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bordercolor=#111111><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111111><width=50%> ||<width=55%> ||
- [ 펼치기 · 접기 ]
- ||<-4><tablecolor=#000,#fff><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tablewidth=100%><color=#fff> 2020년 ||
더 리버레이터: 500일의 오디세이
The Liberator전쟁 미니시리즈4회종영 슛! 반드시 빅리그
Hoops코미디 시즌110회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포위 작전
Transformers: War for Cybertron Trilogy: SiegeSF 1장6회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지구가 떠오른다
Transformers: War for Cybertron Trilogy: EarthriseSF 2장6회미드나잇 가스펠
The Midnight Gospel판타지 시즌18회블러드 오브 제우스
Blood of Zeus판타지 시즌18회추가 시즌 확정 2021년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그들의 왕국
Transformers: War for Cybertron Trilogy: KingdomSF 3장6회종영 퍼시픽 림: 어둠의 시간
Pacific Rim: The BlackSF 액션 시즌17회 |시즌27회Q-포스
Q-Force코미디 시즌110회어드벤처 비스트: 기묘한 동물의 세계
Adventure Beast코미디 시즌112회우주의 영웅들: 새로운 진실
Masters of the Universe: Revelation액션 파트15회 |파트25회새터데이 모닝 올 스타 히츠!
Saturday Morning All Star Hits!코미디 시즌18회은밀한 회사원
Inside Job오피스 코미디 파트110회 |파트28회도타: 용의 피
Dota: Dragon's Blood판타지 1권8회 |2권8회3권8회인생은 언제나 파티!
Chicago Party Aunt코미디 파트18회 |파트28회2022년 가디언스 오브 저스티스
The Guardians of Justice슈퍼히어로 시즌17회종영 휴먼 리소스
Human Resources코미디 시즌110회 |시즌210회파자의 수호대
FarzarSF / 코미디 시즌110회비와 퍼피캣
Bee and PuppyCat판타지 시즌116회2023년 에이전트 엘비스
Agent Elvis첩보 / 코미디 시즌110회종영 캡틴 폴
Captain Fall코미디 시즌110회멀리건
MulliganSF / 코미디 시즌110회추가 시즌 미정 스컬 아일랜드
Skull Island어드벤처 시즌18회푸른 눈의 사무라이
Blue Eye Samurai액션 시즌18회스콧 필그림, 날아오르다!
Scott Pilgrim Takes Off액션 / 로맨스 시즌18회캐슬바니아: 녹턴
Castlevania: Nocturne판타지 시즌18회추가 시즌 확정 종말에 대처하는 캐럴의 자세
Carol & The End of The World블랙 코미디 시즌110회종영 젠트리 차우 vs 지하 괴물들
Jentry Chau vs the Underworld액션 / 판타지 시즌113회추가 시즌 미정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NETFLIX 오리지널 스콧 필그림, 날아오르다! (2023) Scott Pilgrim Takes Off | |
장르 | <colbgcolor=#ffffff,#2d2f34>액션, 코미디, 판타지, 로맨스 |
원작 | 브라이언 리 오말리 |
감독 | 아벨 공고라 |
각본 | 브라이언 리 오말리 벤 데이비드 그라빈스키 |
CG 디렉터 | 이토 히카리 세키야 요시히로 |
캐릭터 디자인 | 이시야마 마사미치 한다 슈헤이 |
총 작화감독 | 이시야마 마사미치 |
편집 | 야나기 케이스케 |
음악 | Anamanaguchi 조셉 트래퍼니스[1] |
출연진 목록 | |
기획 | 최은영 |
프로듀서 | 사카타 코헤이(先田鉱平) 에드거 라이트 |
애니메이션 제작 | 사이언스 SARU |
방영 기간 | 2023. 11. 17. |
편당 러닝타임 | 26 ~ 28분 |
방영 횟수 | 시즌 1 (8회) |
제작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2] [[일본| ]][[틀:국기| ]][[틀:국기| ]][3] |
독점 스트리밍 | [[넷플릭스| NETFLIX ]] ▶ |
국내 시청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
관련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스콧 필그림 시리즈>를 원작으로 한 미국과 일본의 공동 제작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감독은 아벨 공고라, 책임 프로듀서는 최은영, 제작은 일본의 사이언스 SARU가 담당한다.[4]더빙은 Bang Zoom! 엔터테인먼트에서 진행되었으며 토니 올리버가 성우 감독을 맡았다.참조 또한, 평가 항목에 있는 오말리가 SNS에 올린 글에 의하면 영어 버전의 더빙이 먼저 이루어지고 다른 언어들의 더빙은 나중에 이루어졌다고 한다.
