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4 22:21:00

야생베타

베타속에서 넘어옴
야생베타
Betta
파일:야생 샴싸움고기.jpg
학명 Betta
(Bleeker, 1850)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등목어목(Anabantiformes)
버들붕어과(Osphronemidae)
아과 버들붕어아과(Macropodusinae)
베타속(Betta)
문서 참조

1. 개요2. 정의와 범위
2.1. 일반적인 정의2.2. 세부적인 범위
2.2.1. 체형으로 판별하자2.2.2. 종명으로 판별하자2.2.3. 개량, 선별은 완전히 제외하자2.2.4. 야생 채집 종만 야생베타다
3. 종류
3.1. 종류별 특징3.2. 국가별 종류
3.2.1. 베트남 서식종3.2.2. 라오스 서식종3.2.3. 태국 서식종3.2.4. 캄보디아 서식종3.2.5. 브루나이 서식종3.2.6. 말레이시아 서식종3.2.7. 미얀마 서식종3.2.8. 인도네시아 서식종3.2.9. 싱가포르 서식종
4. 사육
4.1. 주의할 점4.2. 수조4.3. 바닥재4.4. 히터4.5. 여과기4.6. 수질4.7. 장식물4.8. 뚜껑4.9. 수초4.10. 먹이4.11. 합사
4.11.1. 동종 합사4.11.2. 타종 합사
4.11.2.1. 소형종4.11.2.2. 중형종4.11.2.3. 대형종
5. 번식
5.1. 암수 구별5.2. 버블네스트 빌딩5.3. 마우스 브루딩
6. 종 보전
6.1. 멸종위기 등급
6.1.1. 아카렌시스 그룹6.1.2. 알비마르기나타 그룹6.1.3. 아나바토이데스 그룹6.1.4. 벨리카 그룹6.1.5. 코키나 그룹6.1.6. 디미디아타 그룹6.1.7. 에디타이 그룹6.1.8. 포이르스키 그룹6.1.9. 루브라 그룹6.1.10. 픽타 그룹6.1.11. 푸그낙스 그룹6.1.12. 스플렌덴스 그룹6.1.13. 우니마큘라타 그룹6.1.14. 와세리 그룹
7. 구할 수 있는 루트8. 여담

[clearfix]

1. 개요

버들붕어과 마크로포두스아과 베타속에 속한 종들, 그중에서도 쇼베타, 즉 샴싸움고기 개체 중 개량베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야생종 어류들을 총칭한다. 학명을 받은 종으로는 75종이 있으며, 그외에도 여러 아종이 있다.

2. 정의와 범위

2.1. 일반적인 정의

베타속에 속하는 어류 중 쇼베타, 즉 스플렌덴스 개량종을 제외한 종들

2.2. 세부적인 범위

정확히 어느정도 범위까지 야생베타(wild betta)로 인정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로 의견이 갈린다.

2.2.1. 체형으로 판별하자

이러한 의견은 체형으로, 즉 개량베타의 체형이 아니라 야생종의 체형이 그대로이면 야생베타로 판단한다는 의견이다. 일반적으로 에일리언, 하이브리드 베타를 야생베타의 범위에 포함시킨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의견은 보기 어렵다. 국내에서는 몇몇 업체들에서 사용하여 에일리언 베타를 야생베타로 판매하기도 한다.

2.2.2. 종명으로 판별하자

정확한 종이 있는 종들, 그러니까 교잡 없이 원래의 종을 유지한 상태라면 야생베타라고 판단하는 의견이다. 에일리언, 하이브리드 베타는 포함하지 않지만 롱핀, 컬러 등을 일부 개량하였지만 교잡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래의 종은 유지한 베타들을 포함한다.

2.2.3. 개량, 선별은 완전히 제외하자

야생개체 온건파
야생의 형질을 그대로 유지한 종들, 즉 야생에서 채집된 개체들에게서 태어난 개체들은 인정하지만 개량과 선별로 특정 형질을 나타낸 개체들은 제외하는 의견이다. 야생에서 채집된 개체와 그 개체들이 사육되며 번식하여 태어난 개체들을 포함한다. 가장 널리 인정되는 의견이다.

