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20:48:18

스킬 개화/스트리트파이터(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킬 개화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스트리트 파이터(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dnf_logo.png
직업별 스킬 개화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귀검사/남자|
파일:mc_txt01.png
]]
[[스킬 개화/웨펀마스터|
파일:thum_type_d1.png
웨펀마스터
]]
[[스킬 개화/소울브링어|
파일:thum_type_d2.png
소울브링어
]]
[[스킬 개화/버서커|
파일:thum_type_d3.png
버서커
]]
[[스킬 개화/아수라|
파일:thum_type_d4.png
아수라
]]
[[스킬 개화/검귀|
파일:thum_type_d5.png
검귀
]]
[[귀검사/여자|
파일:mc_txt02.png
]]
[[스킬 개화/소드마스터|
파일:thum_type_d6.png
소드마스터
]]
[[스킬 개화/다크템플러|
파일:thum_type_d9.png
다크템플러
]]
[[스킬 개화/데몬슬레이어|
파일:thum_type_d7.png
데몬슬레이어
]]
[[스킬 개화/베가본드|
파일:thum_type_d8.png
베가본드
]]
[[스킬 개화/블레이드|
파일:thum_type_d10.png
블레이드
]]
[[격투가(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3.png
]]
[[스킬 개화/넨마스터(남)|
파일:thum_type_d11.png
넨마스터
]]
[[스킬 개화/스트라이커(남)|
파일:thum_type_d12.png
스트라이커
]]
[[스킬 개화/스트리트파이터(남)|
파일:thum_type_d13.png
스트리트 파이터
]]
[[스킬 개화/그래플러(남)|
파일:thum_type_d14.png
그래플러
]]
[[격투가(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4.png
]]
[[스킬 개화/넨마스터(여)|
파일:thum_type_d15.png
넨마스터
]]
[[스킬 개화/스트라이커(여)|
파일:thum_type_d16.png
스트라이커
]]
[[스킬 개화/스트리트파이터(여)|
파일:thum_type_d17.png
스트리트 파이터
]]
[[스킬 개화/그래플러(여)|
파일:thum_type_d18.png
그래플러
]]
[[거너(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5.png
]]
[[스킬 개화/레인저(남)|
파일:thum_type_d19.png
레인저
]]
[[스킬 개화/런처(남)|
파일:thum_type_d20.png
런처
]]
[[스킬 개화/메카닉(남)|
파일:thum_type_d21.png
메카닉
]]
[[스킬 개화/스핏파이어(남)|
파일:thum_type_d22.png
스핏파이어
]]
[[스킬 개화/어썰트|
파일:thum_type_d23.png
어썰트
]]
[[거너(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6.png
]]
[[스킬 개화/레인저(여)|
파일:thum_type_d24.png
레인저
]]
[[스킬 개화/런처(여)|
파일:thum_type_d25.png
런처
]]
[[스킬 개화/메카닉(여)|
파일:thum_type_d26.png
메카닉
]]
[[스킬 개화/스핏파이어(여)|
파일:thum_type_d27.png
스핏파이어
]]
[[스킬 개화/패러메딕|
파일:thum_type_d68.png
패러메딕
]]
[[마법사(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7.png
]]
[[스킬 개화/엘레멘탈 바머|
파일:thum_type_d28.png
엘레멘탈 바머
]]
[[스킬 개화/빙결사|
파일:thum_type_d29.png
빙결사
]]
[[스킬 개화/블러드 메이지|
파일:thum_type_d30.png
블러드 메이지
]]
[[스킬 개화/스위프트 마스터|
파일:thum_type_d31.png
스위프트 마스터
]]
[[스킬 개화/디멘션 워커|
파일:thum_type_d32.png
디멘션 워커
]]
[[마법사(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8.png
]]
[[스킬 개화/엘레멘탈 마스터|
파일:thum_type_d33.png
엘레멘탈마스터
]]
[[스킬 개화/소환사|
파일:thum_type_d34.png
소환사
]]
[[스킬 개화/배틀메이지|
파일:thum_type_d35.png
배틀메이지
]]
[[스킬 개화/마도학자|
파일:thum_type_d36.png
마도학자
]]
[[스킬 개화/인챈트리스|
파일:thum_type_d37.png
인챈트리스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9.png
]]
[[스킬 개화/크루세이더(남)|
파일:thum_type_d38.png
크루세이더
]]
[[스킬 개화/인파이터|
파일:thum_type_d39.png
인파이터
]]
[[스킬 개화/퇴마사|
파일:thum_type_d40.png
퇴마사
]]
[[스킬 개화/어벤저|
파일:thum_type_d41.png
어벤저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10.png
]]
[[스킬 개화/크루세이더(여)|
파일:thum_type_d42.png
크루세이더
]]
[[스킬 개화/이단심판관|
파일:thum_type_d43.png
이단심판관
]]
[[스킬 개화/무녀|
파일:thum_type_d44.png
무녀
]]
[[스킬 개화/미스트리스|
파일:thum_type_d45.png
미스트리스
]]
[[도적(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1.png
]]
[[스킬 개화/로그|
파일:thum_type_d46.png
로그
]]
[[스킬 개화/사령술사|
파일:thum_type_d47.png
사령술사
]]
[[스킬 개화/쿠노이치|
파일:thum_type_d48.png
쿠노이치
]]
[[스킬 개화/섀도우 댄서|
파일:thum_type_d49.png
섀도우 댄서
]]
[[나이트(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2.png
]]
[[스킬 개화/엘븐나이트|
파일:thum_type_d50.png
엘븐나이트
]]
[[스킬 개화/카오스|
파일:thum_type_d51.png
카오스
]]
[[스킬 개화/팔라딘|
파일:thum_type_d52.png
팔라딘
]]
[[스킬 개화/드래곤나이트|
파일:thum_type_d53.png
드래곤나이트
]]
[[마창사|
파일:mc_txt13.png
]]
[[스킬 개화/뱅가드|
파일:thum_type_d54.png
뱅가드
]]
[[스킬 개화/듀얼리스트|
파일:thum_type_d55.png
듀얼리스트
]]
[[스킬 개화/드래고니안 랜서|
파일:thum_type_d56.png
드래고니안 랜서
]]
[[스킬 개화/다크 랜서|
파일:thum_type_d57.png
다크 랜서
]]
[[총검사|
파일:mc_txt14.png
]]
[[스킬 개화/히트맨|
파일:thum_type_d60.png
히트맨
]]
[[스킬 개화/요원|
파일:thum_type_d58.png
요원
]]
[[스킬 개화/트러블 슈터|
파일:thum_type_d59.png
트러블 슈터
]]
[[스킬 개화/스페셜리스트|
파일:thum_type_d61.png
스페셜리스트
]]
[[아처(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7.png
]]
[[스킬 개화/뮤즈|
파일:thum_type_d62.png
뮤즈
]]
[[스킬 개화/트래블러|
파일:thum_type_d63.png
트래블러
]]
[[스킬 개화/헌터|
파일:thum_type_d64.png
헌터
]]
[[스킬 개화/비질란테|
파일:thum_type_d65.png
비질란테
]]
[[스킬 개화/키메라|
파일:thum_type_d69.png
키메라
]]
외전 [[스킬 개화/다크나이트|
파일:thum_type_d66.png
다크나이트
]]
[[스킬 개화/크리에이터|
파일:thum_type_d67.png
크리에이터
]]
범례 물리 공격형, 마법 공격형, 하이브리드형, 버퍼 직업, 미구현된 직업
고정 데미지
}}}}}}}}} ||


