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11:26:48

Vindictus: Defying Fate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빈딕투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해당 북미 정발명을 지닌 게임에 대한 내용은 마비노기 영웅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해당 북미 정발명을 지닌 게임:
마비노기 영웅전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마비노기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8080,#7f7f7f> PC <colbgcolor=#808080,#7f7f7f><colcolor=#eee> MMORPG 마비노기
(2004)
마비노기 2: 아레나
(개발 중단)
MORPG 마비노기 영웅전
(2010)
RPG Vindictus: Defying Fate
(미정)
콘솔
모바일 마비노기 연동 마비노기: 생활의 달인
(2013)
마비노기: 나의 기사단
(2015)
마비노기 비연동 마비노기 걸즈
(2013)
마비노기 듀얼
(2015)
마비노기 모바일
(2025)
}}}}}}}}} ||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Vindictus: Defying Fate
파일:빈딕투스 디바잉 페이트.jpg
<colbgcolor=#353535,#353535><colcolor=#ffffff,#fafafa> 개발 넥슨[1]
유통 넥슨
플랫폼 PS5 | XSX|S | Windows
ESD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 Steam
장르 ARPG
출시 미정
엔진 언리얼 엔진 5
한국어 지원 음성 및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상점 페이지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트레일러3. 시스템 요구 사항
3.1. 프리 알파 테스트
4. 발매 전 정보5. 시스템
5.1. 플레이어블 캐릭터5.2. 지역
6. 평가7. 기타

[clearfix]

1. 개요

넥슨에서 마비노기 영웅전의 IP를 활용하여 개발하는 액션 게임.

제목은 마비노기 영웅전의 북미판 출시명이었던 'Vindictus'를 활용한 것이며 부제인 'Defying Fate' 역시 시즌 1의 최종 보스 캐릭터인 카단 스테이지의 BGM '운명을 넘어서'의 영어 제목.

Vindictus라는 단어에 대해서는 북미 마비노기 영웅전(빈딕투스) 페이스북에서 vindictive(용서하지 않는)와 vindicate(구원)이 연상되도록 만든 신조어라고 밝혔다.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로 풀네임을 부르기는 길어서 축약어가 사용되는데, 24년 5월 디코 공지부터 풀네임을 줄여서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빈디페로 부르기 시작했다.

2. 트레일러

3. 시스템 요구 사항

3.1. 프리 알파 테스트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dddddd,#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rowbgcolor=#dddddd,#010101><rowcolor=#000000,#e0e0e0>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파일:Windows 로고 블랙.svg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e0e0e0> 운영체제 Windows 10 Windows 10
프로세서 Intel Core i7-4770
AMD FX8300
Intel Core i7-7700
AMD Ryzen5 2400G
메모리 8 GB 16 GB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1060 VRAM 6GB
AMD Radeon RX 480
NVIDIA GeForce RTX 2060 VRAM 8G
AMD Radeon RX 5700 XT
API DirectX DirectX
저장 공간 GB GB


비록 프리 알파 테스트 상태인 게임이긴 하지만, P의 거짓 이후로 간만에 플레이가 원만하게 가능한 국산 AAA 급 3D 게임 타이틀이 등장했기 때문에 퀘이사존에서 하드웨어적인 테스트를 진행했다.

초고사양 국산 겜?! 빈딕투스 프리 알파 그래픽카드 벤치마크

결과는 프리 알파 테스트 상태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최적화 상태는 좋지 않았다. 7950X3D같은 현존 최고 게임 CPU를 기준으로 그래픽카드 별로 FHD에서도 4090급에서만 120 프레임이 가능하고 4070부터 60프레임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4K에 이르면 4090도 55프레임 정도, 7900XT부터 30프레임 이상이 가능하다는 걸로 결론지어졌다.

