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1:59:30

스텔라 블레이드/지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텔라 블레이드
<colbgcolor=#1a1e23><colcolor=#fff> 스텔라 블레이드 Stellar Blade 관련 문서
파일:Stellar_Blade_Korean_logo.webp
주요 컨텐츠 스토리 · 지역 · 임무 · 엔딩 · 업적
장비 슈트 · 엑소스파인 · 기어 · 헤어 · 액세서리 · 스킬
데이터 뱅크 메모리 스틱 · 문서 · 암호 · 인물 · 네이티브 · 물고기 · 포토 챌린지
기타 · 별의 눈물

1. 개요2. 인트로
2.1. 별의 강림지
3. 에이도스 7
3.1. 침묵의 거리3.2. 주차타워3.3. 버려진 정거장3.4. 침수된 상업구역3.5. 기억의 탑3.6. 기록 보관소3.7. 공사장3.8. 도시 지하 구역3.9. 크레이터
4. 자이온
4.1. 하이퍼 드라이브
5. 황무지
5.1. 대협곡5.2. 불모의 땅5.3. 고물평원5.4. 고철 쓰레기장5.5. 알테스 레보아5.6. 유류 저장고5.7. 플랜트5.8. 금단의 영역5.9. 황무지의 바닥
6. 알테스 레보아
6.1. 연구소 입구6.2. 정화 스캐너6.3. 보안 센터6.4. A07 구역6.5. 표본 보존실6.6. 극비 연구 시설6.7. 침식된 로비6.8. 열기 배출구6.9. 감염의 심장
7. 매트릭스 11
7.1. 폐쇄된 승강장7.2. 쓰레기 처리장7.3. 무너진 철교7.4. 차량 기지7.5. 지하 배수로7.6. 썩은 미궁7.7. 임시 무기고7.8. 열차의 무덤7.9. 오염된 정수장
8. 대사막
8.1. 매몰된 폐허8.2. 사막 북부8.3. 사막 중부8.4. 오아시스8.5. 추방자의 통로8.6. 솔라 타워8.7. 무너진 고가도로8.8. 오페라 하우스
9. 어비스 레보아
9.1. 비상 출입구9.2. 환기 구역9.3. 폐쇄된 로비9.4. 캡슐 클러스터 룸9.5. 지하 연결 구역9.6. 연구동 폐허9.7. 침식의 심장
10. 에이도스 9
10.1. 붕괴된 고가도로10.2. 수몰된 시가지10.3. 아틀리에
11. 스파이어4
11.1. 오르카 우주 복합 시설11.2. 하이퍼튜브11.3. 우주 물류 시설11.4. 라파엘 스페이스 센터11.5. 121 화물 리프트11.6. 유지 보수 구역11.7. 타워 외벽11.8. 161 여객 리프트11.9. 프레스티지 라운지11.10. 선홍빛 정원11.11. 고궤도 스테이션11.12. 센트럴 코어

1. 개요

본 문서는 게임《스텔라 블레이드》의 지역 구성을 정리한다.
  • 맵은 편의상 상위 지역/하위지역으로 구분한다.
  • 상위 지역은 테트라 포드를 타고 지역간 이동을 한다.
  • 하위 지역은 걸어서, 또는 레퓨즈 캠프나 이동 포인트를 사용하여 지역간 이동을 한다.
  • 하위 지역에 처음 진입할 때는 지역명이 화면에 표시된다.[1]

본 문서 편집시 챕터 구성은 다음의 기준을 따랐다.
  • 각 지역의 챕터 순서는 게임의 진행 순서를 따른다.[2]
  • 황무지, 대사막과 같은 오픈 월드 구성의 지역은 지도의 서쪽->동쪽 순으로 하위 지역을 기술한다.
  • 알테스 레보아, 어비스 레보아는 테트라포드 이동 메뉴에 나오지 않으나 (각각 황무지, 대사막을 거쳐서 이동하기 때문에 맵 구성상 황무지/대사막의 하위 지역에 해당) 지역의 플레이 분량이나, 그 내부에 별도의 하위 지역을 갖는 점 등을 고려하여 상위 지역으로 분류했다.
  • 매트릭스 11 맵 구성상 대사막의 하위 지역이지만, 대사막을 통해서는 진입 불가능하고 테트라포드로 이동 메뉴에 표시되므로 상위 지역으로 분류했다.[3]

