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정의 및 어원세놀리틱(Senolytic)이란 노화된 세포(Senescent cell)만 골라서 제거하는 물질 또는 작용을 뜻한다.
노화세포는 더 이상 분열하지 않지만 완전히 죽지도 않은 채,
주변에 염증 유발 물질(SASP)을 뿜어내며 조직 노화나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세놀리틱이라는 단어는 Senescence(세포 노화)와 -lytic(녹이다, 제거하다)의 합성어로
“노화세포를 제거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용어다.
• 연구의 출발점
이 개념은 2011년, 미국 Mayo Clinic과 Scripps Research Institute의 공동 연구팀이
노화세포를 제거하면 생체 기능 저하가 완화된다는 동물 실험 결과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연구는 노화세포가 단순히 무해한 세포가 아니라, 지속적인 염증 유발 인자(SASP)를 분비해
주변 조직에 악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후 세놀리틱은 노화 지연 및 질환 예방을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2. 개념 정리
• 의미세놀리틱은 세포 노화(senescence)가 진행된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물질 또는 작용을 의미한다.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노화세포만을 표적하여 사멸시킨다는 점에서 선택성이 중요한 특징이다.
• 작용 기전
노화세포는 일반적으로 세포자멸사(apoptosis)를 회피하기 위한 생존 경로(Bcl-2, Bcl-xL 등)를 활성화하는 경향이 있다.
세놀리틱 물질은 이러한 생존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노화세포가 자연스럽게 제거되도록 유도한다.
• 기대 효과
세놀리틱은 노화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증 유발 인자(SASP)를 감소시켜 만성 염증을 완화하고,
주변 조직의 기능 회복과 재생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기적으로는 노화 지연, 면역 기능 유지, 질환 예방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 특징
기존의 항암제와 달리, 세놀리틱은 특정 상태(노화 상태)에 있는 세포만을 제거하려는 점에서
독성 최소화와 표적 치료라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3. 대표 성분
성분명 | 주요 출처 | 작용기전 / 특징 | 분류 |
피세틴 | 딸기, 감 등 | 노화세포 선택적 제거 / 항산화 / 항염증 작용 | 식물 유래 |
퀘르세틴 | 마누카 꿀, 양파, 사과 등 | 염증 억제 / 항산화 / 일부 노화세포 억제 작용 | 식물 유래 |
다사티닙 | 항암제 | Tyrosine kinase 억제 / 노화세포 제거 | 합성 의약품 |
Navitoclax | 항암제 | Bcl-2 계열 억제 / 세포자멸사 유도 | 합성 의약품 |
각 성분은 단독으로도 세놀리틱 효과를 가지지만,
복합적으로 사용했을 때 상호 보완 작용으로 더 높은 효능을 보일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4. 최신 연구 동향
• 기능 확장세놀리틱 물질은 단순한 노화세포 제거를 넘어,
조직 재생, 면역 기능 조절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연구들은 기존의 항암제뿐만 아니라, 피세틴, 퀘르세틴 등 식물 유래 성분에서도
세놀리틱 활성이 확인되며 복합 성분 조합의 시너지에 주목하고 있다.
• 피부과학 및 스킨케어 분야
피부 노화 및 염증성 피부 상태를 타깃으로 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스킨케어 분야에서 세포 기반 항노화 접근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평가받고 있다.
• 의학적 응용
특히, 노화 관련 염증성 질환(예: 골관절염, 폐섬유화)에서
세놀리틱 성분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려는 전임상 연구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5. 활용
• 화장품 및 스킨케어피부 노화와 관련된 세포 노화를 타깃으로 하는 스킨케어 성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제품에서는 세놀리틱 개념이 적용된 성분이 사용되기도 한다.
• 건강기능식품
피세틴(Fisetin), 쿼세틴(Quercetin), 커큐민(Curcumin) 등의 식물 유래 성분이
세포 노화를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를 기반으로 일부 보충제에 활용되고 있다.
• 노화 관련 질환 치료제
세놀리틱 기술은 노화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접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쿼세틴(Quercetin), 피세틴(Fisetin), 다사티닙(Dasatinib) 등의 성분은 세놀리틱 후보로 연구되고 있으며,
동물 실험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응용은 계속해서 연구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이 기대된다.
6. 참고 자료
*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phar.2022.1022964/full Fisetin – Senolytic and Senomorphic Secondary Metabolites in Age-Associated Disorders]
: Fisetin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병리학적 특징을 완화시키는 세놀리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phar.2022.1022965/full Quercetin – Impacts of Senolytic Phytochemicals on Gut Microbiota]
: Quercetin과 같은 세놀리틱 식물 화학물질은 장내 노화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