1. 개요2. 목록
2.1. 그물투척
2.1.1. Ⅰ - 세 가지 맛2.1.2. Ⅱ - 잔챙이 묶기
2.2. 그라운드 태클
2.2.1. Ⅰ - 더스트 토네이도 킥2.2.2. Ⅱ - 아웃 로우
2.3. 크레이지 발칸
2.3.1. Ⅰ - 바이올런스 발칸2.3.2. Ⅱ - 클라이막스 엔딩
2.4. 베놈 마인
2.4.1. Ⅰ - 베놈 익스플로전2.4.2. Ⅱ - 커넥트 톡신
2.5. 비셔스 래리어트
2.5.1. Ⅰ - 와일드 트릭2.5.2. Ⅱ - 패스트 스윙바이
2.6. 더티 배럴
2.6.1. Ⅰ - 킥 애스2.6.2. Ⅱ - 데들리 배럴
2.7. 광폭혈쇄
2.7.1. Ⅰ - 스카페이스2.7.2. Ⅱ - 그레이브 야드
2.8. 체인 드라이브
2.8.1. Ⅰ - 버닝 드라이브2.8.2. Ⅱ - 스콜피온
2.9. 만천화우
2.9.1. Ⅰ - 아발란체2.9.2. Ⅱ - 블러드 레인
3. 총합 평가4. 스킬 강화
4.1. 목록

