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알크마르 프라우언 | ||
Alkmaar Zaanstreek Vrouwen | ||
| ||
<colbgcolor=#db0021,#191919> 이름 | <colbgcolor=#fff> 스테파니 판 데르 흐라흐트 Stefanie van der Gragt | |
출생 | 1992년 8월 16일 ([age(1992-08-16)]세) | |
<colbgcolor=#fff>네덜란드 노르트홀란트주 헤이르휘호바르트 | ||
국적 |
| |
신체 | 키 178㎝ | |
직업 | 축구 선수(센터백 / 은퇴) | |
소속 | 유스 | 레이허르 보이스 콜핑 보이스 |
프로 | AZ 알크마르 프라우언 (2009~2011) VVK 텔스타 (2011~2015) FC 트벤터 프라우언 (2015~2016) FC 바이에른 뮌헨 프라우엔 (2016~2017) AFC 아약스 프라우언 (2017~2018)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2018~2020) AFC 아약스 프라우언 (2020~2022)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위민 (2022~2023) | |
행정 | AZ 알크마르 프라우언 (2023~ / 테크니컬 매니저) | |
국가대표 | 107경기 14골(네덜란드 / 2013~2023) | |
SNS |
1. 개요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재는 AZ 알크마르 프라우언의 테크니컬 매니저이다.2. 클럽 경력
헤르후호바르트에 위치한 아마추어 클럽 레이허르 보이스의 유소년 팀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이후 아우도르프의 또 다른 아마추어 클럽인 콜핑 보이스 유소년 팀에서 뛰었다.2009년 AZ 알크마르로 이적하면서 프로 경력이 시작되었으며, 네덜란드 최고 여자 프로리그인 프라우언 에레디비시에서 활약할 수 있게 되었다. 클럽에서 두 시즌을 보낸 뒤, 2011년 텔스타로 이적하여 4년간 뛰었다. 2015년에는 FC 트벤터로 이적했고, 한 시즌 후 독일 분데스리가의 명문팀 FC 바이에른 뮌헨 프라우엔에 입단했다.
그러나 부상으로 인해 독일에서는 출전 기회가 많지 않았고, 2017년 다시 네덜란드로 돌아와 AFC 아약스 프라우언와 계약했다.
2018년 7월 4일, 그녀는 스페인의 FC 바르셀로나 페메니로 이적했다. 이후 2020년 6월 12일, 다시 AFC 아약스로 복귀했다. 2022년 8월 5일, 그녀는 이탈리아의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위민과 계약했다.
2023년 4월, 그녀는 2023년 월드컵 이후 현역에서 은퇴하고 AZ 알크마르로 복귀해 업무를 맡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3. 국가대표 경력
2013년 3월 8일, 키프로스컵 경기에서 스위스와 맞붙으며 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그녀는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와 UEFA 여자 유로 2017에서 모두 네덜란드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으며, 두 대회 모두 전 경기에 출전했다. 특히 2017년 대회에서는 네덜란드가 우승을 차지했고, 대회 이후 대표팀 전체는 총리 마르크 뤼터와 체육부 장관 에디트 스히퍼르스로부터 오라녜나소 훈장을 수훈했다.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에서는 이탈리아와의 8강전에서 골을 넣으며 네덜란드의 승리에 기여했다.
2023년 5월 31일, 그녀는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대표팀 예비 명단에 포함되었다. 대회 개막전인 포르투갈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으며, 이로써 두 대회 연속 월드컵 득점에 성공했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 AZ 알크마르 프라우언 (2009~2011)
- 프라우언 에레디비시: 2009-10
- KNVB 베이커 프라우언: 2010-11
- FC 트벤터 프라우언 (2015~2016)
- 프라우언 에레디비시: 2015-16
- AFC 아약스 프라우언 (2017~2018, 2020~2022)
- 프라우언 에레디비시: 2017–18
- KNVB 베이커 프라우언: 2017–18, 2021–22
-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2018~2020)
- 리가 F: 2019–20
- 수페르 코파 데 에스파냐 페메니나: 2020
- 코파 카탈루냐 페메니나: 2018, 2019
- 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여자 유로: 2017
- 알가르브컵: 2018
4.2. 수훈
- 오라녜나사우 훈장 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