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06:37:18

Cell Lab: Evolution Sandbox


Cell Lab 위키아
Cell Lab 토론 포럼[1]
구글 플레이 스토어 링크[2]

1. 소개2. 게임 내용
2.1. 과제 실험실2.2. 실험동
2.2.1. 기판 설정2.2.2. 현미경2.2.3. 유전자
2.3. 유전자 냉장고
3. 등장하는 세포
3.1. 녹조세포3.2. 섭식세포3.3. 편모세포3.4. 지방세포3.5. 포식세포3.6. 각질세포3.7. 부유세포3.8. 접착세포3.9. 질소세포3.10. 감염세포3.11. 신경세포3.12. 근육세포3.13. 감각세포3.14. 조향세포3.15. 분비세포3.16. 줄기세포3.17. 섬모세포3.18. 단상세포
4. 공략5. 팁6. 여담

1. 소개

방사능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려주는 게임.
Cell Lab: Evolution Sandbox는 Petter Säterskog이 개발한 세포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현재는 안드로이드 버전만 개발되어 있다. 줄여서 Cell Lab이라 부른다.
독일어, 영어, 부분적 프랑스어, 부분적 이탈리아어, 한국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등을 지원한다.

2. 게임 내용

이 게임에서는 세포를 이용해서 생명체를 직접 설계해볼 수 있다. 후술할 세포의 기능(종류), 분열 크기나 각도 등으로 생명체를 만들 수 있고, 생명체가 포자를 뿌리거나 분열하는 식으로 순환구조를 만들어 번식을 할 수 있는 생물을 만들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는 '신경 물질'이라는 것으로 주변환경에 따라 반응하는 생명체를 프로그래밍 해볼 수도 있다.

플레이어는 과제 실험실에서 게임 이해를 위한 기본 교육, 즉 튜토리얼을 진행하여 이 게임을 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배울 수 있다. 그리고 도전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전과제에서는 주어진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생명체를 만들거나 세포의 수를 늘이거나 멸종시켜버리는 것들 등등이 있다.

실험동에서는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기판의 환경을 설정하고, 유전자를 자유롭게 설계해 플레이어 자신만의 생명체를 만들어 볼 수도 있다. 플레이어가 설정한 환경에서 원하는 유전자의 세포가 어떻게 자라는지 관찰할 수 있으며, 방사성 조사 옵션을 통해 세포에 변이를 일으켜서 자연선택적 진화를 관찰할 수도 있다.

2.1. 과제 실험실

4개의 기본 교육 단계와 66개의 도전과제로 이루어져 있다. 도전과제는 쉬움/보통/어려움/매우 어려움의 난이도로 구분되어 있다.
과제 목표/현미경/유전자라는 이름의 3개의 창으로 이루어져 있다. 과제 목표는 기본/도전과제의 목표와 진행상황(배치된 세포의 수, 현재 세포 수 등)을 나타낸다. 현미경은 패트리 접시에서 증식하고 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으며, 확대/축소가 가능하다. 또한 기판 온도 설정을 통해 냉동/관찰/배양의 3단계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동 선택시 모든 분열/영양분 투입이 멈추고, 관찰선택시 보통 속도로 분열하며, 배양 선택시 최대 관찰의 약 100배의 속도로 분열한다.[3]
각 도전과제의 한국어 이름은 다음과 같다.
과제 이름 부제[4] 난이도[5]
기본 교육I 현미경 사용법
기본 교육 II 유전자 편집기 사용법
1: 녹조류 세포유형 '섭식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쉬움
2: 녹조류 II 보통
3: 녹조류 III 쉬움
4: 섭식자 세포유형 '편모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쉬움
5: 섭식자 II 쉬움
6: 색소 보통
7: 번식 보통
8: 공존 매우 어려움
기본 교육 III 유전체 디자인 교육
9: 섭식자 III 세포유형 '지방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10: 섭식자 IV 보통
11: 햇빛 보통
12: 청소부 보통
13: 씨앗 세포유형 '포식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쉬움
14: 햇빛 II 보통
15: 섭식자 V 보통
16: 살상 세포유형 '각질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쉬움
17: 번식 II 매우 어려움
18: 오염 어려움
19: 대항책 세포유형 '부유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더 많은 기판 설정 잠금해제 어려움
20: 정복자 어려움
21: 부유체 세포유형 '접착세포', '섬모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보통
22: 부유체 II 보통
23: 기생 어려움
24: 멸균 매우 어려움
25: 혼잡 매우 어려움
26: 미끄러짐 세포유형 '질소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더 많은 유전자 매개변수 잠금해제 쉬움
27: 멸균 II 쉬움
28: 체외수정 어려움
29: 부유체 III 어려움
30: 가혹한 조건 세포유형 '감염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쉬움
31: 가혹한 조건 II 쉬움
32: 공생 어려움
33: 미끄러짐 보통
34: 감염 세포유형 '분비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쉬움
35: 미로 보통
36: 감염 II 어려움
37: 비가환 바이러스 어려움
38: 감염 III 매우 어려움
39: 유전자 치료 매우 어려움
40: 소화작용 세포유형 '단상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매우 어려움
41: 소화작용 II 어려움
42: 인구병목현상 세포유형 '신경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더 많은 프로그램화 가능한 유전자 설정 잠금해제 보통
43: 적응 보통
44: 고생물학 보통
45: 균형 붕괴 매우 어려움
46: 균형 유지 매우 어려움
기본 교육 IV 세포간 신호체계 교육
47: 풍선 세포유형 '근육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보통
48: 마찰 저항 세포유형 '감각세포', '조향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어려움
49: 불안 쉬움
50: 마찰 저항 II 쉬움
51: 식량 부족 매우 어려움
52: 식량 부족 II 쉬움
53: 평지 지구 어려움
54: 식량 부족 III 쉬움
55: 소화작용 III 매우 어려움
56: 포식자 매우 어려움
57: 기만 세포유형 '줄기세포' 이후 과제 활성화 매우 어려움
58: 양분배달 매우 어려움
59: 이동! 어려움
60: 말살 어려움
61: 차별 매우 어려움
62: 기피 어려움
63: 기피 II 어려움
64: 나노봇 보통
65: 사막 매우 어려움
66: 사막 II 어려움

