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23:56:37

스드메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2. 갑질 문제
2.1. 정부 단속
3. 패러디

1. 개요

Studio, Dress, Make up

결혼식 준비에 필요한 튜디오, 레스, 이크업각 첫 글자를 따서 부르는 말. 결혼식을 준비하게 되면서 예식장과 함께 계약하게 되는 주요 서비스이기 때문에 묶어서 부르게 되었다.

2. 갑질 문제

결혼 관련 업계의 대상 고객은 한 번만 보고 말 예비신랑/신부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신뢰를 줄 필요가 없고, 결혼식 관련 환상을 이용하여 비싼 금액을 요구하거나 갑질을 해도 소비자가 어차피 한 번 지불하고 말 금액이기 때문에 관대하게 넘어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들은 정보 유출을 핑계로 금액을 대외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드레스의 경우 사진 촬영도 막는 등 법적 강제성이 없는 내용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도적으로 정보 비대칭을 형성하여 높은 금액을 유지하고 있다. 스드메는 결혼식을 준비하려면 준필수로 해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업체들이 갑질을 해도 울며 겨자먹기로 스드메 업체를 이용해야 하며, 이로 인해 이런 악습은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고 있으나, 스드메 업체들의 주요 타깃이 '결혼준비하는 사람'으로 명확하여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이런 문제에 관심를 가지지 않아 뉴스 등의 대중매체로 문제가 공론화되지 않았었다.

2.1. 정부 단속

2024년 7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저출산의 문제 원인 중 하나로 높은 결혼 비용을 지목하고, 8월 중 이들 관련 업체에 대한 직권 조사를 예고하면서 언론에서 해당 문제를 심도있게 다루기 시작했다. # 이후 공정위 등 다양한 정부 기관에서 관련 정책 개선과 악습 폐지를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2024년 11월 22일,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불공정 스드메 약관에 대해 시정 조치를 취했다.#

2025년 2월 11일, 결국 보다못한 국세청이 스드메 업체들을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1] 조사 대상 업체수는 스드메 업체 24곳 등 총 46개 업체이다.
국세청 조사국장은 "이번 조사 대상의 총 탈루액은 2000억 원이 조금 안 되는 수준. 스드메 업체, 산후조리원, 영어유치원 모두 최대 수십억원대 소득을 탈루했다. 이번에 조사를 준비하면서 분석해 보니 80~90% 이상(업체)은 현금 결제, 카드결제 금액을 따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상위의 세금 탈루 혐의가 있는 업체 위주로 세무조사 대상을 선정했다. 앞으로도 해당 분야에 관심을 갖고 지속해서 필요한 세무조사 등을 조치하겠다"고 설명했다. 탈루혐의 대상자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 등 관련인의 재산 형성과정까지 세세히 검증하는 강도높은 조사를 예고했다.

3. 패러디

  • 일본 여성 인명에 많이 쓰이는 스즈메와 어감이 비슷하다 보니 스즈메의 문단속과 엮은 패러디가 나오기도 했으며 SNL 코리아 황정음 편에서도 '스드메의 돈단속'이라는 코너로 패러디되었다. OCN에서는 스즈메의 문단속을 방영하면서 스드메의 문단속에 나선 국세청을 응원한다는 메시지를 보냈다.


[1] 산후조리원 12곳과 영어유치원.영어학원 10곳도 대상에 포함됐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