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19:02:58

사이버 블루(배틀 서킷)

브라이언 브루노에서 넘어옴

1. 소개2. 기술3. 그 외

1. 소개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285px-CyberBlue.png
본명: 브라이언 브루노
나이: 24세
국적: 미국

성우모리카와 토시유키.

전신에 무기를 장비한 사이보그이자 세계적 수준의 바운티 헌터. 명랑한 여자를 좋아하며 엄청 쉬운 성격. 정의감 따위는 신경쓰지 않지만 바운티 헌터로써 의뢰받은 일을 수행하는데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타고난 플레이보이지만 실력은 팀내 No. 1.

2. 기술

기술 비용 설명
배틀 다운로드
블루 스트라이크
- 공격력이 2배 증가
하이퍼 토네이도 50 대공필살기(↓↑A)의 업그레이드
버닝 힐킥 100 대시공격의 업그레이드
히트 킥 200 대시점프 정점에서 A를 누르면 나가는 유성킥.
기가 크래시 300 메가 크래쉬가 화면전체 판정이 된다.
데미지가 작살이라 보스전에서 마무리로 유용하다.
사이버 캐논 500 차지샷. A를 빨간색이 될 때까지 지속 후 지상에서 뗀다
이 계열에선 정통파 스탠다드 캐릭터라 할 수 있으나 배틀 다운로드의 효과 때문에 사실상의 파워 타입.

일단 밸런스 타입답지 않게 기술 위력들이 전체적으로 강력한데다가 스피드도 좋아[1] 일반적인 진행 및 초보자가 쓰기에는 좋은 캐릭터이다. 사실 상 벨런스 중심의 파워 캐릭터라고 보면 된다. 특히 기가 크래시는 무식한 위력과 화면 전체를 커버하는 범위를 자랑하기에 매우 강력하며, 무엇보다 적의 가드[2]를 무시하고 그대로 무식한 화력을 고스란히 때려박는데다가 체력이 적은 일부 적들은 전부 1~2번이면 손쉽게 처리할 수 있고, 대부분의 보스들한테 체력을 어느정도 깎은 다음 기가 크래쉬만 난사해도 어지간한 보스들은 전부 비명횡사를 할 정도. 그리고 싱크로 버스트와 더불어 플루토의 악랄한 패턴 중 하나인 메테오 패턴을 손쉽게 파해할 수 있는 몇 안되는 기술 중 하나.

사이버 캐논은 사실상 이 게임 내에서 최강의 차지샷이라 해도 될 정도로 무지막지한 고성능이라 봐도 무방한 기술인데, 화면 끝까지 나가는 무지막지한 사거리+높은 데미지+정신나간 판정+간단한 커맨드라는 사기적인 스펙으로 똘똘 뭉쳐있는 기술인데, 특히 판정이 얼마나 좋은가 하면 세로축 범위가 워낙 넓은데다가 사거리까지 길어서 어지간한 잡졸들은 물론이고, 심지어 일부 중간보스들조차 접근도 못하고 사이버 캐논에 그대로 농락당하다가 죽을 정도. 게다가 윗쪽 판정도 제법 넓은 편이어서 공중에서 날아오는 적들도 무난하게 걷어내는데다가 사이버 블루의 기동성도 워낙 좋다보니 그냥 도망만 다니면서 차지샷만 잘 써줘도 왠만한 필드의 잡졸들을 수월하게 처리할 수가 있다. 심지어 이 게임의 골칫거리 보스인 플루토같은 경우는 사이버 캐논이랑 기가 크래시만 적절하게 잘 사용해줘도 어렵지 않게 잡을 정도로 사실상 플루토의 유일한 하드카운터라 봐야할 정도.
몇 안되는 단점이라면 가드가 존재하는 일부 적들한테는 막혀서 이들 상대로는 차지샷의 화력이 급격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차지샷 말고도 다른 기술도 함께 적절하게 사용해서 파훼해야 한다는 점. 또한 가드가 없는 일부 보스 상대로도 어느정도 봉인해야하는데 체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면[3] 슈퍼아머 상태로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미사일을 쏴대는 4스테이지 보스인 옥토퍼스, 강력하고 빠른 원거리 공격으로 역으로 사이버 캐논을 카운터를 치는 5스테이지 보스인 독&제니퍼, 그리고 디펜스 모드 한정 플루토한테는 잘 사용되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강력한 화력과 고성능의 기술들을 얻은 대가로 코인벌이와 스코어링만큼은 전캐릭터 중 최악인데, 하이퍼 토네이도를 제외하면 코인을 뽑아낼 수 있는 기술들이 사실상 전무할뿐더러 그렇다고 하이퍼 토네이도가 코인벌이에 딱히 좋은 기술인가 하면 그런것도 아닌데 기술 자체의 데미지가 꽤 높다보니 적들의 체력이 그만큼 빠르게 사라지기 때문에 코인을 많이 벌어먹기도 어려울뿐더러 기술을 쓰고 난 뒤 빈틈이 워낙 큰 기술이다 보니 제대로 활용기가 힘들다는 점, 밥줄 기술인 기가 크래쉬랑 사이버 캐논을 포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는데다가 , 무엇보다 안정적인 코인벌이를 위해서는 배틀 다운로드를 포기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사이버 블루는 사실상 화력도 그렇게까지 높은것도 아니면서 기술성능도 애매모호하고 코인벌이가 최악인 캐릭터로 전락하게 되버린다. 이런 이유 때문에 스코어링에 한해서는 게임 시스템 상 코인 벌이/스코어링 효율이 최하라는 단점을 가진다.[4] 파워가 강력하지만, 배틀 다운로드 상태가 아닐 때는 그렇게 까지 높지도 않으니 배틀 다운로드를 얼마나 적재적소에 잘 활용하는지가 사실상 이 캐릭터의 핵심이다. 스코어를 노리는 건 그냥 관두고 게임 클리어를 시원하게 즐기는 데 초점이 맞춰진 캐릭터. 작정하고 플레이하면 이런 식의 스피드런까지 가능하다.