영어 펼치기/접기
|| 과제 이름 || 부제 || 난이도 ||
Tutorial I Introduction to the Microscope
Tutorial II Introduction to the Genome Editor
1: Algae Unlocks gene Phagocyte and further callenges. Undergrad
2: Algae II Phd
3: Algae III Undergrad
4: Macrophages Unlocks gene Flagellocyte and further callenges. Undergrad
5: Macrophages II Undergrad
6: Colors Phd
7: Breeding Phd
8: Coexistence Superhuman AI
Tutorial III Introduction to Genetic Design
9: Macrophages III Unlocks gene Lipocyte and further challenges Undergrad
10: Macrophages IV Phd
11: Sunlight Phd
12: Scavenger Phd
13: Seed Unlocks gene Devorocyte and further challenges Undergrad
14: Sunlight II Phd
15: Macrophages V Phd
16: Decimation Unlocks gene Keratinocyte and further challenges Undergrad
17: Breeding II Superhuman AI
18: Infestation Mad scientist
19: Countermeasure Unlocks gene Buoyocyte and further challenges, Unlocks more substrate parameters. Mad scientist
20: Conquering Mad scientist
21: Floaters Unlocks gene Glueocyte, Ciliocyte and further challenges Phd
22: Floaters II Phd
23: Parasite Mad scientist
24: Sterilization Superhuman AI
25: Mosh pit Superhuman AI
26: Slippery Slope Unlocks gene Nitrocyte and further challenges, Unlocks more genome parameters. Undergrad
27: Sterilization II Undergrad
28: Moss IVF Mad scientist
29: Floaters III Mad scientist
30: Harsh Conditions Unlocks gene Virocyte and further challenges Undergrad
31: Harsh Conditions II Undergrad
32: Symbiosis Mad scientist
33: Slippery Slope II Phd
34: Infection Unlocks gene Secrocyte and further challenges Undergrad
35: Maze Phd
36: Infection II Mad scientist
37: Noncommutative viruses Mad scientist
38: Infection III Superhuman AI
39: Gene Therapy Superhuman AI
40: Digestion Unlocks gene Gamete and further challenges Superhuman AI
41: Digestion II Mad scientist
42: Population Bottleneck Unlocks gene Neurocyte and further challenges, Unlocks programmable genome parameters. Phd
43: Adaptation Phd
44: Paleogenetics Phd
45: Tip the Balance Superhuman AI
46: Keep the Balance Superhuman AI
Tutorial IV Introduction to Cell Signaling
47: Balloons Unlocks gene Myocyte and further challenges Phd
48: Friction Unlocks gene Senseocyte, Stereocyte and further challenges Mad scientist
49: Nervous Undergrad
50: Friction II Undergrad
51: Scarce Conditions Superhuman AI
52: Scarce Conditions II Undergrad
53: Flat Earth Mad scientist
54: Scarce Conditions III Undergrad
55: Digestion III Superhuman AI
56: Predator Superhuman AI
57: Deception Unlocks gene Stemocyte and further challenges Superhuman AI
58: Food delivery Superhuman AI
59: Move it! Mad scientist
60: Extermination Mad scientist
61: Discrimination Superhuman AI
62: Avoidance Mad scientist
63: Avoidance II Mad scientist
64: Nanobot Phd
65: Desert Superhuman AI
66: Desert II Mad scientist

2.2. 실험동

플레이어가 임의로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장소이다. '새 실험' 옵션을 누를 시 새로운 실험을 시작할 수 있다. 실험을 시작하는 버튼을 길게 누를시 확장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최대 세포 수,최대 양분 수, 페트리 접시 지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6].

과제 실험실과 마찬가지로 3개의 창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1번째 창은 과제 목표가 아니라 기판 설정이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기판 옵션을 설정해서 기판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실험동에서는 과제와 달리 기판 온도 설정에서 냉동/관찰/배양 외에도 느린 관찰이라는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느린 관찰 모드는 말 그대로 세포들을 슬로우모션으로 볼 수 있다. 단 느린 관찰모드는 일반 관찰 모드와 다르게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하니[7] 주의하도록 하자. 느린 관찰 모드는 옵션에서 활성화 하거나 비활성화 할 수 있다. 기본값은 비활성화다.