2.2.4. 야생 채집 종만 야생베타다

야생개체 강경파
야생에서 채집된, 야생에서 서식하던 종들만을 야생베타로 인정하는 의견이다. 사육하에 번식된 개체들은 야생베타로 인정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 의견은 크게 통용되지 않는다.

3. 종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타속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종류별 특징

  • 벨리카 그룹은 대형종으로 해당 그룹에 속한 두 종 모두 10cm 이상 성장하는 대형종이며 대형종 중 유일한 버블네스터다.
  • 코키나 그룹은 종 별로 좀 다르지만, 보통 약 5cm 정도 성장하는 소형종이며 거품집을 지어 번식하는 버블네스터다. 루틸란스종의 아종인 루틸란스 그린은 마우스브루딩으로 번식하기도 하며, 브로우노룸 중 일부 개체들도 마우스브루딩을 통해 번식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고 한다. 대부분의 종이 멸종위기종이다.

3.2. 국가별 종류

베트남,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미얀마,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지에 분포한다. 가장 많이 분포하는 곳은 인도네시아로, 굉장히 많은 종이 분포한다.

3.2.1. 베트남 서식종

3.2.2. 라오스 서식종

3.2.3. 태국 서식종

3.2.4. 캄보디아 서식종

3.2.5. 브루나이 서식종

3.2.6. 말레이시아 서식종

3.2.7. 미얀마 서식종

3.2.8. 인도네시아 서식종

3.2.9. 싱가포르 서식종

4. 사육

야생베타의 사육은 종에 따라서 달라지는 편이다. 쇼베타의 사육과 비슷한 부분이 있는 스플렌덴스 그룹의 종들이 있는가 하면, 대부분의 종들은 베타보다는 오히려 아피스토그라마의 사육 환경이 생각나게 하는 적정 환경을 가지고 있다.

4.1. 주의할 점

사육법을 본격적으로 알아보기 전에, 몇가지 유의할 점들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따로 적겠지만, 몇가지 간단하게 알아두면 좀 더 편하게 이해할 수 있다.
  • 야생베타는 개량베타와 같이 무여과 어항이나 룹통, 초소형 어항에서 사육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개량베타의 원종이 되는 스플렌덴스 그룹은 일부 서식 가능할지 몰라도, 다른 대부분의 종들은 수질에 매우 민감하기에 그러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 어항 뚜껑은 필수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야생베타를 키우며 가장 많이 폐사하게 되는 원인이 바로 점프사이다. 소형종의 경우 10cm, 중대형종의 경우 20cm 가량 수위를 낮추어야 예방할 수 있는데, 이정도로 낮추어도 어항 벽을 타고 점프하는 경우 놀라운 점프력을 보여주기에 뚜껑을 확실하게 마련하는 편이 좋다.
  • 사료 순치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편하다. 대부분의 야생베타가 야생 채집 개체인 만큼 사료는 태어나서 먹어본 적이 단 한번도 없는 개체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다보니 사료 순치가 매우 어렵고, 특히 소형종일수록 더욱 어렵다. 소형종은 냉동생먹이 조차도 먹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그냥 생먹이를 먹이면서 냉동 생먹이나 사료를 같이 급여해보고, 그럼에도 계속 먹지 않으면 그냥 기도하면서 생먹이를 먹여야 한다.
  • 블랙워터, 산성의 조건은 대부분의 종에게 필수적이다. 몇가지 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베타 종들은 pH 6.0 이하의 산성의 수질과 탄닌 성분으로 갈색빛을 띠는 블랙워터의 환경을 요구한다. 일부 클리어워터와 중성의 수질을 요구하는 종도 있으므로 사전에 어떤 수질을 필요로 하는지 잘 알아보도록 하자.

4.2. 수조

한쌍을 기준으로 할 때, 소형종은 25큐브에서 30큐브[1], 중형종은 30큐브에서 자반[2] 어항, 대형종은 자반에서 2자[3] 정도의 어항이 필요하다. 더 많은 개체를 사육할 경우에는 어항 크기를 늘리거나, 과밀로 사육하게 될텐데, 생먹이를 주요 먹이로 하는 야생베타의 특성상 과밀 사육시에 수질 관리가 힘들어지거나 이끼로 인해 어항의 미관에 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 그냥 마음 편하게 어항 크기를 키우는 편이 좋다.