2. 공개 정보
2.1. PV
티저 PV |
예고편 |
최종 예고편 |
3. 줄거리
캐나다 토론토에서 살고 있는 23살 스콧 필그림은 항상 꿈속에서 나오던 운명의 여자 라모나 플라워스를 마침내 만났다. 하지만 그녀와 사귀기 위해서는 그녀의 사악한 전애인 7명을 모두 무찔러야 한다. 게다가 상황은 점점 더 복잡해지기만 하는데. 한국계 캐나다인 만화가 브라이언 리 오말리의 그래픽 노블 원작.-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1화 후반까지는 원작의 스토리를 그대로 따라가는 것 같지만, 마지막에 스콧이 매튜 파텔에게 리타이어하면서 이야기의 흐름과 장르 모두 원작과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흘러간다. 이전에 원작자인 브라이언 리 오말리는 라모나가 악녀로 비춰진 것이 아쉬웠다고 자주 말해 왔는데, 그 때문에 이번 애니메이션에서는 라모나의 성장을 중심으로 삼고 이야기를 전개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전 애인들을 스콧이 무찌르는 내용은 영화와 원작에 나오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에서는 실질적인 주인공을 라모나로 바꾸었고, 전 애인들을 무찌르는 대신 라모나가 과거를 청산하고 스콧을 구하는 내용을 담은 듯 하다. 즉, 이 작품은 원작과 영화의 스토리를 따라가는 작품이 아니며 공각기동대 SAC 같이 원작과 설정 자체는 비슷하나 스토리 전개만 달라진 What if식 외전에 가깝다. 때문에 원작을 보지 않았다면 애니메이션의 오리지널 전개에서 재미를 느끼기 힘들고 클라이맥스 파트의 감동도 느끼기 힘들 수 있다. 사실상 진입장벽을 처음부터 만들어 놓고 대중성은 과감하게 버린 셈. 제목이 일종의 언어유희이자 복선인 셈인데, 'Takes Off'는 '날아오르다' 뿐 아니라 '떠나다'로도 풀이되기 때문이다.
작중에서 등장인물들은 원작이나 영화판에서보다 더욱 성장한 모습을 보여준다. 스콧은 양다리를 걸쳤다는 사실을 숨기려던 원작과는 달리 미래의 자신과 대면한 뒤 라모나와의 사랑을 믿는 동시에 나이브스에게 바로 사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라모나는 원작에서는 자신의 문제를 계속 회피하다가 6권에서 스콧을 잠시 떠나는 모습을 보이기까지 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짧은 만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스콧을 구하려 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자신의 과오를 깨닫고 뉘우친 뒤 자기 발전의 가능성에 스스로 다가서게 된다.
라모나의 전 애인들 중 몇몇은 캐릭터성이 심화되거나 새로운 설정이 추가되었다. 매튜 파텔은 찌질한 복수심 대신 자신감을 얻고 야심을 갖게 되었다전투력 버프도 받았다. 록시 리히터는 라모나의 사과를 받아준 뒤 그녀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친구 정도의 관계로도 만족할 줄 알게 되었다. 토드 잉그램은 바람이나 피우고 다니는 대신성 정체성을 깨닫고진정한 사랑을 느낄 만한 대상을 찾았다.[5] 그리고 원작에서 허무하게 퇴장한 루카스 리는 4화에서 큰 비중을 얻음과 동시에 개인 스토리와 성격 등이 많이 보충되었고 전반적으로 가장 많이 혜택을 입은 전 애인 연맹 일원이 되었다.
다른 조연 중에서도 마찬가지로 캐릭터성이 심화되거나 성장을 이룬 경우가 존재한다. 나이브스 차우는 스콧에게 계속 집착했던 원작과는 달리 스콧의 사후(?)에 킴과 스티븐의 도움으로 자기 계발 및 스스로도 몰랐던 재능(악기 연주)을 발견하며 주체적인 인물로서 크게 성장했다. 줄리 파워스는 매사에 신경질적이고 비아냥을 일삼던 인물상에서 잊고 있었던 옛 학우(기디언)를 보듬을 줄 아는 사람으로서의 일면이 추가되었다. 이렇듯 여러 캐릭터들이 분량 문제로 개개인을 디테일하게 다룰 수 없었던 영화판에서의 한계를 넘어서며 훨씬 입체적인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다.