2.2.1. 기판 설정

이 창에서 '냉동고에 실험샘플 저장' 버튼을 누르면 진행상황을 저장할 수 있고, '멸균처리' 버튼을 누르면 패트리 접시 상의 모든 세포를 지울 수 있다. 조절 가능한 옵션은 다음과 같다.
옵션 이름 기능
무작위 세포 생성 체크하면 패트리 접시 내부에서 무작위 세포가 주기적으로 생겨난다.[8]
가장자리의 세포 사멸 체크하면 패트리 접시의 가장자리에 핵이 닿은 세포는 죽게 된다.
방향성 변이 체크하면 세포 변이시 분열 크기나 각도 등 세부적인 수치에서만 변이가 일어난다.
세포 노화 체크하면 세포가 240h 이상 분열하지 않을 경우에 자연사 한다.
영양분 움직임 허용 섭식세포가 아닌 모든 세포에게서 영양분이 밀려난다.[9]
방사성 조사 단계 이 수치가 높을수록 세포에 변이가 일어나거나 방사선으로 인해 파괴될 확률이 커진다.
이 모드를 최대로 올려놓고 편모충을 배양해보자. 체르노빌에서 볼 만한 괴상한 생물체들이 막 나올 것이다. 갑자기 녹조 편모충으로 바뀌거나 편모세포와 떨어져 나가서 섭식세포만의 삶을 사는 세포도 나오며, 갑자기 부유세포가 포식세포로 변한다..
점도 유지 수준 이 수치가 높을 수록 배양액의 점도가 커져 세포가 움직이기 힘들어진다.
동적 마찰 세포가 움직일 때의 마찰을 조절한다.
정적 마찰 세포가 움직이지 않을 때의 마찰을 조절한다.
영양분 분사 주기 패트리 접시에 영양분 입자가 생겨나는 주기를 조절한다.
영양분 입자 크기 영양분 입자의 크기를 조절한다.
영양분 주입 수량 말 그대로 높일수록 영양분의 주입 수량이 증가한다.
영양분 입자 분산도 이것도 마찬가지로 높일수록 고르게 퍼진다.
영양분 지방층 두께 분비세포의 라이페이스를 사용하여 제거가 가능한 지방층을 설정한다.
염도 염도가 높을 수록 세포가 스스로의 염분 농도 유지에 에너지를 덜 사용한다.
태양광 조사 강도 페트리 접시에 비춰지는 태양광의 강도를 조절한다.
태양광 조사 범위 페트리 접시에 태양광이 비춰지는 영역의 크기를 조절한다.
광원 각도 변경 페트리 접시에 태양광이 비춰지는 영역이 돌아가는 속도를 조절한다.
중력 영향 페트리 접시 아래 방향의 중력 세기를 조절한다. 너무 세게하면 세포가 압사한다.
밀도 세포보다 밀도가 높으면 중력에 의해 세포가 가라앉고, 그 반대면 떠오른다.
밀도 변화도 이 수치를 조정하여 패트리 접시의 상부는 밀도가 낮고, 하부는 높게 만들 수 있다.
질산염 세포들의 분열에 필요한 질산염을 조절한다. 질산염이 없으면 질소세포를 이용해야 한다.
유전자 풀 방사성 변이나 무작위 세포 생성 옵션으로 패트리 접시에 나타날 수 있는 유전자의 종류를 결정한다.

2.2.2. 현미경

기판 내부 세포들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세포를 패트리 접시에 집어넣을 수도 있다.
세포 합성기/세포 진단기를 선택했을 때 이 화면에서 보이는 세포 중 하나를 선택하면 시점이 그 세포를 중심에 두도록 바뀐다.

아래 리스트는 기능의 내용.
  • 기판 아이콘(행동 선택)
    • 냉동고에 실험샘플 저장[10] - 현재 기판 데이터가 실험동에 저장된다.
    • 실험 재시작 - 과제 실험실의 초기화 기능. 실험동에 저장된 기판으로 들어갈 경우 저장될 때의 기판 설정값과 세포가 로드되며, 저장되지 않은 상태의 기판인 경우 기본값이 로드된다.
    • 멸균처리 - 기판 설정은 건들지 않으나 기판 내의 세포와 영양분을 제거하는 기능. 저장하지 못한 세포가 있다면 주의해서 사용하자.
  • 섭식세포 아이콘(실험 도구)
    • 세포 합성기 - 세포를 넣을 수 있다. 기본 지급.
    • 광학 족집게 - 세포를 움직일 수 있다. 첫 등장은 과제 7번 번식.
    • 영양분 주사기 - 세포의 질량을 최고상태인 3.6ng로 만든다. 사용대상이 지방세포라면 지방도 18ng까지 최대치로 올려준다. 세포의 색상이 뭐든 분홍색으로 세포의 색상이 바뀌었다 원래대로 돌아온다. 추가로, 세포의 나이를 0h로 바꿔준다. 첫 등장은 과제 6번 색소.
    • 독소 주사기 - 세포를 제거한다. 광학 족집게와 마찬가지로 첫 등장은 과제 7번 번식.
    • 세포 진단기 - 세포의 상태를 확인한다. 확인 가능 상태는 나이, 질량, 질소 비축량, 독소[11], 부상[12], S1, S2, S3, S4, S1 생산량[A], S2 생산량[A], S3 생산량[A], S4 생산량[A], 세포 모드[17], 유형, 거울 모드 사용 여부, 태그[18], 변이도[19], 분비물질[20].
  • 온도계 아이콘(기판 온도 설정)
    • 냉동 - 세포에 어떠한 변화도 나타나지 않으며, 기판 역시 멈춘다.
    • 느린 관찰 - 실험동 기판 한정. 설정에서 저속 배양을 켤 시 사용 가능하다. 설명에도 쓰여있듯 배양과 마찬가지로 일반 관찰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 관찰 - 기본적인 관찰 모드. 표준 속도로 세포의 성장과 변화를 볼 수 있다.
    • 배양 - 관찰보다 빠른 속도로 변화를 볼 수 있다. 관찰모드와 다른 결과가 나온다.