4.3. 바닥재

간단히 결론부터 말하자면 크게 상관은 없다. 소일이나 샌드나, 사육할 종이 요구하는 수질만 잘 조성할 수 있다면 큰 관계는 없다. 다만 대부분의 종이 산성의 수질을 요구하기에 소일을 쓰는 것이 편하고, 검은계열의 바닥재이기에 베타의 발색을 올리는데에도 꽤나 도움이 될 수 있다. 샌드까지는 수질을 맞출 방법이 있다면 상관 없지만, 산호사(...)와 같은 바닥재는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 수질을 알칼리로 끌어올려버리기 때문이다.

4.4. 히터

대부분의 종은 섭씨 25도에서 27도가 적정 온도이다. 우니마쿨라타 그룹은 약간의 저온을 선호하기에 섭씨 22도에서 25도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히터의 종류는 크게 상관 없지만, 겨울에 온도가 너무 낮아지는 것은 좋지 않다. 여름에도 온도의 변화가 큰 것은 좋지 않기에 그냥 히터를 달아두는 편이 좋다.[4]

4.5. 여과기

여러가지 여과기별로 장단점이 있는 편이다.
  • 스펀지 여과기
    • 야생베타 사육에 꽤 적합하다. 미관에 상관을 조금 덜 쓰는 사람이거나 어항이 작다면 꽤나 유용할 것이다
    • 꽤 준수한 여과력, 적은 수류와 어항 내에 설치하게 되므로 점프사를 막기 위한 뚜껑 설치에 거슬리지 않는다는 것이 장점이다.
    • 미관을 제외한 단점으로는 기포기 소음, 공간 차지가 있다.
  • 외부여과기
    • 외부 여과기 역시 훌륭하다.
    • 장점으로는 준수한 여과력과 좀 더 편리한 수질 관리, 더 나은 미관과 공간 차지가 있다.
    • 단점으로는 약간 강한 수류가 있다. 수류는 줄여주는 편이 좋다. 비용도 약간 비싸다. 단점이라면 단점이다.
  • 상면여과기, 걸이식 여과기
    • 장점으로는 공간 차지와 미관을 덜 해친다는 점이 있다.
    • 단점으로는 뚜껑 설치의 어려움이 있다. 여과기로 인해 생기는 틈으로 점프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 측면여과기
    • 장점으로는 높은 물리적 여과력이 있다.
    • 단점으로는 너무 강한 수류와 약한 생물학적 여과력이 있다.
    • 야생베타의 사육에는 적합하지 않은 편이다.
  • 저면여과기
    • 장점으로는 나름대로 좋은 여과력이 있다.
    • 단점으로는 청소가 어렵다. 그리고 소일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면 저면을 쓰기가 어렵다.
    • 역저면 여과기 역시 종종 이용된다. 좀 더 사용이 편리하다.

4.6. 수질

산성 선호종들과 일부 중성 선호종들의 요구 수질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 산성 선호종 #====
산성의 수질과 블랙워터가 사실상 필수적이다.
  • pH
    • 6.0 이하로 내려가는 편이 좋다.
    • 연갈탄, 피트모스, 슈퍼피트 등으로 내릴 수 있다.
    • pH 강하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량과 pH 스윙에 주의하자.
  • 블랙워터
    • 아주 진할 정도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있는 편이 좋다.
    • 상술한 연갈탄 등으로도 만들 수 있다.
    • 사방오리나무 열매, 알몬드 잎 등의 여러 자연재료들로 만들 수 있다.
  • 경도
    • 낮을수록 좋다.
====# 중성 선호종 #====
다른 중성 환경을 선호하는 열대어들과 크게 다르지 않게 조성하면 된다.

4.7. 장식물

여러가지 장식물을 사용하게 될텐데, 몇가지는 추천하지 않는다
  • 조개껍데기, 산호, 수석
    • pH를 알칼리로 올리기에 비추한다. 조개껍데기는 베타들이 다칠 위험도 일부 있다. 화산석 정도는 pH를 크게 상승시키지는 않아 사용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베타가 끼일 수 있는 장식물
    • 베타가 끼여서 나올 수 없는 장식물은 피하는 편이 좋다. 의외로 끼임사가 자주 일어나기에 주의하자.