당연히 기본 컨셉도 확정되지 않은 게임인 만큼, 게임 리소스 최적화 단계는 한참 먼 게임이기 때문에 실제로 게임 나왔을때는 어떻게 될진 알 수 없다. 다만, 언리얼 5 최신 엔진을 활용한 그래픽의 요구 사양이 높음을 엿볼 수 있는 자료고, 추후 비교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참고하면 될 데이터라 할 수 있다.

실제 스팀 평가나 인터넷 방송, 게임 유튜브 채널에서 최적화를 이유로 테스트 불가하다는 평가는 보기 드물었던 것으로 봐서, 낮은 프레임에도 보스와 공방전을 하는 게임성을 누리는 데 큰 문제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4. 발매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indictus: Defying Fate/발매 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시스템

5.1. 플레이어블 캐릭터

  • 피오나
파일:디바잉 페이트 피오나.jpg}}} ||
한손검과 방패를 이용해 견고한 공방을 펼치는 검사
피오나는 필요할 때만 입을 여는 과묵한 용병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녀의 실력을 추켜세우면서도 무뚝뚝한 언행에 대해선 수군댄다.
하지만 그녀의 방패와 굳센 등 뒤에 한 번이라도 서 본 자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그녀가 자신을 위해 기꺼이 앞에 나섰다고.
찰나의 망설임조차 일말의 두려움조차도 없이 강대한 적으로부터 자신을 감쌌노라고.
프리 알파 테스트 당시 캐릭터 선택 화면에서 피오나에 대한 설명
전작에 나온 피오나의 리메이크 버전.
  • 리시타
파일:디바잉 페이트 리시타.jpg}}} ||
쌍검을 이용해 호쾌하고 화려한 검술을 구사하는 전사
허리춤의 날카로운 두 자루 검과 달리 리시타는 깊은 눈빛을 지닌 다정한 청년이다.
처음 보는 이에게도 친절하고 날이 선 말도 곧잘 웃어넘긴다.
이런 리시타가 속없다느니 용병답지 않다느니 말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주저 없이 적진을 향해 자기를 던지는 모습을 보고 나면 누구든 알 수 있다.
리시타가 거쳐온 평탄치 않은 삶과 무거운 상처, 그리고 그가 품은 굳센 결의를.
프리 알파 테스트 당시 캐릭터 선택 화면에서 리시타에 대한 설명
전작에 나온 리시타의 리메이크 버전. 영어 명칭은 원작 그대로 Lann을 사용한다.

프리 알파 테스트 기준으론 피오나와 리시타만이 준비되어 있다. 하지만 정식 출시 단계에선 이 둘만 나올 리는 없기 때문에 몇가지 영웅이 더 추가된 상태로 출시될 가능성이 높으며 프리 알파 테스트 종료와 함께 올라온 공지에서 카록델리아가 개발중임을 밝혔다. # 지금까지 출시되거나 출시 예정인 캐릭터들의 공통점은 리시타 - 피오나, 카록 - 델리아 둘 다 원작에서 인연 관계로 묶인 사이라는 점이다.

5.2. 지역

파일:빈디페 NPC.png

테스트 종료 공지에서 콜헨로체스트의 NPC인 에른와스와 돌로레스의 개발 모델링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원작의 두 마을 모두 출시 단계에서 구현될 것으로 보인다.

5월경 공개된 Dev Log에서는 아율른의 모습을 담은 짤막한 영상이 공개되었다.

6.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indictus: Defying Fate/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원제보다는 대체적으로 마영전2로 부른다. 편의상 그렇게 부르는 것도 이유지만 원래부터 빈딕투스는 마비노기 영웅전의 북미 런칭용 타이틀이라 한국 게이머들에겐 익숙하지 않고 따라서 본래의 IP를 연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원작에 대한 경험이 크지 않거나 없는 플레이어들은 단순히 빈딕투스 정도를 차용하거나, 자연스레 연상할 수 있는 빈딕, 빈디페 등의 약칭으로 칭하는 편이다.


[1] CAG Studio라는 사내 개발스튜디오에서 개발 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