2. 인트로

2.1. 별의 강림지

파일:인트로_별의 강림지.jpg
<colbgcolor=#00a495><colcolor=#ffffff>장비 <colbgcolor=#00a495><colcolor=#ffffff>슈트 없음
엑소스파인 없음
기어 없음
액세서리 없음
데이터 뱅크 메모리 스틱 없음
문서 없음
암호 없음
포토 챌린지 없음
기타 없음
별의 눈물 없음

3. 에이도스 7

3.1. 침묵의 거리

파일:에이도스7_01침묵의 거리.jpg

베타 충전 기어 1성

3.2. 주차타워

파일:에이도스7_02주차 타워.jpg
  • 주차장 1층 외부 계단 뒤에서는 바디 코어를 입수할 수 있다.
  • 주차장 2층에는 첫 레퓨즈 캠프가 있다.
  • 주차장 3층에는 숏컷이 있지만, 외부 계단에서는 열 수 없고 옥상에서 내려오는 길에 주차장 안쪽에서 해금해야 한다.
  • 주차장 옥상에서는 아바돈 보스전을 하게 된다.

3.3. 버려진 정거장

파일:에이도스7_03버려진 정거장.jpg
침묵의 거리 끝 구간이다. 정거장 건물 지하구역이 침수되어있고 이곳을 통해 모노레일 승강장으로 올라가게 된다.

침수 구역을 지나 모노레일로 가기 전에 레퓨즈 캠프가 있다.

3.4. 침수된 상업구역

파일:에이도스7_04침수된 상업 구역.jpg

3.5. 기억의 탑

파일:에이도스7_05기억의 탑.jpg
하이퍼 셀 회수를 위한 목표지점.

아르테미스 8의 지시 메모리 스틱을 얻을 때 암호5를 얻고, 부근의 지하 통로에서 암호를 써서 퓨전셀을 얻어 전력을 복구한다. 아르테미스 132의 지시 메모리 스틱을 얻으면서 보안 코드를 얻고 나면 기억의 탑 입구를 열어 기록 보관소로 내려갈 수 있게 된다.

나중에 금기 서브 임무를 하게 되면서 한 번 더 오게 된다.

3.6. 기록 보관소

파일:에이도스7_06기록 보관소.jpg
기억의 탑 지하. 이곳에서 하이퍼셀을 회수하게 된다.

3.7. 공사장

파일:에이도스7_07공사장.jpg

다음 지역으로 가려면 크레인을 조작하여 철골을 다리삼아 건너가야 하는데, 크레인 제어판을 가동하려면 3개의 ID카드가 필요하다.
ID카드1
파일:공사장_ID카드1_a.jpg
파일:공사장_ID카드1_c.jpg

파일:공사장_ID카드1_b.jpg
파일:공사장_ID카드1_d.jpg
ID카드2
파일:메모리 스틱_아테나 82의 명령_a.jpg

파일:메모리 스틱_아테나 82의 명령_b.jpg
ID카드3
파일:엑소스파인_프로텍션-타입_a.jpg

크레인으로 왼쪽 벽을 파괴하면 나노 소자, 고분자 소재가 들어있는 상자가 나오며, 오른쪽 벽을 파괴하면 레드 패션 슈트를 얻을 수 있다.

3.8. 도시 지하 구역

파일:에이도스7_08도시 지하 구역.jpg

3.9. 크레이터

파일:에이도스7_09크레이터.jpg
에이도스 7지역의 마지막 구간. 기가스 보스전을 하게 되는 장소다.
아낌없이 주는 드랍 포드 서브 임무를 수행하려면 한 차례 재방문해야한다.

■ 수집물
메모리 스틱: 리전 274의 기억

4. 자이온

파일:자이온_01자이온.jpg
초반부의 중요 지역으로, 게임 진행상의 주요 거점이 된다. 아담의 아지트에는 테트라포드가 주기(駐機) 되어 있어서, 이곳에서 지역간 이동을 할 수 있다. 지역 이동시 궤도 엘레베이터(스파이어 4)를 목적지로 출발한 이후에는 지역 이동에 제한이 발생하므로 주의할 것.

남쪽 통로는 황무지와 연결되고, 북동쪽 지하 통로는 대사막의 추방자의 통로와 연결된다. 대사막과 연결되는 통로는 매트릭스 11 지역을 클리어하고 대사막 지역을 오픈한 뒤에 열리게 된다. 이 통로를 이용하면 테트라포드를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해당 지역으로 갈 수 있다.

도시 내에는 여러가지 상점들이 있어서 필요한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으며, 서브 임무의 대부분을 자이온에서 수령하게 된다.