1. 개요

던전앤파이터의 직업 남성 스트리트 파이터의 VP 옵션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VP 투자가 추천되는 스킬은 다음과 같다. 이하 표는 "해당 스킬에 VP를 선택해야만 한다"는 전제 하에 작성된 것이므로 실제 VP 투자 시에는 본인 취향 껏 선택하면 된다. VP를 선택하는 것은 거의 확실하지만 1, 2옵션 중 선택지의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에는 둘 다 표시해두었다. 추후에 선택지가 굳어진다면 수정을 바란다. 추천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각각의 개화에서 설명한다.
<rowcolor=white> 스킬 이름 1옵션 2옵션
그물 투척
그라운드 태클
크레이지 발칸
베놈 마인
비셔스 래리어트
더티 배럴
광폭혈쇄
체인 드라이브
만천화우

2. 목록

2.1. 그물투척

명왕의 투척물 연계를 원활하게 만들어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문제는 이게 VP를 소모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결격 사유에 해당된다. 여기에 VP를 투자 할 바에 다른 스킬의 VP나 투척물 압축을 시켜주는 VP에 투자하는게 훨씬 이득이라 찍을 이유가 존재하지 않는다.

2.1.1. Ⅰ - 세 가지 맛

세 가지 맛
일반 투척 불가
딜레이 캔슬
자동 강화 투척
시전 시간 감소
<rowcolor=#9d864b>[그물 투척]
일반 투척 불가, 강화 그물 투척 적중 시 캔슬하고 독병/바늘/블럭 투척 가능.
이후 1.5초 동안 투척물 강화
- 후딜레이를 캔슬하고 독병/바늘/블럭 투척
- 지속 시간 또는 최대 3회까지 강화 투척 적용

그물 투척 속도 100% 증가
투척 쿨타임 70% 감소
총합 공격력 70% 감소

그물 투척 장전 수 1개로 변경

2.1.2. Ⅱ - 잔챙이 묶기

잔챙이 묶기
강화 투척 불가
범위 증가
투척 계열 일반 버전 강화
<rowcolor=#9d864b>[그물 투척]
강화 투척 불가, 좀 더 큰 그물을 멀리 투척
- 그물을 조금 더 빨리 던짐

구속 지속 시간 3초 증가, 홀드 시간 1초 증가
[독병 투척]
일반 투척 시 사거리 100% 증가

[바늘 투척]
뒷주머니 습득 시 특수 바늘 타격 공격력 110% 증가

[블럭 투척]
일반 투척 시 사거리 100% 증가

2.2. 그라운드 태클

2.2.1. Ⅰ - 더스트 토네이도 킥

더스트 토네이도 킥
시전 시간 감소
범위 증가
<rowcolor=#9d864b>[그라운드 태클]
더 힘껏 뛰어 바닥을 강렬하게 긁어 대량의 흙먼지를 일으키며 착지
- 1히트로 변경
- 총합 공격력은 동일

이동 거리를 조금 더 세심하게 조절
- 후방 입력 시 이동 거리 대폭 감소
- 전진 입력 시 이동 거리 증가
탈리스만과 동일한 옵션. 그라운드 태클을 단타기로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이점을 가진다.