2.2.3. 유전자

현미경 화면에서 선택된 세포의 유전정보를 불러오거나, 직접 세포의 유전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이다.
다음은 유전자 탭 설정의 설명이다.
옵션 이름 기능
미리보기 탭 시간 경과에 따른 세포의 분열 모습을 볼 수 있다. [21] 노란색 슬라이더를 좌우로 움직여 미리보기 시간대를 조정할 수 있다.
저장하기/불러오기 현재 세포 유전자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했던 세포를 불러올 수 있다. 불러오기시 현미경에서 불러오기는 현미경에서 현재 선택된 세포가 불러와지고, 로드 기본 게놈 선택시 처음 아무것도 건들지 않은 유전자 상태로 초기화된다. 유전자 냉장고에 저장된 유전자를 불러올 수 있다.
부착부 생성 체크 시 분열된 두 세포가 붙어 있게 되고, 두 세포는 서로 영양분 교환이 가능해진다.
세포 유형 총 16가지가 있으며 각 유형마다 고유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모드당 하나의 유형을 가질 수 있다.
생명 유지 체크 시 해당 세포가 사멸할 정도로 영양분이 부족할 때 영양분 우선도가 올라간다.
선발 40개의 모드중에 오직 1개에만 체크 할 수 있으며 해당 세포가 미리보기의 0.0h에 나타난다.
자식 1/자식 2 세포가 분열되어 생성되는 두 세포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자식1이 뒤로, 자식2가 앞쪽으로 분열된다.
부착부 유지 체크 시 모체 세포가 부착부로 붙어있던 부분이 자식 세포에게 그대로 유지된다.
거울모드 체크 시 분열할 때 대칭형으로 분열된다.
고정 각도 유지 체크 시 이 설정 아래에 있는 모든 슬라이더를 움직일 때 일정 수치를 기준으로 움직인다.
분열 크기 해당 모드의 세포가 이 슬라이드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만큼 커저야 분열한다. 슬라이드를 가장 오른쪽으로 놓으면 분열하지 않으며, 가장 왼쪽으로 놓으면 세포가 생성된 후 0.5h가 지나면 즉시 분열한다.
분열 각도  분열 시의 각도를 설정한다. 세포는 해당 점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갈라지며 분열한다.
자식 1 각도/자식 2 각도 해당 모드로부터 분열된 두세포의 방향을 설정한다.
적색소/녹색소/청색소 해당 모드의 색을 결정한다.
세포 골격 에너지 소모가 심하지만, 세포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 높은 압력에서도 터지지 않게 한다.
부착부 길이 자식세포들의 부착부 길이가 길어진다. 부착부 활성화를 하지 않았다면 의미가 없어진다.
부착부 최대 개수 세포에게 붙을 수 있는 최대 부착부 개수이다. 현재 부착부 개수가 최대 부착부 개수와 같거나 많으면 분열을 하지 않는다. 독립적으로는 번식할 수 없는 생물종을 만들때 단상세포를 넣는다면 필수적으로 변경해야 한다.

2.3. 유전자 냉장고

저장한 유전자를 관리하는 장소이다. 유전자의 파기, 명칭 변경, 공유가 가능하다.

3. 등장하는 세포

총 18가지의 세포가 등장한다. 베타테스트를 신청한 상태에서도 세포의 종류는 정식 103버전과 차이가 없다.

3.1. 녹조세포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hotocyte.png

필수 사용 과제 : 녹조류 1/2/3, 공존, 햇빛 1/2, 부유체, 멸균, 미끄러짐, 가혹한 조건.

핵 주위에 녹색의 무언가가 있는 세포.

태양광 조사 옵션이 켜져 있는 경우, 태양광이 비춰지는영역에 있을 때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어성장한다. 태양광이 비치는 곳 안에 들어가있을때는 거의 치트 세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녹조세포는 세포 크기가 클 수록 광합성으로 얻는 영양분이 많아진다. 만약 죽지 않는 세포가 필요하다면 이 세포를 붙여놓자. 태양광 세기와 범위 옵션을 최대로 하고 "배양"으로 설정하고 이 세포를 하나 놓아 보자. 세포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암세포 녹조답게 말 그대로 기하급수적으로 분열한다.