4.8. 뚜껑

위에서 상술했듯이, 필수다. 야생베타들은 점프력이 굉장히 높다.

일반적인 어항에 사용하는 거치식 뚜껑보다는 어항 전체를 덮는 딱 맞는 뚜껑이 좋다. 빈틈을 메꾸기 위해서 테이핑을 하거나 랩을 이용하기도 한다.

4.9. 수초

블랙워터와 산성의 환경을 조성하면 수초를 키우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중성~알칼리의 환경이나 경수 환경을 선호하는 수초의 경우 더더욱 그렇다.

어느정도 사육이 가능한 수초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크립토코리네
    • 펫치
    • 누리
  • 스트로징 레펜스
  • 자와모스
  • 타이완 가가부타
  • 타이거 로터스
  • 노치도메
  • 에키노도루스류
  • 부상수초
    • 필란터스 플루이탄스

4.10. 먹이

먹이는 주로 생먹이를 먹인다. 야생개체인 만큼 사료나 냉동 먹이를 먹이는 것이 어렵다. 주로 급여하는 먹이 종류는 아래와 같다.
  • 냉동먹이
    • 냉동 브라인 쉬림프
    • 냉동 장구벌레
    • 냉동 실지렁이, 냉동 물벼룩 등
  • 사료
    • 사료순치가 될 경우 종류에 크게 상관없이 잘 먹지만, 주로 사료순치가 안된다는 것이 문제다. 그나마 잘 먹는 사료들은 아래 목록을 참고하자.
    • 베타 전용 사료
    • 히카리 바이브라바이트
    • 뉴트리언스B[5]

사료순치는 애초에 생각하지 않고 생먹이를 주면서 기르면 개체 상태에는 좋지만, 사육자의 상태에는 좋지 않을 수 있기에 순치를 시도하고 싶다면 다음의 단계를 따라해보는 것이 좋다.

우선 바이브라바이트와 냉짱(냉동장구벌레)를 이용하는 방법이다.[6]
  • 개체 상태 확인
    • 굶는 기간이 생기면 버티지 못할 상태라면 절대로 순치를 시도하지 말자. 질병이나 일부 외상이 있어도 생먹이를 잘 먹이고 수질을 잘 유지한다면 어렵지 않게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시기에 사료 순치를 시도해 영양 공급이 부족해지거나 굶게 되면 빠르게 악화되거나 짧은 기간 안에 폐사할 수 있다.
  • 먹이 반응 확인
    • 생먹이 중에서 어떤 먹이를 잘 먹는지 확인한다. 일반적으로는 냉짱에 반응을 잘 보인다면 바이브라바이트류의 사료를 잘 먹지만, 냉짱으로도 부족하여 물벼룩, 브라인쉬림프, 실지렁이 등의 사료만 먹는다면 핀셋이나 스포이드를 이용해 냉짱을 흔들어주면서 냉짱 순치를 먼저 시도하자
  • 사료 인식시키기
    • 냉짱을 잘 먹거나 냉짱 순치를 완료했다면 바이브라바이트 급여를 시도해보자. 냉짱을 하나 먹이고, 바이브라바이트 한알을 물 속에 가라앉혀준다. 이때 반응을 보인다면 좀 더 가라앉혀보고, 반응이 없다면 수면 근처에 떨어뜨려줘보자. 이러한 시도에 바로 반응이 온다면 냉짱 등의 생먹이와 교차급여하면서 천천히 사료 비율을 높이고, 반응이 없다면 계속 반복해보자. 이때 사료를 먹지 않는다고 냉짱도 주지 않는 것보다는 생먹이는 그대로 주거나 급여량을 약간만 줄이며 시도하는 것이 좋다.
  • 마무리 단계
    • 바이브라바이트를 잘 먹기 시작한다면 본격적으로 다른 사료도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인식이 좀 느리겠지만, 그리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이나 기타 방법으로 사료를 순치시키면, 해당 개체와 합사하는 다른 개체도 사료를 먹이로 인식할 확률이 높다.