2.2.2. Ⅱ - 아웃 로우

아웃 로우
딜레이 캔슬
공격 시간 감소
<rowcolor=#9d864b>[그라운드 태클]
헬터 스켈터 및 투척 스킬의 후 딜레이를 캔슬하고 시전 가능

적중 시 캔슬하여 일부 스킬 시전 가능
- 대상 스킬 : 베놈 마인, 비셔스 래리어트, 광폭혈쇄, 더티 배럴, 체인 드라이브, 만천화우
- 뒷 방향키를 누르며 스킬 시전 시 캐릭터가 뒤를 돌아보며 시전

다단히트 간격 감소
그라운드 태클을 여스파의 그라운드 킥 VP1처럼 무큐기로 후딜을 캔슬 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라운드 태클과 더티 배럴이 쿨타임이 같으므로, 두 스킬을 세트처럼 묶어 사용하면 태클을 사실상 딜레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2.3. 크레이지 발칸

2.3.1. Ⅰ - 바이올런스 발칸

바이올런스 발칸
범위 증가
상태 이상 조건부 완화
<rowcolor=#9d864b>[크레이지 발칸]
시전 시 화염병 폭탄을 내려쳐 광범위 폭발을 일으키는 스킬로 변경
- 주변 적에게 잡힌 적과 동일한 데미지 적용
- 잡기 실패 시에도 발동

상태 이상 1개 당 공격력 증가율 5%로 변경
- 기본 공격력 39.2% 증가
시즌 8 결전 무기 옵션을 가져온 VP. 폭발 범위가 굉장히 넓고 잡기 성공 여부에 상관없이 딜을 넣을 수 있지만 클라이막스 엔딩의 압도적인 딜포텐셜과 편의성로 인하여 추천순위는 밀린다.

2.3.2. Ⅱ - 클라이막스 엔딩

클라이막스 엔딩
추적
공격력/쿨타임 증가
<rowcolor=#9d864b>[크레이지 발칸]
체인으로 적을 제압한 후 다가가 강하게 내려치는 스킬로 변경
- 기본 쿨타임 45초로 변경
- 총합 공격력 200% 증가
추적 기능과 더불어 기본 쿨타임이 3배로 늘어나는 대신 스킬 자체의 화력도 3배로 증가해 강력한 한 방 스킬로 거듭난다. 원래도 크레이지 발칸은 남스파의 스킬 중 가장 높은 쿨타임 대비 데미지를 자랑하는 최주력기인데 쿨타임 대비 데미지를 유지한 채 한방딜을 3배나 늘려서 단발 위력을 남스파의 일반 기술 중 가장 강하게 만드는 옵션이 안좋을 수가 없다. 또한 크레이지 발칸의 사용횟수가 줄어든다는 것은 곧 상태이상 조건부에 신경을 덜 써도 된다는 뜻이므로 여러모로 채용할 메리트가 높은 스킬 개화. 대신 처음 체인을 휩쓰는 공격이 적중하지 않을 경우 스킬이 그대로 취소되고, 쿨타임이 큰 폭으로 늘어나는 만큼 헛쳤을 때의 딜로스도 그만큼 커져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2.4. 베놈 마인

2.4.1. Ⅰ - 베놈 익스플로전

베놈 익스플로전
범위 증가
화상 부여
<rowcolor=#9d864b>[베놈 마인]
베놈 마인 3개를 동시 폭발시켜 공격하는 스킬로 변경
- 발차기 공격 판정 삭제
- 총합 공격력은 동일
- 뒷주머니 on 시, 베놈 마인이 거는 독 중 하나를 화상으로 변경
발차기 판정을 없애주고 독 지뢰만 맞춰도 모든 딜이 들어가도록 해준다. 탈리스만 시절까지만해도 무조건 채용하는 스킬이었으나, 개화로 넘어오고 추가적인 패치가 진행되면서 쓸만한 선택지가 크게 늘어났고 베놈 마인 자체가 애당초 베놈 익스플로전이 없으면 구조 하자가 매우 심각한 스킬이기 때문에 투척류 압축과 연계 능력으로 VP 구성들이 좁혀져 가고 있는 상황에서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기 힘들어지고 있다.

2.4.2. Ⅱ - 커넥트 톡신

커넥트 톡신
시전 시간 감소
부착형 스킬로 변경
감전 부여
<rowcolor=#9d864b>[베놈 마인]
특제 폭발물이 첨가된 마인을 던지는 스킬로 변경
마인은 즉시 폭발하지 않으며, 적에게 달라붙은 뒤 소비형 투척류 및 더티 배럴로 적을 맞출 때마다 반응해 폭발
- 마인 폭발 횟수 : 3회
- 최대 부착 시간 : 6초
- 폭발 시 감전 상태 이상 부여
- 상태 이상 지속 시간 100% 증가
- 총합 공격력은 동일
마인을 C4처럼 붙이고 투척류 스킬을 맞출 때 마다 터진다. 허나 지속 시간이 짧고 마인 투척 범위폭이 얇아서 빗나가면 스킬이 그대로 증발해버리며 폭발 조건도 굳이 투척류 스킬과 더티 배럴에만 반응하기에 그닥 추천하진 않는다.

