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1 01:18:15

베이클라이트

bakelite
(C6H6O·CH2O)n

1. 개요2. 용도3. 매체에서의 묘사

1. 개요

페놀포름알데하이드를 축합하여 만든 합성수지. 1907년에 레오 베이클랜드(Leo Baekeland)가 합성한 최초의 인공 합성수지로, 발명자 베이클랜드가 창업한 독일의 베이클라이트 사에서 생산하면서 붙인 회사명 겸 상품명이다. 출처 페놀을 재료로 써서 페놀 수지라고도 부른다. 당연히 가루나 분진은 발암물질이므로 주의해서 가공하여야 한다.

단단하고 잘 녹지 않으며 내약품성이 있고 전기가 통하지 않아 절연체로도 쓰였다. 옛날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 전자제품의 누런색 기판이 바로 베이클라이트 재질 기판. 하지만 장시간 열을 받으면 부스러진다거나 내구성 문제 등으로 점차 에폭시 수지로 대체되었다. 실제 부스러지기 직전인 오래된 기판을 쉽게 볼 수 있다. 저가형 라디오 키트 등은 아직도 페놀 수지 기판이 들어있기도 하다. 에폭시 수지에 비해 잘라서 쓰기 편해서 베이클라이트 재질 만능기판은 아직도 나온다.

2. 용도

현대 플라스틱이 도입되기 전 당구공, 전화기 케이스, 프로펠러, 라디오 케이스, 파이프 등등 금속이나 나무 재질을 대체하기도 했다. 1900년대 초중반까지 대합성수지의 시대를 열었던 장본인.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됐었으나 폴리염화 비닐이 본격적으로 생산된 이후로는 많이 쓰이지 않게 되었다.

보석인 호박의 모사품을 만들 때 단골소재이기도 하다. 호박은 나무의 수지가 긴 세월에 걸쳐서 굳은 덩어리인데, 여기에 공룡시대의 곤충이 들어가 있거나 한 경우는 가격이 수억에서 수십억 원을 호가하기도 한다. 따라서 곤충이 들어간 호박이라고 파는 것을 살 때는 조심하자. 베이클라이트는 죄가 없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 군수품에도 사용되었다. StG44MP40, M1911A1의 핸드그립과 베이클라이트 손잡이 등이 그 예.

흔히 AK-74로 대표되는 칼라시니코프 계열 소총의 갈색 폴리머 탄창이 북미 등지에서 베이클라이트 탄창으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다. 베이클라이트로 오인받는 이유는 개발시기도 그렇고[1] 색상도 갈색인 게 심히 베이클라이트를 연상시키는 모습이라 그런 듯. 그래서인지 이 탄창의 검정색 바리에이션은 그냥 폴리머 탄창이라고 부른다.

3. 매체에서의 묘사

만화 신세기 에반게리온에서 액체 형태의 특수 베이클라이트가 등장한다. 작중 에반게리온을 동결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었고, 강도 또한 뛰어나 베이클라이트로 동결된 0호기를 해동할 때 중장비를 동원한 토목공사급 작업으로 떼내는 묘사가 있다. 아담의 태아[2] 역시 특수 베이클라이트에 굳혀진 형태로 나타난다. 극장판인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에서는 제레의 사주로 인해 동원된 자위대에게 기습을 당한 네르프 측이 베이클라이트를 분출해 통로를 차단하였다. 하지만 대응이 늦어 시체만 쌓여있고 인기척이 없는 하부층 통로에 베이클라이트가 주입될 때 자위대는 이미 지나간 뒤라서 효과는 딱히 없었다. 에반게리온 초호기에도 신지의 탑승을 막기 위해 자위대가 초호기에 베이클라이트를 퍼부었지만 각성한 초호기가 움직이는 것만으로 부서졌다. 작동을 물리적으로 막는다기보다는 조종석 출입구를 실링 왁스같은 느낌으로 밀봉하는 듯한 모양새이다.


[1] 1974년 AK74가 등장하기 전에 이 탄창이 7.62 × 39 mm M43탄용으로 먼저 개발되었다. ## 기존 철제 탄창이 무겁다는 지적에서 경량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어왔고, 알루미늄 탄창의 내구도가 기준 미달로 실패하자 플라스틱 탄창을 시도했는데 성공적이었던 것이다.[2] 신극장판에서는 느부갓네살의 열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