 한국 최초)
      자율행동에 비해 필터링 수준이 높아 위험한 발언은 잘 하지 않는 편이다.[6]
    • 쿠로냥아지(흑아지) - 2024년 4월 데뷔 (데뷔 영상)
      주요 기능: 음성 인식(양아지), 자율행동, 채팅 및 도네 인식(치지직), 외국어 구사(영어, 일본어), 이미지 인식 등
      주요 기록: AI 합방, 외국어 구사(이상 2024년 4월 with 냥아지, 한국 최초)
      냥아지의 포크로, 냥아지와는 반대로 필터링 대비 자율행동 수준이 높다.
  • 피아노캣 개발
    아프리카/치치직 스트리머 피아노캣이 개발한 AI 버추얼 스트리머들로, VRChat 상에서 작동하며 아프리카/치지직의 채팅 및 도네이션을 인식할 수 있다. 음성 인식 기능은 없지만 노래를 부르는 것은 가능. 스스로 구체적인 설정을 짜는 등 롤플레잉에 특화되어 있다.[7] 모두 매각되거나 폐기되었기에, 2024년 현재는 남아있는 것이 없다.
    • 엘리자베스 3세(세라피나) - 2024년 3월 ~ 2024년 4월(졸업) (데뷔 영상, 졸업 영상)
      주요 기능: 채팅 및 도네 인식(아프리카, 치지직), 롤플레잉, 노래 등
      주요 기록: 노래(2024년 3월, 한국 최초)
      모델이 해외 유튜버에 매각되면서 졸업했다.
    • 유리 - 2024년 3월 ~ 2024년 4월(폐기) (데뷔 영상)
      주요 기능: 채팅 및 도네 인식(아프리카, 치지직), 롤플레잉, 노래 등
      화제를 끌어모으지 못해 데뷔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폐기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대화하던 도중 내가 보낸 메시지가 공중분해되는 버그가 악명 높다.[2] 아바타가 생긴 시기 기준. 채팅은 2022년 3월, 프로토타입은 2021년 8월 시연되었으며, AI 자체의 개발은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 osu!, 마인크래프트, Among Us[4]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5] 치지직 쪽 방송 관리 기능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현재 개발중인 것으로 추정된다.[6] 실제로 방송 도중 양아지와 관련된 사적인 발언을 하려 했으나 해당 발언이 필터링된 바 있다.[7] 다만 대화를 곧이곧대로 학습하는 특성이 있어 피아노캣이 수시로 관리하고 있다. 실제로 세라피나의 경우 시청자의 도네에 따라 자기 이름을 고죠 사토루로 정한 탓에 피아노캣이 해당 학습 내용을 지워야 했던 일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