기가크래시에 대해 약간의 부연 설명을 하면, 화면전체 공격이 되는 대신, 통상 메가크래시로도 공격이 됐던 아이템 박스(굴러오는 드럼통 제외)및 화염방사기, 그리고 건물[5]의 파괴가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반동 대미지를 받는 조건은 적 캐릭터가 1체라도 있을 것이라서, 적 캐릭터가 아예 없는 상황에 한해서는 굴러오는 드럼통 및 원반형 트랩을 기가크래시로 제거하면 반동 대미지가 들어오지 않는다.
또한 위에서도 말했듯이 가드불능 판정도 있기 때문에 가드를 하는 적들은 물론이고 심지어 플루토의 디펜스 모드나 메테오 패턴도 그대로 무시하고 고스란히 데미지를 줄 수가 있다.

이것만 보면 나름 유용한 기능이라 볼 수도 있다만 적 캐릭터가 1체라도 있으면 반동 대미지가 반드시 들어온다는 점 때문에 진 최종보스전 한정으로 조금 난감해진다. 돌입시 바이탈 게인 이외의 전 기술이 강제 업그레이드되는 사양상, 기가크래시도 강제로 장착되기 때문. 따라서 진 최종보스가 박스 난사 패턴 발동으로 화면 밖으로 나가지 않는한 IGS사의 삼국전기 마냥 확정으로 체력이 소모된다. 다른 캐릭터들처럼 메가크래시를 보스에게 안 맞추는 범위에서 연타하는 회피꼼수[6]가 안 통한다는 이야기. 하지만 마스터 프로그램이 그렇게 어려운것도 아니라서, 기가 크래쉬가 없어도 충분히 공격을 회피할 수 있고, 2번 정도 찬스를 제대로 잡으면 기가 크래쉬 난사로 최종보스를 눕혀버릴 수 있기에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니다.
그 외에 소소한 단점이자 특이점이라면 강화판 기가크래시 한정으로 배틀 다운로드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기 때문에 배틀 다운로드를 키더라도 데미지는 배틀다운로드를 켜기 전과 데미지가 그대로 동일하기 때문에 기가 크래시를 난사해서 보스를 순삭할 목적이라면 배틀 다운로드는 절대로 켜지 말아야한다.

종합적으로는 코인벌이/스코어링은 최악이지만, 역으로 이를 포기하고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고성능 배틀 다운로드, 최강의 성능을 자랑하는 전체판정 기술 기가 크래시, 미쳐버린 성능의 차지샷인 사이버 캐논이라는 막강한 고성능 기술들을 필두로 이들을 적절하게 잘 활용하면 어지간한 스테이지는 전부 쉽게 클리어할 수 있는 사실상 손꼽히는 최강캐릭 중 한명이라 볼 수 있으며, 특히 배틀 다운로드와 기가 크래시의 존재 덕분에 1인플레이, 다인플레이 가리지 않고 좋은 성능을 자랑하는 팔방미인 캐릭터.

3. 그 외

전신이 무기인 사이보그 청년이란 설정은 동명의 만화 사이버 블루에서 모티브를 얻은 듯 하다.

작품 외적으로는 카드 파이터즈 DS[7]와 프로젝트 크로스 존 2에서 외부 출연을 달성했으며, 특히 프로젝트 크로스 존 2에서는 무신 코만도에 이어서 캡틴 코만도의 공격에서 등장해 사이버 캐논을 사용한다.

2019년 現 시점에선 유일하게 4천만을 못 넘고 있다. 캡틴 실버도 턱걸이로나마 4천만을 넘었는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그 빠르다는 스피드 타입의 아이리스 옐로보다 근소하게 느릴 정도로 기동성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2] 플루토의 디펜스 모드도 그대로 씹고 고스란히 데미지를 줄 수 있다.[3] 보스전 초반에는 폭탄을 여기저기 뿌리면서 돌아다니는데 이때는 신나게 폭탄을 피하면서 사이버 캐논으로 저격해도 된다.[4] 예전 사이버 블루 전일인 セイイチ가 코멘트에 「더 이상은 무리!(これ以上はムリ!)」라고 발언했는데, 어떻게 플레이했길래 실버보다 더 어렵다는 말이 나오나 싶을 것이다. 모처의 배틀서킷 4인플 전원 노다이+천제 조우 올 클리어 영상을 보면 코인벌이 효율이 최하인 점이 발목을 잡아 사이버 블루를 잡은 2P가 3 스테이지 클리어 후 20코인 모잘라서 기가 크래시를 못 구입하여 곶통받는 모습을 보여준다.[5] 구체적으로는 4스테이지 후반부 랩타일 제조 플랜트를 제어하는 컴퓨터(파괴시 렙타일의 증원을 봉쇄할 수 있다), 5스테이지 개막시 유리벽과 직후의 닥터 새턴이 갇힌 감옥, 동 스테이지 후반부의 바나나를 떨어트리는 야자수.[6] 메가크래시 사용후에도 일정시간동안 무적시간이 발생하는 친절한 사양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무한 회피가 가능하다. 블루의 기가크래시는 강제 전체공격이므로 그게 안 된다는 것.[7] 해당 고유 능력인 배틀 다운로드의 액션 카드로 등장. 실제로 사용하면 BP가 300인 캐릭터는 600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