원작 코믹스나 영화판에 비해 캐릭터의 깊이가 크게 변하지 않았거나 반대로 캐릭터성의 변화나 설정 추가가 두드러지는 경우도 존재한다.
우선 엔비 애덤스는 원작에서 다뤘던 스콧과의 관계가 크게 조명되지 않았고 딱히 성장이나 변화가 일어나지도 않았다. 이는 본작의 스토리가 라모나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혹자는 담당 배우/성우인 브리 라슨의 스케줄 문제로 비중이 많지 않은 걸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하기도.
킴 파인은 비중이 상당히 적지만 원작 막바지에서 스콧을 도울 때와 비슷하게 다른 캐릭터들(라모나, 나이브스)의 발전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애니메이션에서도 충실하게 수행했다. 뭔가가 더해지지는 않았어도 그녀가 가지고 있던 존재 의의에는 변함이 없는 것. 킴의 비중이 적은 걸 아쉬워하는 팬이 적지 않지만 적어도 원작과 마찬가지로 누군가의 성장을 돕는 사람이라는 캐릭터는 분명하게 유지하고 있다.
원작의 최종 보스였던 기디언 그레이브스는 새로운 설정과 캐릭터성이 추가되었다. 고압적이고 지배욕이 강한 인물상의 뒤에는 너드와 푼수의 면모가 자리잡고 있다는 게 애니메이션에서의 새로운 모습.[6] 물론 자기중심적이고 사악한 모습도 건재하긴 하지만 원작에 비하면 정말 온후해졌다. 전투력과 능력, 악랄함은 약화되었지만 그 대신에 입체적인 캐릭터성을 얻은 인물.
영 닐은 원작 기준으로 거의 병풍에 가까운 인물이었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스콧을 뛰어넘는 바보의 모습을 보이면서 뚜렷한 캐릭터를 얻었다. 뭔가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지는 않았지만[7], 스토리 내에서 나름대로 상당한 비중을 얻었다는 게 고무적.
리사 밀러가 애니메이션에서는 나오지 않아서 아쉬워한 팬들이 꽤 많다. 애니판의 스토리 상 그녀가 나올 만한 시점이 없었고, 원작에서 그녀의 역할을 생각해 보면 등장할 만한 포인트가 마땅찮기도 했으니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캐릭터성의 심화인지 설정의 추가인지 판단하기가 좀 복잡한 경우로는 월레스 웰스가 있다. 원작의 쿨게이 및 독설가 캐릭터는 유지되었지만 1화부터 스콧을 대하는 태도가 원작과 영화보다 뚜렷하게 딱딱한 모습이고[8], 5화에서는 토드를 NTR한 뒤 이에 격분해서 덤벼드는 엔비를 상대로 자기 스턴트맨 네 명을 내세워서 대신 싸우게 하는 비겁한 짓도 하는 등[9], 기본적으로 원작과 비슷한 듯 하면서도 어떤 부분에서는 기존과 꽤 달라 보이는 모습이다.[10] 과연 이게 새로운 성격의 추가인지, 아니면 고찰과 재해석을 통해서 발굴해 낸 본연의 인물상을 수면 위로 드러낸 것인지 판별하기가 쉽지 않은 케이스.
애니메이션 작품인 만큼 영화에 비하면 한층 더 원작에 가깝고 자유로운 연출과 역동적인 액션, 다채로운 패러디를 보여준다. 킴과 나이브스가 합주할 때 사이키델릭한 장면이 나오거나, 라모나와 록시가 전투 중에 영화 속으로 들어가 킬 빌 등 여러 작품의 배경 속에서 싸우기도 하는 게 그 예. 심지어 에드거 라이트가 앤트맨(영화)을 찍다가 각본 문제로 하차된 것을 패러디하는 장면도 나온다. 원작이 여러 게임 요소에 대한 패러디를 많이 했던 만큼 소닉 더 헤지혹 3, 버추얼 보이 등을 패러디하기도 하고, 영화판의 전개를 비트는 패러디도 많이 등장한다.