2.5. 비셔스 래리어트

2.5.1. Ⅰ - 와일드 트릭

와일드 트릭
무적 부여
범위 증가
<rowcolor=#9d864b>[비셔스 래리어트]
스킬 발동 시 무적 부여
체인 휘두르기 크기 10% 증가

2.5.2. Ⅱ - 패스트 스윙바이

패스트 스윙바이
시전 시간 감소
범위 증가
<rowcolor=#9d864b>[비셔스 래리어트]
체인 휘두르기 공격력 및 횟수 삭제
- 마무리 타격 범위 50% 증가
- 총합 공격력은 동일
체인을 휘두르는 동작이 삭제되고 막타만 휘두르는 단타기로 바꾼다. 범위 증가도 붙어있어 수련의 방 기준으로 화면 내의 적은 거의 다 적중할 정도다. 비셔스 래리어트를 채용할 경우 필수 선택지.

2.6. 더티 배럴

2.6.1. Ⅰ - 킥 애스

킥 애스
딜레이 캔슬
무적 부여
<rowcolor=#9d864b>[더티 배럴]
룰 브레이크의 타 스킬 사용 중 캔슬하여 발동할 수 있는 스킬에 더티 배럴 추가
- 이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더티 배럴 사용 중 무적이 됨
기존의 탈리스만 옵션을 그대로 가져왔다. 여전히 무난하게 써먹기 좋은 옵션으로 스킬 연계와 순간무적기에 중점을 둘 경우 써먹을 수 있는 개화.

2.6.2. Ⅱ - 데들리 배럴

데들리 배럴
독병 투척 합산
범위 증가
<rowcolor=#9d864b>[더티 배럴]
나무통에 독극물이 더 많이 담겨 폭발 후 독 안개 지대 생성
- 시전 시 독병 투척 장전 수 10 소모
- 독 안개 지대 : 독병 투척(강화) 공격력의 143%로 3초간 중독

투사체 및 폭발 범위 40% 증가

투척 속도 및 거리 100% 증가

[독병 투척]
공격력 50% 감소
아웃 로우를 채용한 그라운드 태클과 데들리 배럴은 연계성이 뛰어나고 독병 투척의 딜압축 + 킥 애스와 기본 사양이 비슷하다는 점과 맞물려 3투척물 운용 난이도를 낮춰준다는 메리트가 확실히 존재한다.

2.7. 광폭혈쇄

광폭혈쇄 원본 스킬 자체는 무난한 무큐기이나, VP의 성능이 썩 좋지 않아 채용하지 않는다.

2.7.1. Ⅰ - 스카페이스

스카페이스
범위 증가
적 모으기 강화
<rowcolor=#9d864b>[광폭혈쇄]
체인을 더 빠르게 연속으로 휘둘러 적을 모음
- 연속 타격 횟수 100% 증가
- 시전 속도 35% 증가
- 범위 30% 증가
- 총합 공격력은 동일
- 마지막 타격이 거리와 상관 없이 적을 자신의 앞으로 끌고 옴

룰 브레이크 캔슬로 소비형 투척류 스킬 사용 시, 대상 스킬 장전 수 최대치로 충전

2.7.2. Ⅱ - 그레이브 야드

그레이브 야드
스택화
딜레이 캔슬
<rowcolor=#9d864b>[광폭혈쇄]
체인을 휘두른 뒤 끌고오지 않고 스킬 종료
2회 스택형으로 변경
- 1회 충전 쿨타임 : 25초
- 1회 공격력 50% 감소

헬터 스켈터 및 투척 스킬의 후 딜레이를 캔슬하고 시전 가능

2.8. 체인 드라이브

2.8.1. Ⅰ - 버닝 드라이브

버닝 드라이브
범위 증가
상태 이상 피해 즉시 적용
화상/감전 부여
<rowcolor=#9d864b>[체인 드라이브]
전류가 체인을 타고 흘러나가 지면 충돌 시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변경
- 화염을 일으켜 더 넓은 범위의 적을 공격
- 불길에 휘말린 적의 현재 걸려 있는 출혈/중독 상태 이상 데미지 폭발
- 적을 15초간 화상, 감전 상태로 만듬
범위 증가와 더불어 총 3개(출혈, 감전, 화상)의 상태 이상을 동시에 부여해서 크레이지 발칸과 빠르고 효율적인 연계가 가능해진다.

