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3:15:29

소친안

소친안의 기타 정보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000, #00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e000>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소친안 195회 1969.11.19 1984.10.18
2 수코르 살레 163회 1970.11.15 1981.9.12
3 목타르 다하리 138회 1972.6.5 1985.5.19
4 아루무간 렝가사미 131회 1973.5.17 1986.9.23
5 자이날 아비딘 하산 116회 1980.11.11 1997.10.14
6 찬드란 무트베란 115회 1965.8.14 1974.9.15
7 산토흐 싱 100회 1973.5.19 1984.4.8
}}}}}}}}}}}}}}} ||

말레이시아의 前 축구 선수
파일:2ecfaa94-fc01-11eb-aa37-9736ba6f9b4b_image_hires_075208.webp
<colbgcolor=#eeeeee> 이름 <colbgcolor=#fff,#1F2023> 소친안
苏进安 | Soh Chin Ann
출생 1950년 7월 28일 ([age(1950-07-28)]세)
말레이시아 믈라카 알롸 가자
국적 |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직업 축구 선수 (센터백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 선수 믈라카 유나이티드 FC (1969~1970)
슬랑오르 FC (1971~1978)
믈라카 유나이티드 (1979~1985)
감독 믈라카 유나이티드 (1989)
말레이시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 (2007 / 수석코치)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2008~2009 / 수석코치)
국가대표 195경기 13골[1] (말레이시아 / 2003~2022)
24경기 (말레이시아 올림피아)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기록
3.1. 대회 기록3.2. 개인 수상3.3. 개인 기록3.4. 수훈
4. 여담

[clearfix]

1. 개요

말레이시아의 전 축구 선수. 말레이시아 대표팀 A매치 최다 경기 출전자다.
FIFA공식 A매치 195경기 출전으로,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바데르 알 무타와가 2022년 갱신하기 이전까지 오랜 기간 A매치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1969년 말라카에서 축구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1971년 셀랑고르로 이적하여 1978년까지 활약하며 팀이 말레이시아컵에서 6번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1979년, 그는 말라카로 돌아와 활약했으며, 1983년에 리그컵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러나 1985년 한 시즌 동안의 출전 정지 처분으로 인해 2년 동안 활동이 중단되었다.[2]

1988년, 그는 말라카의 주장으로 뛰며 국내 리그에서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이 시즌은 그의 선수 경력의 마지막이기도 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그는 1969년 킹스컵에서 말레이시아 국가대표팀으로 첫 성인 A매치에 출전하며 19세의 나이에 데뷔했다. 1971년, 그는 서울에서 열린 올림픽 예선에 참가했으며, 당시 21세로 팀에서 가장 어린 선수였다.

그는 1972년 뮌헨 올림픽에 참가해 조별리그 세 경기에 모두 출전했다. 이후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 말레이시아가 출전 자격을 획득했을 때는 팀의 주장을 맡았다. 그러나 말레이시아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대한 보이콧으로 올림픽에 불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진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그는 말레이시아 양 디-퍼르투안 아공으로부터 국가 수호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1980년, 그는 AFC 아시안컵에도 참가했으며, 말레이시아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하지만 그의 지도 아래 말레이시아는 뛰어난 경기력을 보여주었고, 강팀 대한민국과 1-1로 비기는 인상적인 경기를 펼쳤다. 이 대회에서 그는 뛰어난 활약을 인정받아 AFC 대회 베스트 팀에 선정되었으며, 이 영예를 받은 첫 동남아시아 선수가 되었다. 이 기록은 2019 AFC 아시안컵까지 유지되었다.

3. 기록

3.1. 대회 기록

3.2. 개인 수상

  • AFC 아시안컵 토너먼트의 팀: 1980
  • 말레이시아 올림픽 협회 명예의 전당: 2004
  • 아시아 축구 명예의 전당: 2014

3.3. 개인 기록

  •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 195경기
  • 20세기 A매치 최다 출전 기록: 195경기
  • FIFA A매치 국가대항전 통산 최다 출장 3위: 195경기[3]
  • FIFA A매치 국가대항전 통산 최다 승리 5위: 108승[4]
  • A매치 100승 이상을 기록한 최초의 아시아 선수: 108승

3.4. 수훈

  • 말레이시아 국가 수호자 훈장 (AMN): 1980
  • 파항 왕관 기사 훈장 (DIMP): 2000
  • 술탄 샤라푸딘 이드리스 샤 기사 훈장 (DSIS): 2016
  • 믈라카 고귀한 훈장 2등급 기사 사령관 (DCSM): 2021

4. 여담


[1]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출장자[2] 믈라카 유나이티드 FC와의 계약 관련 갈등으로 인한 정지[3] 1위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위는 바데르 알 무타와[4] 1위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위는 세르히오 라모스, 3위는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4위는 리오넬 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