4.1. 하이퍼 드라이브

파일:자이온_02하이퍼 드라이브.jpg
자이온 지하 알현실의 뒷편에 있는, 자이온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핵심 시설. 에너지를 담고 있는 하이퍼 셀을 투입하여 가동된다. 이 시설물의 벽면을 가득 채운 작은 칸들은 자세히 보면 자이온 주민들이 동면되어 있는 것이다.

게임 스토리를 진행함에 따라 3개의 하이퍼 셀을 구하여 이곳에 투입하게 된다.

셀 투입구 부근의 컴퓨터 콘솔에서 잠자는 미녀 서브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5. 황무지

파일:황무지_황무지.jpg

황무지 지역의 캠프 위치와 명칭은 다음과 같다.
파일:황무지_캠프_전체맵_캠프.jpg

5.1. 대협곡

파일:황무지_대협곡.jpg
황무지 맵상에서 남쪽 일대. 서쪽의 솔라 타워에서 내려온 지역 일대가 '대협곡', 알테스 레보아를 에워싼 지역이 '대협곡 중부', 알테스 레보아보다 더 동쪽 지역이 '대협곡 동부'다.

5.2. 불모의 땅

파일:황무지_불모의 땅.jpg

5.3. 고물평원

파일:황무지_고물 평원.jpg

5.4. 고철 쓰레기장

파일:황무지_고철 쓰레기장.jpg

5.5. 알테스 레보아

파일:황무지_알테스 레보아.jpg

5.6. 유류 저장고

파일:황무지_유류 저장고.jpg

5.7. 플랜트

파일:황무지_플랜트.jpg

5.8. 금단의 영역

파일:황무지_금단의 영역.jpg
거대한 수직 동굴이 뚫려있는 곳. 스캐빈저의 삶 서브 임무를 진행하며 브루트 보스전을 치르게 되는 장소다.

파일:황무지_금단의 영역_birdview.jpg

스캐빈저의 삶 서브 임무
스포티 옐로우 슈트
순수한 나비 포토 챌린지
토미의 유언 메모리 스틱

5.9. 황무지의 바닥

파일:황무지_황무지의 바닥.jpg

6. 알테스 레보아

6.1. 연구소 입구

파일:알테스 레보아_01_연구소 입구.jpg

6.2. 정화 스캐너

파일:알테스 레보아_02_정화 스캐너.jpg
지역 초입부의 파쿠르 구간. 정화 스캐너의 스캔 동작이 끝나면 바닥이 열리면서 벽타기 구간으로 바뀐다. 오른쪽 벽을 타다가 다시 왼쪽 벽을 탄 뒤, 밧줄을 잡을 것.밧줄 방향으로 정확히 컨트롤하기가 어려워 많이들 낙사하는 구간이다.

밧줄을 흔들어 건너편으로 넘어간 뒤에 부팅 시퀀스 문서(로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6.3. 보안 센터

파일:알테스 레보아_03_보안 센터.jpg

6.4. A07 구역

파일:알테스 레보아_04_A07 구역.jpg

6.5. 표본 보존실

파일:알테스 레보아_05_표본 보존실.jpg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2층 지역을 클리어하고 전원을 활성화하면, 1층에 레이저가 발생한다. 반사경을 이동하여 이 레이저의 방향을 바꿔 표본 보존실 중앙의 구체에 쏘아 넣으면 퓨전 셀을 얻고 다음 지역으로 진행할 수 있다. 레이저가 표본 캡슐을 조준하게 되면 캡슐이 파괴되고 그 안에 있던 적들이 튀어나와 공격을 하므로 가능하면 캡슐을 건드리지 않도록 할 것.

파일:알테스 레보아_표본 보존실 레이저 퍼즐.jpg
반사경을 최소로 사용하여 퍼즐을 풀려면 위의 예제와 같이 하자.