4.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스콧 필그림 시리즈 문서의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10년 영화에 등장했던 주역 배우들이 전부 같은 배역으로 돌아왔다.
5. 주제가
5.1. OP
OP bloom | |||
WEB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네크라이토키 | ||
작사 | 아사히 렌 (朝日簾) | ||
작곡 | 아사히 렌 | ||
편곡 | 네크라이토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모코짱 | |
연출 | |||
작화감독 |
{{{#!folding 가사 ▼ | なんだかキャビの匂いがしてるガレージで | |
난다카 캬비노 니오이가 시테루 가레에지데 | ||
왠지 캐비닛 냄새가 나는 차고에서 | ||
まともじゃない夢ばかり見てた | ||
마토모쟈 나이 유메바카리 미테타 | ||
정상이 아닌 꿈만 꿨어 | ||
もう少し眠っていたいな | ||
모오 스코시 네뭇테이타이나 | ||
조금 더 잠들어 있고 싶네 | ||
砂利がカラカラだった道端にある | ||
자리가 카라카라닷타 미치바타니 아루 | ||
자갈이 달각달각거렸던 길가에 있어 | ||
二、三転がるゴミが見えてる | ||
니、산 코로가루 고미가 미에테루 | ||
두, 세번 구르는 쓰레기가 보여 | ||
あれが今は美しく見えた それだけさ | ||
아레가 이마와 우츠쿠시쿠 미에타 소레다케사 | ||
그게 지금은 아름다워 보였어 그것 뿐이야 | ||
どうでもいい話だった | ||
도오데모 이이 하나시닷타 | ||
아무래도 좋은 이야기였어 | ||
まぁ…捻くれてるねってだけさ | ||
마아…히네쿠레테루넷테다케사 | ||
뭐... 왜곡 되어 있구나 하는 것 뿐이야 | ||
清算もしないままただ | ||
세에산모 시나이 마마 타다 | ||
청산도 하지 않은 채 그저 | ||
わがままなふりをして | ||
와가마마나 후리오 시테 | ||
제멋대로인 척을 하고 | ||
あの頃ぼくらって上手に話できていたかな | ||
아노 코로 보쿠랏테 조오즈니 하나시데키테이타카나 | ||
그 무렵 우리들은 능숙하게 이야기 할 수 있었을까 | ||
芽吹くような君の髪色が何だろうと | ||
메부쿠요오나 키미노 카미이로가 난다로오토 | ||
싹트는 듯한 너의 머리색이 뭘까 하고 | ||
夕暮れになれば陽に染まっていく、茜色だな | ||
유우구레니 나레바 히니 소맛테이쿠、아카네이로다나 | ||
해질녘이 되면 햇빛에 물들어 가는, 노을빛이구나 | ||
消えない心があるならば | ||
키에나이 코코로가 아루나라바 | ||
사라지지 않는 마음이 있다면 | ||
サビのついちまった四弦のフレットさ | ||
사비노 츠이치맛타 욘겐노 후렛토사 | ||
녹이 묻은 네 현의 프렛말야 | ||
ビッグマフで誤魔化せるかい? | ||
빗구마후데 고마카세루 카이? | ||
빅 머프로 속일 수 있을까? | ||
なんだか嫌になればなるほど言えなくなる | ||
난다카 이야니 나레바나루호도 이에나쿠 나루 | ||
왠지 싫어질 수록 말 할 수 없게 돼 | ||
言葉じゃない毒ばかり来てらァ | ||
코토바쟈 나이 도쿠바카리 키테라아 | ||
말이 아닌 독만 오고 있어 | ||
そんな顔でこっち見ないで | ||
손나 카오데 콧치 미나이데 | ||
그런 표정으로 이쪽 보지 말아줘 | ||
風がカラカラ吹いた | ||
카제가 카라카라 후이타 | ||
바람이 달각달각 불었어 | ||
君の髪色が何だろうと | ||
키미노 카미이로가 난다로오토 | ||
너의 머리색이 뭘까 하고 | ||
雪が降ったなら昏い白に隠れていくよ | ||
유키가 훗타나라 쿠라이 시로니 카쿠레테이쿠요 | ||
눈이 내리면 어두운 흰색으로 숨어갈거야 | ||
消えない痛みがあるならば | ||
키에나이 이타미가 아루나라바 | ||
사라지지 않는 아픔이 있다면 | ||
土のついちまった憧憬の思い出さ | ||
츠치노 츠이치맛타 쇼오케이노 오모이데사 | ||
흙이 묻은 동경의 추억말야 | ||
そのファズでオクターヴギターを弾け! | ||
소노 화즈데 오쿠타아부기타아오 히케! | ||
그 퍼즈로 옥타브 기타를 쳐라! | ||
君の髪色が何だろうと | ||
키미노 카미이로가 난다로오토 | ||
너의 머리색이 뭘까 하고 | ||
月が照らすなら鈍い青が纏うのだろう | ||
츠키가 테라스나라 니부이 아오가 마토우노다로오 | ||
달이 비추면 검푸른색이 감돌겠지 | ||
美しい歪みがあるならば | ||
우츠쿠시이 히즈미가 아루나라바 | ||
아름다운 왜곡이 있다면 | ||
聞かせてくれ | ||
키카세테쿠레 | ||
들려줘 | ||
芽吹くような | ||
