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포항 1 | 포항 2 | 포항 3 | 포항 4 | 포항 5 |
한창화 | 김희수 | 이칠구 | 연규식 | 박용선 | |
포항 6 | 포항 7 | 포항 8 | 포항 9 | 경주 1 | |
서석영 | 이동업 | 김진엽 | 손희권 | 배진석 | |
경주 2 | 경주 3 | 경주 4 | 김천 1 | 김천 2 | |
최덕규 | 최병준 | 박승직 | 최병근 | 이우청 | |
김천 3 | 안동 1 | 안동 2 | 안동 3 | 구미 1 | |
조용진 | 김대진 | 권광택 | 김대일 | 김용현 | |
구미 2 | 구미 3 | 구미 4 | 구미 5 | 구미 6 | |
황두영 | 허복 | 김일수 | 정근수 | 윤종호 | |
구미 7 | 구미 8 | 영주 1 | 영주 2 | 영천 1 | |
김창혁 | 백순창 | 임병하 | 박성만 | 이춘우 | |
영천 2 | 상주 1 | 상주 2 | 문경 1 | 문경 2 | |
윤승오 | 남영숙 | 김홍구 | 박영서 | 김창기 | |
경산 1 | 경산 2 | 경산 3 | 경산 4 | 의성 1 | |
차주식 | 배한철 | 박채아 | 이철식 | 최태림 | |
의성 2 | 청송 | 영양 | 영덕 | 청도 | |
이충원 | 신효광 | 윤철남 | 황재철 | 이선희 | |
고령 | 성주 | 칠곡 1 | 칠곡 2 | 예천 1 | |
노성환 | 정영길 | 정한석 | 박순범 | 도기욱 | |
예천 2 | 봉화 | 울진 | 울릉 | ||
이형식 | 박창욱 | 김재준 | 남진복 | ||
* 구미 4 김상조 사망 (2023.8.10.) * 영양 박홍열 사퇴 (2023.9.14.) * 울진 김원석 당선무효 (2023.10.12.) * 성주 강만수 당선무효 (2024.4.11.) |
}}}}}} ||
1. 개요
TK에 농촌 지역인만큼 보수세가 엄청 강하다. 그나마 성주읍은 보수세가 약하긴 하지만 이것도 TK 한정이지 전국적으로 보면 보수세가 매우 강하다.2. 역대 선거 결과
2.1.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주군 제1선거구 성주읍, 선남면, 월항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영길(鄭永吉) | 무투표당선 | |
[[새누리당|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성주군 제2선거구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수경(李洙京) | 무투표당선 | |
[[새누리당|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2.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주군 제1선거구 성주읍, 선남면, 월항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강만수(姜萬壽) | 4,477 | 2위 |
[[자유한국당| | 31.43% | 낙선 | |
6 | 정영길(鄭永吉) | 5,997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2.10% | 당선 | |
7 | 안성호(安成鎬) | 1,904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36% | 낙선 | |
8 | 백철현(白鐵鉉) | 1,865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0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0,911 | 투표율 70.17% |
투표 수 | 14,673 | ||
무효표 수 | 430 |
성주군 제2선거구 용암면, 수륜면, 대가면, 가천면, 금수면, 벽진면, 초전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이수경(李洙京) | 5,486 | 1위 |
[[자유한국당| | 40.28% | 당선 | |
3 | 여노연(呂魯淵) | 1,161 | 4위 |
[[바른미래당| | 11.46% | 낙선 | |
6 | 배명호(裵明鎬) | 3,453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5.35% | 낙선 | |
7 | 박기진(朴圻瑨) | 3,11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2.8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328 | 투표율 73.41% |
투표 수 | 14,189 | ||
무효표 수 | 571 |
당시엔 성주군이 2개의 선거구로 나뉘었다. 하지만 그 이후 인구가 줄어들면서 하나로 합구되었다.
2.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주군 선거구 성주군 일원[성주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강만수(姜萬壽) | 12,838 | 1위 |
| 50.01% | 당선 | |
4 | 정영길(鄭永吉) | 12,832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9.9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9,451 | 투표율 67.51% |
투표 수 | 26,637 | ||
무효표 수 | 967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가장 적은 표차인 6표차로 당락이 결정되었다. 심지어 개표율 99.99%일때도 단 1표차밖에 나지않아 승부가 결정되지 못했을 정도.
2.4. 2025년 재보궐선거
성주군 선거구 성주군 일원[성주]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5 | 정영길(鄭永吉) | 무투표 당선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보수 초강세 지역임에도 국민의힘이 후보를 구하지 못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무소속 정영길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