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우랄어족 핀어파에 속하는 언어. 러시아 북서부, 주로 카렐리야 공화국, 레닌그라드 주, 볼로그다 주에 거주하는 벱스인들이 사용한다. 핀란드어, 카렐리야어와 가까운 관계를 가지며,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벱스어 알파벳을 사용한다.2. 역사
벱스어는 다른 발트핀어들과 마찬가지로 고대 발트핀어에서 분기되어 나왔다고 추정된다. 벱스인들의 거주 지역은 예로부터 동슬라브족과 접촉이 잦았으며, 이로 인해 벱스어에는 상당수의 슬라브어 차용어가 존재한다. 20세기 초까지 벱스어는 주로 구전으로 전해 내려왔으나, 1930년대에 라틴 문자 기반의 표기 체계가 개발되어Limited literacy campaigns were conducted.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벱스어 사용과 교육은 위축되었고, 벱스어 화자 수는 급격히 감소하였다.3. 현재 상황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5,900명의 벱스인이 존재하나, 실제로 벱스어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인구는 훨씬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유네스코는 벱스어를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하고 있다. 현재 벱스어 보존 및 부흥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학교에서 벱스어를 가르치고, 벱스어로 된 서적과 간행물이 출판되기도 한다. 카렐리야 공화국 내 일부 지역에서는 벱스어가 소수 민족 언어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4. 방언
벱스어는 크게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북부 벱스어: 오네가 호수 남쪽, 페트로자보츠크 주변 지역에서 사용된다.
중부 벱스어: 레닌그라드 주 동부와 볼로그다 주 북서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남부 벱스어: 레닌그라드 주 남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언들은 음운, 어휘, 문법적인 특징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히 북부 벱스어는 다른 방언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5. 특징
벱스어는 인접한 핀란드어나 카렐리야어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독특한 음운 및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자음 교체 현상이 약화되었거나 완전히 사라진 경우가 많으며, 자음의 장단 대립 또한 나타나지 않는다. 모음 조화 현상은 흔적만 남아 있는 정도이다. 어휘적으로는 슬라브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차용어가 상당수 존재한다.6. 문자 체계
벱스어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알파벳을 사용한다. 1930년대에 처음으로 체계화되었으며, 이후 약간의 변화를 거쳐 현재의 형태에 이르렀다. 벱스어 알파벳은 다음과 같은 글자들로 구성된다.A, Ä, B, C, Č, D, Ď, E, F, G, Ǵ, H, I, J, K, Ǩ, L, Ľ, M, N, Ń, O, Ö, P, R, Ŕ, S, Š, Z, Ž, T, Ť, U, V, Y, Z, 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