3.2. 섭식세포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ell_lab_phagocyte.png

필수 사용 과제 : 섭식자 1/2/3/4/5, 공존, 청소부, 대항책, 정복자, 부유체 2/3, 혼잡, 가혹한 조건 2, 미끄러짐 2, 감염 2/3, 유전자 치료, 소화작용 1/2/3, 인구병목현상, 적응, 고생물학, 균형 붕괴, 풍선, 마찰 저항 1/2, 식량 부족 1/2/3, 평지 지구, 이동!, 말살, 기피 1/2, 나노봇, 사막 1/2.

둥근 형태에 핵이 존재하는 세포
패트리 접시 위의 영양분 입자에 닿을 시 이를 섭취하여 에너지를 만들어 성장할 수 있다. 영양분 입자는 무작위 위치에 생성되므로, 보통 지속적인 영양분 공급을 위해 이동 가능한 다른 세포와 결합해 사용한다. 영양분 입자는 영양분 분사 옵션이 켜져 있는 경우에 무작위로 발생하고 세포가 사멸할 시에도 발생한다.

3.3. 편모세포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Flagellocyte.png

필수 사용 과제 : 섭식자 3/4/5, 햇빛, 청소부, 대항책, 정복자, 공생, 감염 2/3, 소화작용 1/2/3, 인구병목현상, 고생물학, 균형 붕괴, 식량 부족 1/2/3, 평지 지구, 포식자, 기만, 양분배달, 말살, 차별, 기피 1/2

꼬리같이 생긴 편모가 달린 세포. 헤엄치듯 움직이며 이동한다.

주변 환경에서 에너지를 획득하지는 못하지만, 편모를 이용하여 헤엄쳐 이동할 수 있다. 이 세포 하나로는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는 녹조세포, 섭식세포, 포식세포 등과 같이 놓아야 한다. 단 포식세포를 편모세포에 그냥 붙이면 포식세포가 편모세포를 잡아먹어버리기 때문에 꼭 사이에 포식세포의 공격을 막을 수 있는 각질 세포를 놓아야 한다.(편모-각질-포식) [22]
편모세포는 옵션에서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너무 느리게 설정하면 세포가 영양분에 도달하기도 전에 굶어 죽고, 너무 빠르면 너무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기 때문에 기본값으로 하거나 적당히 조절하자. 신경물질 농도값과 연결해서 신경물질 농도에 따라 헤엄 속도를 변화시킬수도 있는데, 조향세포 등의 신경물질을 분비하는 세포와 연결해 영양분을 추적하는 세포 등을 만들 수 있다. 이때는 a×집중도+b 값을 사용하면 b는 신호물질을 받지 않을때의 속도이고, a는 신호물질에 비례해서 b에 추가되는 속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3.4. 지방세포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Lipocyte.png

필수 사용 과제 : 씨앗, 햇빛 2, 포식자, 차별, 기피 1/2, 사막 1/2
에너지를 핵 주위의 갈색으로 표현된 지방으로 변환해 축적한다.

다른 세포들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소모하는 에너지의 소모도 매우 적다. 그래서 이 세포를 분열하지 못하게 하고 가만히 놔두면 다른 세포들과 비교해서 매우 긴 시간동안 살아남는다. 그리고 이상하게도 포식세포와 닿으면 죽기 전에 튕겨서 살아남는다. 이 세포는 영양분 우선도가 기본적으로 크게 설정되어있는 듯 하다. 다른 세포와 붙여 놓으면 이 세포가 다른 세포의 영양분을 죽지 않을 정도로 빨아들인다.[23] 사멸 시 지방층이 있는 영양분이 나온다.
생물종 완전체가 5개 이상의 세포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세포가 생물종이 뿌리는 포자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영양분을 가득 지닐 수 있어서 생명체가 기본구조를 형성할 때 양분이 부족해서 미완성된 채로 사멸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이유이다. 난자가 영양분으로 가득 채워진 것을 생각하면 된다. 이런 용도로 쓰일 경우는 개체로 분열하기 전 모체와 연결해서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한다.

신호물질이 통과하지 못한다는 특징이 있어 복수의 대상을 다른 부분에서 탐지해야 할 때 신호물질을 겹치지 않게 하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3.5. 포식세포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evorocyte.png

가시가 빼곡하게 난 세포

맞닿은 세포의 영양분을 세포가 죽거나 떨어질 때까지 빨아들인다. 이 세포를 사용해 피식자 세포를 추척하는 생물종을 만들 수 있다. 접착세포와 달리 각질세포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에너지는 더 많으나, 빠르게 피식자 세포의 양분을 빨아먹을 수 있어 포식자 생물종에서의 활용도는 접착세포보다 포식세포가 더 높다.

3.6. 각질세포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Keratinocyte.png

껍질같이 원이 하나 더 있는 세포

각질세포 자신 및 부착부로 직접 연결된 세포들이 외부의 유해 요소[24]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세포이다. 편모세포-각질세포-포식세포 또는 분비세포 조합으로 종종 사용된다.[25] 각질세포 스스로는 에너지를 지방세포와 섭식세포의 중간 정도로 많이 소비하지 않지만 다른 세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본 영양분 우선도가 약간 낮다. 또 오염 과제에서 뭔 짓을 저지르는 건지는 몰라도 각질세포가 내부의 씨앗인 세포[26]를 위해요소로부터 감싸고 있다가 [27] 나중에 씨앗이 거의 다 자라서 움직이기 시작하면 터져서 씨앗을 퍼트리는 미친짓도 벌인다. 해결 방법은 이 문서 참조결론은 여러모로 생존성 최강인 세포라고 할 수 있다.

