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03:14

보급 부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군대의 보급부대에 대한 내용은 군수(군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군대의 보급부대:
군수(군사)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1. 개요2. 보급 부대3. 보충 부대

1. 개요

유희왕의 지속 마법 카드.

2. 보급 부대

파일:補給部隊(DBVS).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보급 부대,
일어판 명칭=<ruby>補給<rp>(</rp><rt>ほきゅう</rt><rp>)</rp>部隊<rp>(</rp><rt>ぶたい</rt><rp>)</rp></ruby>,
영어판 명칭=Supply Squad,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상당히 파격적인 효과로, 어떻게든 자신 몬스터가 파괴되기만 하면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강제 효과라 타이밍을 놓칠 일도 없다. 자신이 몬스터를 직접 파괴해도 효과가 발동하므로 에꼴 드 존, 제너레이션 체인지, 디스트럭트 포션 등의 카드와 호궁합이다. 발동 횟수 제약이 카드명을 지정하는 제한이 아니라서 여러 장을 깔아놓으면 2~3장씩 드로우하는 데다, BF-정예의 제피로스빙결계의 범왕 듀로렌 등으로 패로 되돌려 다시 쓰는 방식으로 드로우를 또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덱은 투입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1턴에 1번만 효과가 발동한다는 점으로, 선공에 잡은 패로는 빌드를 세우는 것이 상식인데 빌드를 세우는 데 어떠한 영향도 못 주는 이 카드는 효과를 발동하지 못한다면 갑부 고블린보다도 못한 카드가 되기 때문이다.

일러스트는 폭격이 터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급을 보내고 있는 고블린 엘리트 부대와 이를 거절하는 고블린의 돌격 부대.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스타터 덱 2014 ST14-KR022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스타터 덱 2017 ST17-KR031 노멀 한국
스타터 덱 2018 ST18-KR032 노멀 한국
스타터 덱 2019 ST19-KR032 노멀 한국
STARTER DECK 2014 ST14-JP022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TARTER DECK 2017 ST17-JP031 노멀 일본
STARTER DECK 2018 ST18-JP032 노멀 일본
STARTER DECK 2019 ST19-JP032 노멀 일본
Super Starter: Space-Time Showdown YS14-EN022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Starter Deck: Link Strike YS17-EN030 노멀 미국
Starter Deck: Codebreaker YS18-EN032 노멀 미국

3. 보충 부대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764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보충 부대,
일어판 명칭=<ruby>補充<rp>(</rp><rt>ほじゅう</rt><rp>)</rp>部隊<rp>(</rp><rt>ぶたい</rt><rp>)</rp></ruby>,
영어판 명칭=Backup Squad,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또는 상대 효과로 자신이 1000 이상의 데미지를 받을 때마다 발동한다. 그 데미지 1000 당 1장\, 자신은 덱에서 드로우한다.)]
높은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가 쉽게 나오는 환경 특성상 드로우 자체는 어렵지 않다. 하지만 보급 부대와 달리 거의 상대 턴에만 드로우할 수 있기에 드로우한 보람이 없을 수 있다. 트릭스터처럼 자잘한 데미지를 여러 번 주는 식의 덱에게도 거의 무의미하다.

유희왕 5D's 코믹스에서 유세이가 쓴 데미지 드로우가 이 카드랑 비슷한 효과를 가졌다. 그쪽은 3000 이상의 전투 데미지를 받았을 때만 쓸 수 있는 함정 카드였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CPU에게 쓰면 CPU는 상대 몬스터 존이 텅 비었어도 절대 공격력이 1000 이상인 몬스터로 공격하지 않는다. 상대를 드로우시키는 행위를 꺼리도록 프로그래밍 되어있어 그런 모양. 따라서 CPU 상대로 이걸 써서 드로우 많이 하려는 생각은 하지 말 것.

하지만 어느 새 AI가 수정됐는지 이제 CPU가 개의치 않고 공격한다.

일러스트는 보급 부대에서 이어지는데 보급병으로 온 돌격 부대들이 포탄을 맞고 쓰러져, 고블린의 보충 부대가 대신 투입되고 있다. 당연히 무장 안 된 공병인 보충 부대는 고블린 엘리트 부대에게 항의 중.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서킷 브레이크 CIBR-KR065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CIRCUIT BREAK CIBR-JP065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Circuit Break CIBR-EN065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2018 Mega-Tin Mega Pack MP18-EN145 레어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