메부쿠요오나 | ||
싹트는 듯한 | ||
君の髪色が何だろうと | ||
키미노 카미이로가 난다로오토 | ||
너의 머리색이 뭘까 하고 | ||
このステージからはどこに行っても見つけるだろう | ||
코노 스테에지카라와 도코니 잇테모 미츠케루다로오 | ||
이 스테이지에서는 어딜 가든 찾을 수 있겠지 | ||
消えない心があるならば | ||
키에나이 코코로가 아루나라바 | ||
사라지지 않는 마음이 있다면 | ||
サビのついちまった四弦のフレットさ | ||
사비노 츠이치맛타 욘겐노 후렛토사 | ||
녹이 묻은 네 현의 프렛말야 | ||
ビッグマフで誤魔化せるかい? | ||
빗구마후데 고마카세루 카이? | ||
빅 머프로 속일 수 있을까? | ||
원어 가사 출처: |
MV를 보면 스콧 필그림의 패러디들을 볼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5.2. ED
각 에피소드마다 엔딩곡이 다르며, 각각 다른 아티스트들의 곡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OST 사운드트랙에는 해당 곡들이 포함되지 않는다.5.2.1. 1화 Breathless
ED Breathless | |||
WEB ver. | |||
Full ver. |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X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5.2.2. 2화 What's a Girl to Do
ED What's a Girl to Do | |||
WEB ver. | |||
Full ver. |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Cristina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5.2.3. 3화 You Wouldn't Like Me
ED You Wouldn't Like Me | |||
WEB ver. | |||
Full ver. |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Tegan and Sara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5.2.4. 4화 Ring of Fire
ED Ring of Fire | |||
WEB ver. | |||
Full ver. |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Johnny Cash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5.2.5. 5화 If You Could Read My Mind
ED If You Could Read My Mind | |||
WEB ver. | |||
Full ver. |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Ultra Naté, Amber & Jocelyn Enriquez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5.2.6. 6화 Kidnapped by Neptune
ED Kidnapped by Neptune | |||
WEB ver. | |||
Full ver. |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Scout Niblett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5.2.7. 7화 今夜はハリケーン (오늘밤은 허리케인)
ED 今夜はハリケーン 오늘밤은 허리케인 | |||
WEB ver. | |||
Full ver. |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오모리 키누코(大森絹子)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버블검 크라이시스 노래이다.
5.2.8. 8화 Scott Pilgrim
ED Scott Pilgrim | |||
WEB ver. | |||
Full ver. |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Plumtree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81240,#08124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원작 제목의 모티브가 된 곡으로, 영화판에서도 삽입곡으로 나왔었고, 이번 애니메이션에서는 최종 엔딩곡으로 나온다.
