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01:51

서편제(소설)



소설가 이청준이 1976년 집필한 소설이다. 영화 서편제의 원작이기도 하다. 원래는 단편 연작인 '남도사람'에 수록된 단편소설로 한(恨)과 소리, 억압과 예술에 대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후에 소설집 제목을 서편제로 변경하기도 하였다.

영화와 마찬가지로 방랑하는 소리꾼이 아들과 수양딸 남매를 데리고 판소리를 가르치기도 하였지만 나중에 아들이 방랑에 불만을 품고 아버지와의 실랑이 끝에 이탈하고 딸마저 이탈할까를 우려하여[1] 아버지가 그녀에게 딸이 잠자는 사이 두 눈에 청강수를 넣어 눈을 멀게 한다[2]. 결국 딸은 앞 못보는 장님이 되지만 소리는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영화와는 달리 원작만의 분위기가 있으며 영화의 경우 일부 내용을 각색하여 소설에는 나와있지 않은 내용이 담겨져 있기도 하다. 그러나 원작소설에는 영화에 없는 부분이 더 많은데, 이것은 일부분만 영화화 되었기 때문이다. 남도사람은 다섯 편의 연작 단편소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영화 '서편제'의 원작은 1편 "서편제"와 2편 "소리의 빛"부분이다. 3편 "선학동 나그네"는 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고, 2007년에 임권택 감독에 의해서 천년학이라는 영화로 제작된다. 서편제 본 줄거리와 별 관련이 없는 4, 5편은 아직 영상화되지 않았다.[3] 그리고 5편은 이청준의 다른 연작(언어사회학서설)과 크로스오버 작품이기도 하다.

영상화 작품은 임권택 작품만 있는게 아니라 1982년에 방영된 TV 문학관 소리의 빛 편도 있다. 하이틴 스타 조용원의 드라마 데뷔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좋은 소리를 내기 위해서 장님으로 만들었다는 일설도 있다.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한(恨)이 서려야 하는데, 앞을 보지 못하게 된 한을 실어내기 위해서였다고... 이는 영화에서도 동일하게 나왔다.[2] 영화판에서는 눈을 멀게 하는 약(藥)을 달여서 그녀에게 먹이게 하는데, 투구꽃에서 추출한 부자라는 독이다. 참고로 이건 사약 재료로도 쓴다. 흠많무.[3] 4편 '새와 나무'는 과수원 주인의 이야기로 서편제 주인공들과는 별 연관이 없다. 과수원 주인이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 여자의 오빠일 수도 있지만 아닐 수도 있다. 5편 '다시 태어나는 말'은 초의선사의 다도를 연구하러 온 사람에게 초의 전문가가 서편제 남매의 이야기를 해주는 내용으로 이청준의 다른 소설들에 나온 이야기를 변주한 것이다. 두 작품 다 철학적이라 영상화에 적당하지 않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