6.6. 극비 연구 시설

파일:알테스 레보아_06_극비 연구 시설.jpg

6.7. 침식된 로비

파일:알테스 레보아_07_침식된 로비.jpg

6.8. 열기 배출구

파일:알테스 레보아_08_열기 배출구.jpg

6.9. 감염의 심장

파일:알테스 레보아_09_감염의 심장.jpg

7. 매트릭스 11

파일:매트릭스11_01 매트릭스11.jpg
맵 구성의 특수성으로 인해 대사막 횡단 탐험대 공고 문서(안내문), 이름 없는 자의 마지막 정리 메모리 스틱이 매트릭스 11에서 입수함에도 불구하고 대사막의 것으로 분류된다. (지하로 내려가기 전, 지상 구간(즉, 대사막)에서 입수하므로)

문서:
대사막 횡단 탐험대 공고 (대사막 수집물로 분류)

메모리 스틱:
이름 없는 자의 마지막 정리 (대사막 수집물로 분류)




7.1. 폐쇄된 승강장

파일:매트릭스11_02 폐쇄된 승강장.jpg

메모리 스틱:
역무원 38의 기억
리전 547의 증언
리전 569의 회고

문서:
운행 지연 안내

엑소스파인:
리플렉스-타입 엑소스파인

슈트:
데일리 니트 드레스

7.2. 쓰레기 처리장

파일:매트릭스11_03 쓰레기 처리장.jpg

메모리 스틱:
리전 552의 조언 - 암호2
역무원 33의 각오
리전 507의 후회

7.3. 무너진 철교

파일:매트릭스11_04 무너진 철교.jpg

메모리 스틱:
알렉스의 기억
로버트의 작별인사

기어:
치명타 강화 기어
속도 증폭 기어

슈트:
카멜레온

7.4. 차량 기지

파일:매트릭스11_05 차량 기지.jpg
스토커 보스전을 치르는 곳.
보스전 후 버스트 스킬 트리가 개방되어 버스트 스킬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R3+공격버튼)

메모리 스틱:
리전 514의 기억

캔:
크리오 카페 바닐라

7.5. 지하 배수로

파일:매트릭스11_06 지하 배수로.jpg

메모리 스틱:
제이미의 애원
암호3
폴의 기억
노먼의 충고

엑소스파인:
버스트 트랜스-타입 엑소스파인

7.6. 썩은 미궁

파일:매트릭스11_07 썩은 미궁.jpg

파스칼의 경고
데이지의 기억
제시의 기억
해리의 기억
균열

7.7. 임시 무기고

파일:매트릭스11_08 임시 무기고.jpg
이 다음 문에서 저거너트 보스전을 치르게 된다.

7.8. 열차의 무덤

파일:매트릭스11_09_열차의 무덤.jpg

7.9. 오염된 정수장

파일:매트릭스11_10_오염된 정수장.jpg

8. 대사막

(하위 지역 목록 보강 중)

대사막 지역의 캠프 위치와 명칭은 다음과 같다.
파일:대사막_맵_named.jpg

8.1. 매몰된 폐허

파일:대사막_매몰된 폐허.jpg

8.2. 사막 북부

파일:대사막_사막 북부.jpg
테트라포드를 기준으로 서쪽 & 북쪽을 커버하는 넓은 지역.
하이퍼 튜브 입구, 베히모스 보스전 (해후 서브 임무), 감시 포탑(거부할 수 없는 제안 서브 임무) 등이 있다.

밀키팝 제로

8.3. 사막 중부

오아시스를 기준으로 더 남쪽 지역
파일:대사막_사막 중부.jpg

8.4. 오아시스

파일:대사막_오아시스.jpg

루킹 글래스 서브 임무
환상의 미끼는 어디에? 서브 임무
당신을 잊지 않아요 서브 임무
넥타르 그레이프
사이버네틱 본디지 슈트
오션 메이드 슈트
웨이브 오블리크 모노키니 슈트
웨이브 다이버 비키니 슈트

8.5. 추방자의 통로

파일:대사막_추방자의 통로.jpg

8.6. 솔라 타워

파일:대사막_솔라 타워.jpg

8.7. 무너진 고가도로

파일:대사막_무너진 고가도로.jpg

8.8. 오페라 하우스

파일:대사막_오페라 하우스.jpg

9. 어비스 레보아

파일:대사막_어비스 레보아.jpg
알테스 레보아와 유사한 연구 시설.
이동 포인트는 환기 구역, 침식의 심장 2곳 뿐이다.

9.1. 비상 출입구

파일:어비스 레보아_01_비상 출입구.jpg

9.2. 환기 구역

파일:지역_환기 구역.jpg
지역명 표시는 따로 되지 않으나, 이동 포인트를 사용하여 환기 구역 레퓨즈 캠프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 톱날을 피해 진행한 뒤, 군체에 침식된 환풍팬을 사격으로 파괴(군체 주변의 노란색으로 빛나는 코어가 타겟)하여 정지시킨다.

