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8 11:02:18

분리형 컨트롤러

파일:51YXZgm0DbL.jpg 파일:https___kr.hypebeast.com_files_2025_04_03_nintendo-switch-2-direct-june-release-date-detail-information4.webp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2

1. 개요

Detachable controller

탈착형, 탈착식 컨트롤러 라고도 하며, 컨트롤러를 본체에서 분리 후에도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컨트롤러를 의미한다.

2. 역사

시중에서 이러한 탈착형 컨트롤러를 처음 선보인 기기는 2017년 출시된 닌텐도 스위치이다.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게임 본체에서 컨트롤러를 탈착해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용과 독모드를 통한 거치형의 하이브리드 조합으로 큰 호평을 받았고, 추후 여러 게임기가 탈착형 컨트롤러를 채택하게 되는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물론 기존에 90년대에도 Detachable controller 라는 말이 쓰이긴 했는데, 이때는 현대에 쓰이는 것 처럼 뽑은 상태에서도 무선 연결이 되는걸 의미하지 않는다. 당시에는 거치형 콘솔과 컨트롤러가 무조건 선으로 이어져있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런 경우 무조건 일체형이었기 때문에 컨트롤러가 마모되거나 고장나도 컨트롤러만 교체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를 뽑을 수 있는 형태만 따로 Detachable controller 라고 부른 것일 뿐이며, 당연히 선을 뽑으면 그대로 연결이 해제된다.

사실 닌텐도는 이전에 1984년 게임 & 워치 Micro vs System (BX-301) 모델 (일명 복싱게임기) 에서도 본체에서 컨트롤러만 따로 빼는 형태를 선보인바 있는데#, 물론 당시 기술의 한계로 무선 연결이 아닌 여전히 유선으로 연결되어있지만 컨트롤러만 따로 빼는 점에서 현대의 스위치식 분리형 컨트롤러의 전신으로 보기도 한다.

이하 목록은 본체와 일체형으로 연결[1]되고, 탈착 후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2]만 한정한다. 본체/컨트롤러 간의 탈착이 아닌 컨트롤러 자체만 나뉘어지는 경우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컨트롤러 처럼 애초에 일체형이 아닌 기기의 서드파티 제품으로 탈부착이 되는 경우는 제외한다.

3. 목록

3.1. 콘솔

3.2. Android 게임기

  • GPD XP (2021): 오른쪽 컨트롤러만 모듈형
    • GPD XP Plus (2022)
  • PIMAX Portal (2023)[4]: 최초로 분리된 컨트롤러를 VR 컨트롤러에 탈착해 활용하였다.
    • PIMAX Portal QLED (2023)

3.3. 핸드헬드 게이밍 PC

  • ONE X PLAYER 2 (2023)
    • ONE X PLAYER X1 시리즈 (2024)
  • Lenovo Legion Go (2023)[5]: 분리된 컨트롤러를 마우스로 이용한다는 점을 최초로 선보였다.
    • Legion Go Gen 2 (2025)
  • WinGame HL108G (2024)[6]

[1] 직결 상태에서도 컨트럴로 사용 가능이 필수적이며, Project DualPlay 처럼 직결 상태에선 컨트롤러 조작이 불가능한 단순 거치는 포함하지 않음.[2] AYANEO 3 처럼 탈착 상태에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는 포함하지 않음.[3] 일체형인 라이트 제외[4] 일체형인 레트로 버전 제외[5] 일체형인 Legion Go S 제외[6] ODM 제품이므로 공식적인 브랜드는 없고 판매 페이지에 따라 모델명은 다르다. 다만 10.5 인치, 인텔 N95 프로세서를 탑제한 컨트롤러 탈착식 미니 PC 라면 전부 이 제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