2.8.2. Ⅱ - 스콜피온

스콜피온
블럭 투척 합산
적 모으기 강화
출혈 삭제
딜레이 캔슬
<rowcolor=#9d864b>[체인 드라이브]
체인으로 지면을 뜯어 거대한 암석덩어리로 합친 뒤 전방에 체인과 함께 던져버리는 스킬로 변경
- 투척 시 블럭 투척 장전 수 9 소모
- 지면 뒤집기 공격력 삭제
- 잡기 불가능한 적 구분 삭제
- 출혈 부여 삭제
- 암석덩이 적중 시 블럭 투척 벽돌 타격 공격력의 1671% 피해를 추가로 입히며 3초간 기절 상태 이상 부여
- 투척 이후 룰 브레이크 캔슬 기능 사용 가능
- 체인 드라이브 총합 공격력은 동일

[블럭 투척]
공격력 30% 감소
지면에 바위를 뜯어내 살짝 점프한 뒤 메다 꽂는 기술. 블럭 투척의 압축 기능이 들어있고 본래 스킬에 있는 출혈딜이 암석덩이에 합산되어 한방에 들어가고 전방 범위형 공격이 된다. 본래는 버닝 드라이브가 클라이막스 엔딩과 궁합이 좋아 스콜피온의 가치가 전혀 없었으나 블러드 레인에 감전이 추가되면서 조작 여하에 따라 블러드 레인이 버닝 드라이브 3상변 중첩 대체가 가능해지면서 채용 가능성이 늘어났다.

2.9. 만천화우

2.9.1. Ⅰ - 아발란체

아발란체
시전 시간 감소
딜레이 캔슬
<rowcolor=#9d864b>[만천화우]
천장에서 즉시 큰 돌을 떨굼
- 작은 파편 공격력 삭제
- 총합 공격력은 동일

룰 브레이크 습득 시 캔슬 가능 타이밍이 천장에서 체인을 뽑은 후로 변경
- 헬터 스켈터 및 소비형 투척 스킬 외에도, 전직 계열 스킬로 캔슬할 수 있는 기능 추가
단타기로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후딜레이도 다른 스킬로 캔슬할 수 있어 실전성이 높다.

2.9.2. Ⅱ - 블러드 레인

블러드 레인
바늘 투척 합산
범위 증가
<rowcolor=#9d864b>[만천화우]
천장으로 체인을 던질 때 함께 바늘을 던져 부숴진 천장 파편과 함께 낙하
- 시전 시 바늘 투척 장전 수 20 소모
- 큰 돌이 낙하하지 않음
- 작은 돌 낙하 횟수 60% 증가, 속도 50% 증가
- 바늘 공격력 : 바늘 투척(일반) 공격력의 210%
- 낙하 하는 바늘 중 절반은 출혈이 아닌 감전 상태 이상 부여
- 만천화우 총합 공격력은 동일

공격 범위 25% 증가

[바늘투척]
공격력 40% 감소

본래는 끔찍한 만천화우의 채널링에 바늘 딜만 합산되는데다가 바늘 데미지까지 50%나 감소하여 아무도 채용하지 않는 VP였다.
그러나 속도 증가 개편과 유틸 개선, 바늘 데미지 감소량 조정으로 진짜 '만천화우'와 비슷한 스킬이 되었다. 감전 기능이 추가 되었기 때문에 컨트롤 여하에 룰브로 독병을 투척하거나 데들리 배럴을 사용 할 경우 3상변 중첩이 가능하기 때문에 버닝 드라이브 옵션을 대체해줄 수 있고, 역시 클라이막스 엔딩의 연계가 용이해진다. 물론 좀 더 즉발적인 연계를 원한다면 버닝 드라이브 쪽이 더 좋겠지만 개선 패치 후 블러드 레인이 충분히 실전 사용 가능의 영역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기존보다 완화 된 채널링을 감내한다면 블러드 레인으로 상변 3중첩 하는 쪽이 고점이 더 높은 편.