3.7. 부유세포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uoyocyte.png

부레같은 공기 주머니가 위치한 세포. 특이하게 핵이 한쪽으로 치우쳤다.
액체 밀도를 바꿀 수 있는 부레를 가지고 있어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유전자에서 부력을 조절해야 한다. 밀도는 신경물질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서로 다른 2가지 종류의 부유세포-섭식세포를 만들고 부유세포의 밀도를 각각 +/-로 하면 편모충과 비슷한 세포를 만들 수 있다. [28]

3.8. 접착세포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Glueocyte.png

가는 실 같은 것이 난 세포

다른 세포 또는 페트리 접시의 벽면에 달라붙을 수 있다.하지만 포식세포에 달라붙으면... 유전자 탭에서 영양분 우선도를 조절해 다른 세포에 달라붙을 경우
흡수하는 에너지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를 최대로 설정하면 거머리같은 세포를 만들 수 있어 멸균II 과제에서 사용되기도 한다.그래도 포식세포는 못 이긴다. 반대로 생명 유지 옵션을 끄고 영양분 우선도를 최소로 해서 영양을 공급해주는 세포를 만들 수도 있다.

3.9. 질소세포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Nitrocyte.png

프랙탈의 구조물이 달린 세포.
질소고정을 통해 질소화합물을 생산한다. 세포들은 분열하기에 충분한 크기가 되어도 세포 내에 질산염이 부족하면 분열하지 못하므로, 페트리 접시의 옵션에서 '질산염' 항목의 값을 매우 낮게 설정할 경우 세포의 분열에 필수적인 세포이다.

3.10. 감염세포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Virocyte.png
네모난 구조물이 달린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로, 다른 세포에 접촉하면 그 세포를 확률적으로 감염시켜 설정된 세포 모드와 그 2대 자손까지의 유전정보를 접촉한 세포에 덮어씌운다. 사용 매커니즘이 상당히 복잡한 세포라서, 대부분의 게이머들이 감염세포에서 잠시 막힌다. 그리고 지방세포와는 반대로 자체적으로 소모하는 에너지가 가장 크다.

3.11. 신경세포

파일:신경세포.png
이 세포가 등장하는 때부터 과제의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물방울 무늬 6개가 핵 주위에 있는 모양이다.
세포계의 반도체 또는 전자회로.

유전자 설정에서 신호 물질을 배출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렇게 배출한 신호물질로 세포들의 동작[29]을 조종할 수 있다. 가령 부유 세포에 신호를 보내 높은 부력과 낮은 부력 사이를 왔다갔다하게 만들 수 있다. 허나 센서 역할을 하지는 않으므로 보통 일정 시간마다 신호를 보내게 하는 식으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신호 물질을 중간에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30] 조향세포 대신 감각세포로 세포를 움직이거나 조향세포로 두가지 이상의 요인에 대해 탐지해야 할 때[31]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후자의 경우 생물종이 작지 않을 때 한정.

3.12. 근육세포

파일:근육세포.png

말 그대로 근육세포이다. 근육 수축, 근육 굴곡, 근육 양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마찰이 많아 편모세포가 활약하지 못할 때 근육세포를 활용할 수 있다. 편모세포는 영양분 추적에 2개가 필요하나 근육세포는 1개만으로 굴곡을 사용해 가능하다. 크기가 큰 생물종에서는 근육 굴곡을 이용해 편모세포가 달린 부분을 기울이는 방식으로 양분을 추적하는것도 가능하다.

3.13. 감각세포

파일:감각세포.png

세포, 영양분, 지방층이 있는 영양분, 태양광, 속도, 벽을 탐지할 수 있다. 세포만 적색소, 녹색소, 청색소, 색소 임계값을 지정해 탐지할 수 있으며, 나머지 감각 유형에서 이를 지정할 경우 작동하지 않는다. 태양광과 벽은 분비세포가 분비할 수 있는 태양광 감지 기관 활성제/벽 감지 기관 활성제를 사용해야 탐지가 가능하다. 다만 조향세포와 다르게 비교하여 출력하는 게 아닌 세포가 있는 곳 까지의 거리 정도만 탐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편모세포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감각세포와 신경세포가 필요하다. 신경세포가 좌측 조향세포의 s1 신호, 우측 조향세포의 s2 신호를 비교해 s3 신호를 출력하는 식. 다만 신경세포 하나의 출력 4개를 모두 사용해야 한다.

3.14. 조향세포

파일:조향세포.png

감각세포와 마찬가지로 세포, 영양분, 지방층이 있는 영양분, 태양광, 속도, 벽을 탐지할 수 있다. 감각세포와 마찬가지로 태양광, 벽은 태양광 감지 기관 활성제/벽 감지 기관 활성제를 분비하는 분비세포가 필요하며, 적색소, 녹색소, 청색소, 색소 임계값은 탐지 유형이 세포일 때만 작동한다. 다만 감각세포와 다르게 신경세포 없이 단독으로 편모세포를 움직일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복수의 조향세포를 사용하거나 편모세포 사이에 세포가 여럿 있는 경우 신경세포가 필요하다.