4.11. 합사

4.11.1. 동종 합사

개량베타에 비해서 암수의 합사는 좀 더 쉽다. 동성간의 합사도 개량베타에 비해서는 약간 쉽다. 다만 암수의 크기나 연령 차이가 크면 더 우세한 쪽에서 다른 개체를 공격하고, 심하면 한 개체는 죽을 수 있다. 동성인 개체들 역시 마찬가지. 차라리 두 개체가 비슷한 크기인 것이 낫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동성 합사도 가능할 확률이 높다.
  • 동배 개체, 혹은 유어급에서부터 함께 성장한 개체들
  • 어항이 매우 큰 경우
  • 어항에 은신처가 충분히 많은 경우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암수합사가 더 쉬울 것이다.
  • 암수 모두가 충분히 성숙한 경우
  • 어린 개체들이 여러마리 함께 성장하면서 쌍이 잡힌 경우

스플렌덴스 그룹의 경우는 다른 그룹의 종들보다 투쟁성이 좀 더 강해 합사가 어려울 수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하이브리드, 에일리언 베타를 야생베타로 포함한다면 그러한 개체들 역시 합사는 매우 어렵다.

4.11.2. 타종 합사

4.11.2.1. 소형종
소형어와의 합사는 어렵지 않다. 다만 새우는 열심히 사냥하기 때문에, 반쯤 먹이로 넣는 것이 아니라면 주의하자.
4.11.2.2. 중형종
보라라스 브리짓데 등의 소형 라스보라류와 같은 초소형종과는 합사가 어렵다. 크기가 비슷하거나 너무 작지만 않은 온순한 종들과는 합사가 가능할 확률이 높다. 더 큰 종이나 사나운 종들은 주의하고,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하지 않도록 하자. 새우는 소형종보다 좀 더 잘 잡아먹는다.
4.11.2.3. 대형종
입에 들어가는 크기면 먹는다. 먹히는 대상이 되는 종은 중요하지 않다. 입에 들어가면 먹는다. 비슷한 크기의 종들이나, 최소한 입 크기보다는 더 큰 종으로 합사하도록 하자. 새우는 한입간식 정도이다. 오토싱이나 유어급 안시 등의 소형 플레코류를 합사한다면 한입에 삼키거나 삼키려다가 둘 다 죽을 수 있으니 주의하자.[7]

5. 번식

5.1. 암수 구별

암수의 구별은 그룹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어려운 편이다. 일단 발색의 차이로 판단하되, 발색이 약하거나 색이 빠진 상태, 혹은 어린 개체라면 복부 근처에 있는 난소의 유무로 판단하자. 특히 발색이 빠진 상태에서 조명을 비춰보면 난소를 관찰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을 확률이 높다.

5.2. 버블네스트 빌딩

이름 그대로, 거품 둥지. 즉 거품집을 지어 번식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택하는 종들을 버블네스터, 혹은 버블네스트 빌더라고 부른다.

코키나 그룹, 스플렌덴스 그룹, 벨리카 그룹이 거품집을 지어 번식한다.

거품집의 알을 그대로 걷어내서 인공부화를 할 수도 있고, 치어들이 부화한 이후에 거품집 근처를 그대로 걷어내서 난황 소비 직후부터 사육할 수도 있다.

능숙한 수컷이 있는 단독항이라면 그대로 두는 것이 가장 생존율이 높겠지만, 합사어가 있거나 수컷이 아직 육아에 미숙하거나 어리다면 사람이 기르는 편이 생존율이 좀 더 높다.

5.3. 마우스 브루딩

일명 구중부화종. 즉 입속에서 알을 부화시키는 방식이다. 몇몇 그룹을 제외한 대부분의 베타가 마우스브루더이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알을 품게 된다. 이때 수컷이 알을 연달아서 물게 되면 부화기간동안 먹이를 먹지 않던 수컷이 알을 삼켜버리거나 끝까지 아무것도 먹지 않고 아사하거나, 개체의 영양 상태가 극심하게 나빠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연속해서 번식하게 되면 알을 털어주는 것이 좋다.