6. 회차 목록
<rowcolor=#ffffff,#dddddd> 회차 | 제목[11]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제1화 | Scott Pilgrim's Precious Little Life 스콧 필그림의 별 볼 일 없지만 소중한 인생[12] | - | - | - | - | - |
제2화 | A League of Their Own 그들만의 리그 | - | - | - | - | - |
제3화 | Ramona Rents a Video 라모나, 비디오를 대여하다 | - | 모코짱 | - | ||
제4화 | Whatever 어쩌라고 | - | 요코야마 아키토시 | - | - | |
제5화 | Lights. Camera. Sparks?! 조명, 카메라, 불꽃?! | - | - | - | - | - |
제6화 | WHODIDIT 범인은 누구 | - | - | - | - | - |
제7화 | 2 Scott 2 Pilgrim[13] 2명의 스콧 필그림 | - | - | - | - | - |
제8화 | The World Vs Scott Pilgrim 세상 vs 스콧 필그림[14] | - | - | - | - | - |
7.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로튼토마토=scott_pilgrim_takes_off, 로튼토마토_tomato=96, 로튼토마토_popcorn=86,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IMDb=tt16969708, IMDb_user=7.9, ## IMDb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scott-pilgrim-takes-off, 메타크리틱_critic=82, 메타크리틱_user=6.4,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scott-pilgrim-takes-off-2023, 레터박스_user=4.2,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IGN=scott-pilgrim-takes-off, IGN_user=9, ## IGN_highlight=display,
)]
브라이언 리 오말리가 직접 "원작과 상당히 달라질 것이다"라고 예고한 바가 있기는 하나 그 발언을 모두가 접한 것도 아니었고, 예고편이나 선공개된 오프닝 영상 등의 마케팅에서는 아예 원작의 흐름을 따라가는 듯한 분위기를 진하게 풍겼기 때문에 본작이 공개된 뒤 대부분의 팬들은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원작 스토리의 애니메이션화를 기대한 팬들은 크게 당황했고, 아예 이 작품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결론적으로, 작품의 평가는 대체로 좋지만 팬층의 반응에서는 호불호가 나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호평하는 쪽에서는 이미 영화화된 원작을 똑같은 내용의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하지 않고 재조명 및 재해석한 뒤, 주조연들에게 더 입체적인 면모를 부여하고 팬들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확장된 스토리를 만들어내 또 다른 재미를 주고 있다는 점, 그러면서도 원래 시리즈에서 조명했던 인간관계에 관한 교훈을 잘 살린 점을 높게 사고 있다.
불호하는 쪽의 의견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마케팅 방식에 대한 비판이다. 스토리와 실질적인 주인공을 완전히 바꾸었어도 굳이 이걸 감출 이유는 없는데, 트레일러와 선공개된 오프닝 영상의 내용으로는 그런 내막을 짐작하기 힘들었기 때문. 특히나 스콧 필그림 시리즈의 팬들은 애니메이션화를 오랫동안 애타게 기다려 왔다. 그래서 첫 애니메이션 작품부터 각색도 아닌 스핀오프 또는 if 스토리가 전개될 거라고 예상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고, 당연히 팬들의 충격이 클 수밖에 없다. 원작자의 예고도 코믹스와 영화에서 아쉬웠던 부분을 보완하거나 서사의 추가 또는 수정이 있다는 정도로 받아들였다. 원작자가 직접 기존의 작품을 파괴하고 재창조하는 일이 있을거라고는 생각하기는 힘들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부제가 Takes Off 인데 스콧이 주역에서 물러나는 전개를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거 아니었나?"며 반론하는 사람도 있지만,[15] 어지간하면 'Takes Off'를 이륙하다, 떠오르다 등 물리적인 현상에 동반되는 이미지를 연상하지 기존 주인공이 한동한 증발하는 내용을 곧바로 떠올릴 가능성은 적다. 그래서 이로 인한 배신감과 실망, 원작 주인공의 처우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담은 반응이 나오고 있다. 오죽하면 시즌 1을 원작에 기반해서 제작하고 그 뒤에 시즌 2나 외전을 이 작품의 내용으로 제작하는 게 좋았을 거라는 의견이 나올 정도.
물론 이러한 팬들도 작품 자체의 평가를 좋게 내리는 경우가 대다수이지만 극도로 실망한 팬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원작과는 꽤 이질감이 드는 분위기 등 낮은 평가를 매기는 팬도 일부 존재하고. 오랜 시간이 지나고 나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작품이기 때문에 이런 갑작스러운 변화는 결국 원작 팬층에서 반응이 많이 갈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원작자이자 이번 애니메이션의 각본가로 참여한 브라이언 리 오말리가 이런 반응을 알게 되었는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서 입장을 밝혔다.[16] 스토리 작업은 외부의 지시 없이 순전히 자신과 공동 각본가 벤 데이비드가 한 것이며, 애니메이션의 타임 라인은 책/영화판을 대체하지 않는 고유의 시도라고 생각하고, 팬 여러분이 놀랄 수는 있겠지만 이것은 재미를 주기 위해서 시도한 것이며 설령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감사한다고 말했다.