3. 총합 평가

<rowcolor=#fff,#ddd>클라이막스 엔딩은 이견의 여지가 없는 압도적인 편의성으로 인해 필수로 채용하는걸 추천한다.
크레이지 발칸에 추적 기능이 추가되어 초근접 타격 판정이라는 가장 큰 단점을 해결해주고, 항시 적에게 3개의 상태이상을 부여해야 제 성능이 발휘되는 단점 또한 쿨증/딜증을 통해 기존에 10~15초에 한 번씩 사용 해야하는 스킬을 30~45초에 사용하도록 변경됨으로써 일부 해결된다.
<rowcolor=#fff,#ddd>데들리 배럴, 스콜피온, 블러드 레인은 투척물 합산 기능을 통한 강력한 딜 압축 능력이 발군이다.
각각 독병, 벽돌, 바늘 투척의 데미지가 감소하는 대신 더티 배럴, 체인 드라이브, 만천화우 시전 시 투척물을 소모해 추가 피해 및 상태 이상을 부여한다. 남스파의 단점인 투척물 관리와 룰 브레이크 캔슬의 부담감을 줄여주는것 역시 큰 장점이다. 특히나 짧은 딜타임동안 폭딜을 넣어야 하는 현재 레이드 메타와 매우 잘 어울린다.
<rowcolor=#fff,#ddd>아발란체, 베놈 익스플로전, 버닝 드라이브 역시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아발란체는 만천화우의 공격 시간을 3초에서 1초로 대폭 감소 시켜줄 뿐만 아니라, 후 딜레이를 다른 스킬로 캔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블러드 레인의 바늘 합산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클라이맥스 엔딩 다음으로 채용해야할 스킬 개화다.
베놈 익스플로전은 발차기 데미지까지 들어가야 온전한 딜이 나오는 근접 스킬을 독 기둥만 맞춰도 되는 중거리 스킬로 바꿔준다. 범위 증가 효과 역시 쏠쏠한 편이기 때문에 무난히 채용하기 좋다.
버닝 드라이브는 범위 증가와 상태 이상 3개를 동시에 부여해 시전 후 즉시 크레이지 발칸과 연계할 수 있어 굉장히 편리해진다. 이 스킬 개화를 사용할 때 마운트의 스킬 강화를 스증+쿨감[1]으로 적용해 체인 드라이브와 크레이지 발칸의 쿨타임을 비슷하게 맞출 수 있다.
<rowcolor=#fff,#ddd>패스트 스윙바이는 일부 스킬을 포기하고 좀 더 쾌적한 플레이를 원한다면 추천한다.
비셔스 래리어트는 긴 채널링이 단점이긴 하나, 패스트 스윙바이를 통한 범위 증가와 단타기로 만들어주는 효과 때문에 고려해볼만 하다. 스킬 개화 없는 크레이지 발칸만큼 좁은 타점과 상태 이상 중첩을 요구하는 일발 화약성, 없어도 별 문제없는 그라운드 태클[2] 대신 사용하면 좋다.

4. 스킬 강화

가장 딜 지분이 높은 마운트만천화우를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하나는 더티 배럴 또는 체인 드라이브을 선택하는 편이다.

4.1. 목록

스킬 공격력 증가 공격력 증가 & 쿨타임 감소
헬터 스켈터 스킬 공격력 60% 증가 스킬 공격력 43% 증가
스킬 쿨타임 15% 감소
독병 투척
일발화약성
바늘 투척
마운트
블럭 투척
그물 투척 스킬 공격력 55% 증가 스킬 공격력 38% 증가
스킬 쿨타임 15% 감소
그라운드 태클
크레이지 발칸
베놈 마인
비셔스 래리어트
더티 배럴
광폭혈쇄
체인 드라이브
만천화우


[1] 단순 스증(60%)과 17% 정도의 차이값이 있기 때문에 편리함 대비 딜량은 다소 아쉬운 편.[2] 쿨타임마다 상태 이상 3개가 적용된 일발 화약성, 모든 다단 히트를 적중시킨 그라운드 태클이 DPS는 좀 더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