부화하기 전에 털어 에그텀블러 등에서 부화시키는 경우도 있고, 일부 부화하거나 부화를 마친 직후에 털어 인공사육을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수컷을 너무 세게 잡거나 턱을 압박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스포이드나 주사기로 물을 흘려넣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꼭 단 한개의 알도 남기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터는 것 보다는, 약간 남아도 어차피 수컷이 먹거나 털어서 처리하므로 수컷이 데미지를 입지 않게 하겠다는 생각으로 터는 것이 좀 더 낫다.

6. 종 보전

관상용 물고기로 유명하다보니 현지에서 야생 베타를 무분별하게 포획하여 시중에 판매하는 일이 빈번하고, 이 역시 멸종위기에 꽤나 기여하지만, 진짜 위협은 서식지 파괴이다. 기름야자나무 재배 때문에 베타의 서식지가 파괴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개발 과정에서 베타의 서식지가 사라지는 일 역시 그리 드문 일이 아니다. 시중에 많이 유통되는 샴싸움고기는 야생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들어 IUCN 적색 목록취약종(VU)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미 11종의 베타[8]가 심각한 절멸위급종(CR)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베타 토미(B. tomi)라는 종은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서 서식하고 있는데 이 중 싱가포르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사실상 절멸상태이다.

6.1. 멸종위기 등급

6.1.1. 아카렌시스 그룹

  • 1종(핑귀스) CR(절멸 위급)등급
  • 2종(키니, 안토니) EN(절멸 위기)등급
  • 1종(이바노룸) VU(취약)등급
  • 4종(아카렌시스, 발룽가, 아우리간스, 옵스쿠라)은 DD(정보 부족)등급
  • 1종(눌루혼)은 NE(미평가)등급

6.1.2. 알비마르기나타 그룹

  • 2종 모두 EN(절멸 위기)등급

6.1.3. 아나바토이데스 그룹

  • 1종(미다스) VU(취약)등급
  • 1종(아나바토이데스) LC(관심 대상)등급

6.1.4. 벨리카 그룹

벨리카 그룹에 속하는 2종 중 1종(시모룸)은 VU(취약)등급, 1종(벨리카)은 LC(관심 대상)등급이다.

6.1.5. 코키나 그룹

코키나 그룹에 속하는 10종 중 4종(미니오핀나, 루틸란스, 부르디갈라, 헨드라)은 CR(절멸 위급)등급, 3종(리비다, 투시아이, 페르세포네)은 EN(절멸 위기)등급이며 3종(코키나, 브로우노룸, 우베리스)은 VU(취약)등급이다.

6.1.6. 디미디아타 그룹

디미디아타 그룹에 속하는 종인 베타 디미디아타는 VU(취약)등급, 크라타이오스는 DD(정보 부족)등급이다.

6.1.7. 에디타이 그룹

에디타이 그룹에 속하는 유일한 종인 베타 에디타이는 LC(관심 대상)등급이다.

6.1.8. 포이르스키 그룹

  • EN(절멸 위기)등급 3종(포이르스키, 스트로히, 만도르)

6.1.9. 루브라 그룹

  • EN(절멸 위기)등급 1종(루브라)
  • VU(취약)등급 1종(덴니시옹기)

6.1.10. 픽타 그룹

픽타 그룹에 속하는 5종 중 1종(심플렉스)은 CR(절멸 위급)등급, 1종(픽타)은 NT등급, 1종(팔스)은 LC(관심 대상)등급, 1종(타이니아타)은 DD(정보 부족)등급이다.

6.1.11. 푸그낙스 그룹

푸그낙스 그룹에 속하는 15종 중 2종(푸스카, 크라켄스)은 CR(절멸 위급)등급, 1종(스칼레리)은 EN(절멸 위기)등급, 2종(브레비오베수스, 레히)은 VU(취약)등급, 3종(푸그낙스, 프리마, 라야)은 LC(관심 대상)등급이며, 7종(에니사이, 풀크라, 스티그모사, 아폴론, 페록스, 쿠에네이)은 DD(정보 부족)등급, 1종(팔리다)은 NE(미평가)등급이다.