선호도를 떠나서 한 가지 확실한 점은 본작이 원작 만화와 영화판을 다 본 기존 팬층에게나 추천할 만한 작품이라는 것. 그래서 시리즈를 처음 접하는 사람은 시청을 보류하는 게 좋다. 본작의 스토리는 원작의 'if 루트'라는 성격을 띠고 있고 시청자들도 그걸 안다는 걸 전제로 하고 쓰여진 것이므로 시리즈의 입문자라면 이해도 공감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 게다가 원작과 영화를 모두 봐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포인트가 산재해 있다.
헌데 현 시점에서는 국내 기준으로는 원작을 접하는 게 굉장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만화가 절판된 지 오래 되어서 원작을 볼 방법은 중고를 매입하거나 영어판을 얻는 수밖에 없기 때문. 근데 중고는 현재 상당한 고가에 거래되고 있고 그마저도 재고가 잘 올라오지 않으며 영어판은 영어를 잘 못 하는 사람이라면 읽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나마 영화판은 서비스 중인 OTT가 없기는 해도 유튜브에서 유료로 볼 수 있으니 사정이 좀 낫긴 하다만 실사화에 대한 인식을 생각하면 이마저도 접근성이 좋은편은 아니다.
==# 비하인드 영상 #==
배우 영상 |
제작진 영상 |
8. 기타
- 이 애니메이션을 가장 먼저 제작한 국가가 일본이다. 에드거 라이트가 처음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회사와 미국회사 협력해 제작하는 애니메이션이다. 그에게 있어서 여러모로 의의가 큰 작품.
- 영화 스콧 필그림 vs 더 월드의 출연진이 거의 대부분 그대로 유지된 모습을 보여준다. 개봉한 지 10년도 더 지난 영화임에도 특히 세월이 지나며 몸값이 올라간 배우들도 몇몇 있기에 캐스팅이 유지된 것에 대해 호평하는 반응이 대다수이다.[17] 여담으로 실사판 영화의 감독이자 본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담당한 에드거 라이트가 당시 실사판에 출연했던 배우들에게 애니메이션의 출연 의뢰 메일을 보내자, 3시간만에 모든 출연진이 출연 승낙 답장을 보냈다고도 한다.[18]
- 출연진 중 메이 휘트먼은 배우이기도 하지만 성우로서 커리어가 많은 전문 성우이기에 굉장히 뛰어난 연기를 선보였다.
- 각 화가 시작될 때의 타이틀 디자인은 고전게임에서 많이 따왔다. 1화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화는 스트리트 파이터 2, 3화는 버블 보블, 4화는 Skate or Die!, 5화는 록맨, 6화는 팩맨의 디자인과 흡사하다.
- 극중 영 닐이 시나리오를 쓴 스콧 필그림의 전기 영화가 제작되는데, 이 극중극 영화의 플롯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실사영화의 세계관이다. 루카스 리가 시나리오에 등장하는 본인의 등장 장면을 두고 어느 멍청이가 이런 속임수에 걸려드냐며 비웃기도 했다. 여담으로 이 영화의 감독으로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은 'Edgar Wrong'(...).
- 애니메이션 방영 이후 원작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지만, 원작 항목에 있는대로 원작은 오래전에 절판되었고 정발을 담당한 세미콜론(민음사) 에서 애니메이션 방영하기 한참 전에 재판 예정은 없다고 하였으며 그렇게까지 인기를 끈건 아니여서 재판을 기대하기는 힘들듯.
- 애니메이션 마지막 쿠키 영상이 후속편을 암시하듯이 끝났고, 많은 팬들이 더 많은 스콧 필그림을 기대하며 후속편을 원했지만, 원작자 브라이언 리 오말리와의 인터뷰에 의하면 시즌2는 계획에 없다고 한다.#
- 위의 인터뷰와 비하인드 영상을 종합하면 2019년 1월에 넷플릭스가 애니메이션 제작을 제안했으며 코로나 기간동안 각본을 썼다고 한다.
