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ffffff> ॱ˚ʚ♥ɞ˚ॱ 발매 현황 | 등장인물 | 설정 | 게임 | 애니메이션 (구작∙신작) |
슈가슈가룬 (미정) シュガシュガルーン Sugar Sugar Rune | |||
<nopad>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a6294b,#a6294b><colcolor=#ffffff,#ffffff> 장르 | 판타지, 순정, 마법소녀, 학원 | |
원작 | 안노 모요코 | ||
감독 | ○○ | ||
시리즈 구성 | ○○ | ||
캐릭터 디자인 | ○○ | ||
게스트 캐릭터 디자인 | ○○ | ||
마계 아트 컨셉 | ○○ | ||
프롭 디자인 | ○○ | ||
미술 감독 | ○○ | ||
색채 설계 | ○○ | ||
촬영 감독 | ○○ | ||
편집 | ○○ | ||
음향 감독 | ○○ | ||
음악 | ○○ | ||
프로듀서 | ○○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 | ||
애니메이션 제작 | ○○ | ||
제작 | ○○ | ||
방영 기간 | 20○○. ○○. ○○. ~ | ||
방송국 | |||
스트리밍 |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 | ||
편당 러닝타임 | ○○분 | ||
화수 | ○○화 | ||
시청 등급 | 미정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일본의 만화 슈가슈가룬을 원작으로 하는 신작 애니메이션.2. 공개 정보
2.1. 연재 20주년 기념 단편 영상
SUGAR SUGAR RUNE Les deux sorcières | |||
<nopad>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a6294b,#a6294b><colcolor=#ffffff,#ffffff> 원작 | 안노 모요코 | |
감독 | <colcolor=#000>마츠이 유스케(松井祐亮) | ||
각본 | |||
스토리보드 | |||
비주얼 디렉터 | 츠리이 쇼고(釣井省吾) | ||
CG 애니메이션 슈퍼바이저 | 모리에 코타(森江康太, MORIE Inc.) | ||
모델링 디렉터 | 고다 잇세이(香田一成) | ||
캐릭터 디자인 | 아사노 나오유키 | ||
작화 감독 | |||
특수 이펙트 작화 감독 | 요시베 나오키(吉邉尚希) | ||
색채 설계 | 나카무라 아야카(中村絢郁, WIT STUDIO) | ||
미술 감독 | 나카무라 치에코(中村千恵子, 스튜디오 코코로) | ||
촬영 감독 | 후쿠자와 히토미(福澤瞳) | ||
편집 | 히로세 키요시(廣瀬清志, 에디츠) | ||
Grading・Finishing editor | 미즈노 마사키 (水野正毅, khaki) | ||
음악 | 나카츠카 타케시(中塚武) | ||
프로듀서 | 카와시마 마사키(川島正規) | ||
기획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후지와라 코헤이(藤原滉平) | ||
애니메이션 제작 | 스튜디오 카라 | ||
캐스트 | |||
쇼콜라 메이유르 | 코바시 미유 | ||
바닐라 뮤 | 치카사다 츠키노(近貞月乃) | ||
콜드론 | 미야데라 토모코(宮寺智子) |
단편 애니메이션은 원작 만화의 전일담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본편에서 직접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던 시기를 원작자의 감수하에 오리지널 에피소드 형식으로 풀어낸 것이다. 등장인물들의 설정과 세계관은 원작을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이후 제작될 본편 애니메이션도 원작에 충실한 방향성을 띨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대가 시대인 만큼 최대한 원작의 설정과 결말로 나가되 인간계에서 스마트폰이나 드론 같은 것을 쓰는 연출 등 어느정도 2020년대에 알맞게 검수될 부분이 나올 가능성이 존재한다.
2.2. PV
2.3. 키 비주얼
3. 줄거리
4.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가슈가룬/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가슈가룬/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설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가슈가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가슈가룬#설정|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주제가
OP/ED (○○~○○화) 원제목 번역명 번안명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a6294b,#a6294b><colcolor=#ffffff,#ffffff> 노래 | -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6294b,#a6294b><colcolor=#ffffff,#ffffff>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7. 회차 목록
<rowcolor=#ffffff,#ffffff> 회차 | 제목[2]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 감독 | 방영일 |
日: 韓: |
8. 기타
- 2000년대 초중반에 투니버스에서 캐릭캐릭 체인지와 여아애니 쌍두마차로 대한민국을 휩쓸었던 작품이니만큼 해당 작품이 한국에서 방영하게 될 경우 당시 투니버스를 즐겼던 시청자들 사이에서 더빙이 성사될지 기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투니버스 입장에서는 과거 슈가슈가룬을 즐겨보던 시청자들을 유입시킴과 동시에 전성기 시절의 역량과 센스를 거리낌없이 다시 발휘할 좋은 기회가 되므로 방영하지 않을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에 투니버스가 판권 경쟁에 있어 눈에 제일 불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 원작에서는 잃은 영혼을 자유자재로 재생하며 질서를 어지럽히는 자로서 모든 마력을 이용해 이면의 궁전으로 유폐시킨다. 라는 고서 내용외에는 자세한 과거가 밝혀지지 않은 글라스의 봉인이유와 아내들의 배신관련 내용이 재해석되어 다수의 미회수 떡밥이 해결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20주년 단편 애니부터가 원작자가 감수를 맡은 만큼 본편도 똑같이 감수할 가능성이 높기에 신빙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