6.1.12. 스플렌덴스 그룹

스플렌덴스 그룹에 속하는 6종 중 1종(스플렌덴스)은 VU(취약)등급, 1종(임벨리스)은 LC(관심 대상)등급, 2종(스마라그디나, 스틱토스)은 DD(정보 부족)등급이고 2종(마하차이엔시스, 시암오리엔탈리스)은 NE(미평가)등급이다.

6.1.13. 우니마큘라타 그룹

  • EN(절멸 위기)등급 1종(파토티)
  • VU(취약)등급 1종(마크로스토마)
  • LC(관심 대상)등급 2종(오켈라타, 글라디아토르)
  • DD(정보 부족)등급 4종(우니마큘라타, 팔리피나, 콤풍타, 이데이)

6.1.14. 와세리 그룹


*CR(절멸 위급)등급 2종(클로로파링스, 오메가)
*EN(절멸 위기)등급 5종(와세리, 힙포시데로스, 스필로토게나, 토미, 피)
*VU(취약)등급 1종(레나타)
*NE(미평가)등급 1종(파르달로토스)

7. 구할 수 있는 루트

국내에서는 야생베타를 구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 개인 수입
    • 쉬핑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통해 개인이 수입할 수 있지만, 가격이 매우 높아진다
    • 핸드캐리, 즉 직접 가져와 검역을 통과한 뒤 기르는 방법도 있었다. 다만 지금은 검역 절차상 개인이 핸드캐리 하는 것은 쉽지 않다.
    • 네이버 밴드를 통해 수입을 진행하는 업체에 요청해서 쉬핑받을 수도 있다. 정기, 혹은 비정기 수입에 원하는 종을 포함시켜 수입하는 방법으로, 완전한 개인 쉬핑보다는 가격이 낮을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비싸지 않다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특히 요청 마릿수가 적다면...
  • 업체 수입
    • 몇몇 업체에서 공동구매를 진행한다. 네이버 밴드 등을 통해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좀 더 싼 가격에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누락이나 지나치게 어린 개체가 들어오는 경우, 그리고 다른 종이 들어오는 겅우가 종종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업체 재고
    • 업체에서 공구가 아닌 일반적인 수입을 진행한 뒤 판매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업체와 관계없이 소형종은 한 쌍당 7만원에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형종과 대형종은 더 비싸지고, 베타 마크로스토마는 가장 비싸게 팔린다.[9]
    • 잘 축양되어 사료순치나 냉동먹이 순치가 되어있는 업체가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축양을 하더라도 무리한 사료순치나 부족한 관리로 오히려 상태가 영 좋지 않게 되는 업체도 간혹 있다. 키워본 사람들이나 구매해본 사람들의 평을 잘 알아보자.
    • 최근에는 베타 피(Betta pi)가 이렇게 공동구매가 아닌 단순 수입으로 들어온 상태이고, 이전에는 코키나그룹의 브로우노룸, 헨드라, 루틸란스가 입고되었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품절되었다.

8. 여담

  • 가장 큰 야생베타인 와세리와 가장 작은 야생베타인 아피아피, 페르세포네는 몸길이가 4배 가량 차이난다.

[1] 25×25×25(cm), 30×30×30(cm)[2] 45×32×30(cm) 정도 규격의 어항[3] 가로폭 60cm의 어항[4] 저온종의 경우에는 냉각기나 냉각팬을 달아야 할수도 있다[5] 야생베타, 소형 구라미 등에게 적합하도록 제작된 사료이다. 실제로 기호도가 괜찮은 편이라는 후기가 많다.[6] 이 방법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더 빠르게 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이 통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참고만 하는 것이 좋다.[7] 물론 삼키기를 시도한 대형 베타는 살 확률이 없지는 않다. 핀셋 등으로 잘 뽑아주면 살 수 있지만, 삼켜진 물고기는 대부분 죽는다.[8] Betta hendra, B.rutilans, B.burdigala, B. simplex, B. miniopinna, B.cracens, B.pardalotos, B.chloropharynx, B.omega, B.fusca, B.pinguis[9] 사실 마크로스토마는 워낙에 까다로운 종이기 때문에 업체의 자체 수입을 통해 들어오는 경우는 잘 없다. 폐사율이 높은 다른 몇몇 종들과 마찬가지로 수입이 기피되는 종.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