[1] 음악 대표작: 오블리비언, 트론: 새로운 시작, 니드 포 스피드: 페이백, 더 크루.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위쳐의 음악을 담당하기도 하였다.[2] 미국과 일본이 공동 제작한 애니메이션이지만, 일본이 먼저 제작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넷플릭스에서는 미국 TV 프로그램으로 분류했지만 자본만 미국일 뿐 제작사를 비롯한 스태프가 대부분 일본이기에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즉 미국이 기획해서 만들어진 일본 애니메이션이라고 볼 수 있다. 당장 캐릭터들의 립싱크만 봐도 미국에서 만든게 아님을 알수 있다.[3] 애니메이션을 주로 담당하였다.[4] 출처 #[5] 다만 토드는 이게 정말 정체성을 깨달은 건지, 그냥 월레스의 마성에 넘어가서 혼자 불타오르고 있을 뿐인 건지 확실하지 않다.[6] 이 캐릭터가 스콧과 근본적인 공통점을 갖고 있다는 걸 표현한 것일 수 있다. 서로 유형이 다를 뿐이지 누군가의 애정을 강하게 원하고 응석을 부린다는 면에서 공통분모가 있으니까. 다만 원작의 내용만 보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모습이기 때문에 괴리감이 엄청나다.[7] 어떻게 보면 개인적인 면에서는 등장인물 중에서 유일하게 답보, 심하면 퇴보에 가깝다. 발전 가능성이 조금도 엿보이지 않을 정도로 멍청해져서...[8] 근데 7화의 중년 시점에서는 여전히 스콧을 자기 집에서 같이 살게 해 주는 등 변함없이 챙겨 주고 있어서 괴리감이 든다. 사실 2~5화에서 월레스가 스콧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 때 보이는 태도는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미심쩍은 부분이 많으므로 1화의 쌀쌀맞음은 참다참다 한 번 폭발한 정도로 해석할 여지가 충분하다.솔직히 이만하면 월레스가 보살이지[9] 사실 엔비도 자기 스턴트 대역인 라모나를 데리고 와서 싸우라고 떠밀었으니 도긴개긴이다(...)[10] 근데 월레스는 원작에서 엔비를 굉장히 싫어했던 만큼, '저 XX과 다대일로 싸우는 게 뭐 문제라도 되나?' 라는 생각으로 나온 걸 수도 있다. 원작에서도 파트너를 계속 갈아치우고 NTR도 저지르는(...) 등 연애 관련으로는 문제가 많은 인물이긴 했지만, 적어도 매사에 비겁하고 뻔뻔하게 굴 정도로 막장스러운 건 아니었기 때문. 이걸 장면 그대로 해석할 경우 월레스는 인간 말종이 되고 캐릭터도 붕괴하게 된다. 악의적으로 캐릭터 하나를 망가뜨리려는 의도가 있는 게 아닐 바에야 아무렇게나 이런 전개를 하지는 않을 터.[11]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넷플릭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2] 원작 1권의 제목.[13] 패스트 & 퓨리어스 2의 패러디 제목[14] 실사판 타이틀인 Scott Pilgrim Vs The World의 오마주[15] take off에는 '(급히)떠나다'는 용법도 있다.[16] 원본 인스타그램 게시글(삭제됨), 레딧, DC인사이드[17] 출연 배우 중 크리스 에반스, 브리 라슨, 브랜던 라우스,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 토머스 제인 등 슈퍼히어로 프렌차이즈 무비에서 주역을 맡은 배우만 5명에 달한다.[18] 카일 & 켄 카타야나기 형제의 경우 실사판에 해당 역으로 출연했던 사이토 쇼타 & 사이토 케이타 형제가 아닌 다른 성우가 연기했다. 당초 이 둘의 캐스팅을 시도했지만 결국 이루어지지는 않았다고. 다만 실사판에서는 사이토 형제가 영어를 전혀 못했기 때문에 카타야나기 형제의 작중 대사가 일절 없었던지라, 본인들을 재캐스팅 한다고 해도 크게 의미가 없는것도 사실이다. 또한 사이토 형제는 현재 거의 연예계를 은퇴하고 화물차 기사로 살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