3.15. 분비세포

파일:분비세포.png

영양분 냄새, 시안화물, Lipase(지방분해), Protease(부착부절단), 지방층이 있는 영양분 냄새, 태양광 감지 기관 활성제, 벽 감지 기관 활성제, -S1, -S2, -S3, -S4, +S1, +S2, +S3, +S4를 분비할 수 있다. 이중 -S1, -S2, -S3, -S4, +S1, +S2, +S3, +S4는 부착부로 연결되어있지 않아도 주위 세포의 신호를 교란할 수 있다. 시안화물은 세포를 죽이며, 라이페이스는 지방층이 있는 영양분을 분해하지만 세포에게 부상을 입힌다. 단 각질세포는 부상을 덜 입는다.
근데 부상 안 입는거 아님?

3.16. 줄기세포

파일:줄기세포.png

두개의 세포 모드로 \'변경될'(분화될) 수 있으며[32] 신호물질에 의해 작동된다. 반응하는 신호물질의 비율이 바뀔 때마다 적색 반원과 청색 반원이 차지하는 위치가 바뀌며, 하나가 사라질 때 모드가 바뀐다. 60번 말살 과제와 같은 조건부 분열이 필요할 때 필수인 세포.

3.17. 섬모세포

파일:ciliocyte.png

좌측과 우측 섬모를 사용해 세포들을 밀치고 움직일 수 있다. 주위에 세포가 없으면 움직이지 못하며, 혼잡, 나노봇 과제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섬모의 움직임은 신호물질을 사용하거나 지정할 수 있다. 이 세포를 사용하면 연결된 세포도 밀칠 수 있는데, 이걸 근육세포 대신 사용할 수 있다! 근육세포와 다르게 이동에 사용되는 세포이기 때문에 조절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3.18. 단상세포

파일:gamete.png

융합 가능 세포 모드와 융합 후 세포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두 단상세포의 융합 가능 세포 모드가 서로를 가리켜야 융합할 수 있다. 즉, 한 생물종의 M1 단상세포가 융합 가능 모드가 M1이라면 동일한 생물종끼리도 융합이 가능하지만, 다른 단상세포가 없을 경우 다른 생물종의 단상세포의 융합 가능 모드가 M1이 아니라면 융합이 불가능하지만, 다른 생물종의 단상세포의 융합 가능 모드가 M1이라면 다른 생물종의 단상세포와도 융합이 가능하다.
  • 만일 1번 생물종의 M1 단상세포가 융합 가능 세포 모드가 M1일시, 동일 생물종과 융합이 가능하다.
  • 만일 1번 생물종의 M1 단상세포가 융합 가능 세포 모드가 M2일시, 동일 생물종과 융합이 불가능하나, 2번 생물종의 단상세포가 2번 경우를 따를 시, 2번 생물종과 융합이 가능하다.
  • 만일 2번 생물종의 M1 단상세포가 융합 가능 세포 모드가 M1일시, 동일 생물종과 혹은 1번 생물종과 융합이 가능하다.
  • 만일 2번 생물종의 M1 단상세포가 융합 가능 세포 모드가 M2일시, 동일 생물종과 융합이 불가능하나, 1번 생물종의 단상세포가 2번 경우를 따를 시, 1번 생물종과 융합이 가능하다.
이런 식.

단상세포를 이용하면 두 생물종의 유전자가 세포 모드 단위로 랜덤으로 지정된다. 백색 편모충 단상세포가 흑색 편모충 단상세포와 융합할 시 편모세포는 흑색이지만 단상세포와 섭식세포는 백색인 생물종을 만들 수 있다. 이를 사용하는 과제가 색소는 아니지만 집단의 편모세포의 유영속도를 높이는 과제인 '인구병목현상.'

같은 생물종이지만 다른 세포 모드를 사용하는 단상세포끼리 융합시 영양분을 더 많이 갖고 있는 단상세포의 분화 모드를 따른다.

4. 공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ell Lab: Evolution Sandbox/공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 편모충을 만들 때는 포자를 생산하는 세포의 분열 비율이 포자가 더 영양분을 많이 가지고 태어나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포자가 부화하지도 못하고 그냥 죽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여기에 포자의 분열 크기를 작게 설정하면 좋다.
  • 긴 편모충을 만들 때는 부착강도를 강하게 설정하자. 약하게 설정하면 편모충이 제대로 앞으로 가지 못하고 양옆으로 흔들리다가 끔찍하게 부러져서 죽는 모습을 구경할 것이다.
  • 만약 포자를 생산하는 세포일 경우, 분열 각도를 모체의 운동 방향과 어긋나게 하는 것이 좋다. 모체 앞에 있는 영양분을 새로 태어난 세포가 먹어버리기 때문에 모체가 죽을 확률이 높아진다.
  • 제작하기 복잡한 생물종은 만들면 저장하는 것이 좋다. 이전 과제에서 사용된 생물종을 약간 수정하면 클리어할 수 있는 과제도 있고 나중에 실험동에서 생물종을 제작할 때 참고하여 만들 수 있다.
  • 생물종을 만들 때에는 '영양분을 공급할 세포'를 넣어야 생존할 수 있다. 녹조세포, 섭식세포, 포식세포가 있으며 영양분 우선도를 바꾼다면 접착세포도 포식세포와 비슷하게 활용할 수 있다.

6. 여담

  • 자유도가 매우 높은 샌드박스 게임이기 때문에 별의별게 다 만들어지기도 한다. 위에 링크가 걸린 포럼에 들어가면 프랙탈부터 논리회로까지 구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진법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것도 만든다. 심지어 94버전의 미로라는 과제에선 말그대로 미로를 만들었다! 새로 추가된 세포 제거 도구로 세포를 제거하면 그 방향으로 감염이 이루어진다. 감염이 목적지까지 되면 성공.
  • 번역이 한국어나 한글번역같은게 아니라 한반도 공용어인 이유는 최초 번역자[33]가 게임물 등록 위원회의 시비를 최소화/회피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한 것이라고 한다. 이후 업데이트를 거치는 사이 최초번역자가 잠적하며 제작자가 번역 제공을 중단했다가, 다른 번역자가 번역을 이어서 진행하며 번역제공이 다시 재개되었다.
  • 유튜브에 무려 세포로 전쟁병기를 제작한 사람도 있다.[34]

[1] 현재 폐쇄[2] 현재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찾아볼 수 없다.[3] 렉이 걸려 보통은 10배 정도의 속도이다.[4] 대부분의 도전과제는 부제가 없다.[5] 기본 교육은 난이도가 없다.[6] 원한다면 거의 무한정 세포를 키울 수 있지만 폰이 녹아내릴 수 있다.[7] 옵션에서 느린 관찰 모드 설정의 설명에 그렇게 나와있다.[8] 자연선택적 진화를 보기에 좋다. 하지만 너무 느리기에 주의[9] 섭식세포도 포화상태일 경우에는 밀려난다.[10] 과제 실험실에서는 해당 과제를 3초간 누르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과제의 목표를 달성해도 과제가 클리어되진 않는다.[11] 시안화물을 분비하는 분비세포에 접촉했을 경우에만 수치가 오른다.[12] 라이페이스를 분비하는 분비세포나 시안화물을 분비하는 분비세포에 의해 부상을 입었을 시 등장, 한번 부상을 입었던 세포와 그 세포의 자식 세포에게서는 0으로 떨어져도 해당 상태는 계속 확인 가능하다.[A] 신경세포, 조향세포, 감각세포에서만 확인 가능[A] [A] [A] [17] 텍스트의 색상은 세포의 색상과 동일하다.[18] 과제 내 세포(기초 세포), 감염된 과제 내 세포(감염된 기초 세포), 유저의 세포, 감염된 유저의 세포, 잡종 세포(유저의 단상세포와 과제 내 단상세포 융합 시 나오는 태그, 감염된 잡종 세포는 감염세포와 단상세포가 동시에 등장하는 과제가 없어 존재하지 않는다.), 오염된 세포(무작위 세포 생성 기능으로 등장한 세포), 감염, 오염된 세포(무작위 세포 생성 기능으로 등장한 세포가 감염세포에 의해 감염되었을 때의 세포 태그)[19] 방사성 조사 단계가 0이 아닐 때 수치가 올라가며, 일정 수치가 넘어가면 세포에 변이가 일어난다.[20] 분비세포 한정으로, 분비세포의 분비물이 무엇인지 보여준다.[21] 물론 미리보기가 100% 정확한 건 아니고 현미경의 수많은 변수들로 인하여 또 다른 결과가 생길 수 있다.[22] 업데이트로 생긴 '부착부 길이' 항목을 최대로 해놓으면 각질세포 없이도 일시적으로 가능하기는 하다.[23] 그 증거로 다른 세포와 붙여놓으면 다른 세포의 크기는 점점 줄어드는데 지방세포 내부의 갈색 원은 점점 크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24] 포식세포, 감염세포, 접착세포, 시안화물 또는 라이페이스를 분비하는 분비세포[25] 물론 각질세포는 스스로 영양분을 얻지 못하므로 사이에 섭식세포를 붙여야 한다.[26] 녹조세포라던가.[27] 물론 부착되어있다. 포식세포같은건 굳이 부착부 없어도 막아낼 수 있지만 시안화물 냄새는 각질세포를 고기방패로 쓰지 않는 이상 그냥 감싸는 걸로는 방어가 불가능하다.[28] 물론 중력이 작용해야해서 후에 서술할 근육세포처럼 여러가지 제약이 많다.[29] 편모세포, 부유세포, 근육세포, 감각세포, 조향세포, 줄기세포[30] 이게 생물종이 커지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세포를 지나면서 신호가 약해지기 때문. 신경세포를 쓰지 않고 조향세포만 쓰게 된다면 중앙이 아닌 다른쪽에 달면 해결할 수 있는데, 대신 편모세포가 한쪽은 팔팔하게 움직이는데 다른쪽은 움직이지 않아 계속 회전하게 되는 등의 불균형이 생긴다. 두쪽 다 달면 불균형이 생기니 주의.[31] (예)영양분 입자 찾기, 포식자 피하기[32] 즉, 분열하지 않는다!!! 하지만 세포의 나이는 리셋된다.[33] 이글루스에 번역 기준번역 스트링 파일을 올려놓은걸 찾을 수 있다.[34] 심지어 거기에 쉴드도 탑재되어있다.전쟁병기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