9.3. 폐쇄된 로비

파일:어비스 레보아_02_폐쇄된 로비.jpg

9.4. 캡슐 클러스터 룸

파일:어비스 레보아_03_캡슐 클러스터 룸.jpg

9.5. 지하 연결 구역

파일:어비스 레보아_04_지하 연결 구역.jpg
차단문을 열면 엄청난 수의 네이티브들이 몰려온다. 탄환을 종류별로 쏟아부어 처리하자. 적들이 죽은 뒤 탄환류를 드랍하므로 천천히 전진하면서 탄환을 수거해가며 진행하는 것도 좋다.

구역 가장 마지막에는 레이저를 피해서 넘어가는 플랫폼 구간이 있다. 꽤 까다로운 조작을 필요로 하는 곳이니 공략을 참고할 것.

9.6. 연구동 폐허

파일:어비스 레보아_05_연구동 폐허.jpg

9.7. 침식의 심장

파일:어비스 레보아_06_침식의 심장.jpg

10. 에이도스 9

10.1. 붕괴된 고가도로

파일:지역_붕괴된 고가도로.jpg

10.2. 수몰된 시가지

파일:지역_수몰된 시가지.jpg
초입부에서 적들이 떼거지로 몰려나온다. 다구리에 장사 없으니 이 지역에 오기 전에 베타 게이지, 버스트 게이지를 충분히 채워두고 광역 효과를 같는 스킬을 구사하여 효율적으로 적을 처리하는 것이 좋다.

명언집 2 문서(책)

10.3. 아틀리에

파일:지역_아틀리에_a.jpg

파일:지역_아틀리에_b.jpg
릴리가 머물던 릴리의 공방. 식물원으로 꾸며져 있던 공간을 작업 공간으로 쓰고 있었다. 릴리가 이곳에서 엔딩 분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어떤 아이템을 회수하게 된다.

이곳의 물가는 최고의 낚시터로, 미끼를 던지는 족족 입질이 오는데다가, 작은 새우같은 하급의 미끼로도 대형, 초대형어종을 낚아 올릴 수 있다. 아뜰리에는 이동 포인트가 없어 오기가 쉽지 않은 곳이므로 충분히 낚시를 하고 떠나는 것이 좋다. 대형 어종은 제한 시간안에 낚아 올리기 어렵기 때문에 이곳에 오기 전에 낚시 기술을 충분히 강화하는 것을 권한다.

문서(메시지) : 당신의 선택은?

11. 스파이어4


자이온의 아지트(테트라포드가 있는 곳)에서 아담과 대화하여 궤도 엘레베이터로 출발하는 것을 선택하면 이동하게 되는 지역. 라파엘 우주센터까지 간 뒤에, 궤도 엘레베이터를 타고 우주로 올라가게 된다.

게임의 모든 지역들 중 플레이어들에게서 가장 호평받는 스테이지. 맵 구성, 그래픽, 음악, 연출 모두 탁월한 스테이지로, 게임의 하일라이트 부분으로 평가받는다.

11.1. 오르카 우주 복합 시설

파일:지역_오르카 우주 복합 시설.jpg
레퓨즈 캠프 : 우주 복합 시설 진입로

리전 753의 기억
리전 717의 명령
리전 742의 푸념
리전 712의 기억
리전 466의 기억
완벽한 전투 기어 3성
리전 716의 제안

11.2. 하이퍼튜브

파일:지역_하이퍼튜브.jpg
발전기를 가동시켜 전력을 활성화하고, 제어판을 찾아 하이퍼튜브를 가동시킨다. 하이퍼튜브로 이동한 뒤 벨리알과 보스전을 치르게 된다.

레퓨즈 캠프 : 하이퍼튜브 입구

근접 보호 기어 3성
리전 798의 충고 메모리 스틱
리전 708의 외침 메모리 스틱
오르카 엔지니어 슈트
밀키팝
리전 721의 애원 메모리 스틱

11.3. 우주 물류 시설

파일:지역_우주 물류 시설.jpg
레퓨즈 캠프 : 우주 물류 시설 입구
레퓨즈 캠프 : 우주 물류 센터

저지먼트-타입 엑소스파인
베타 리게인 기어 3성
리전 725의 의문 메모리 스틱
리전 775의 애원 메모리 스틱
버스트 충전 기어 3성

파일:지역_라파엘 우주 센터_진입 루트.jpg
지역 끝 부분에서는 감시 포탑을 피해 라파엘 스페이스 센터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유리문으로 된 입구 진입 직후, 기둥 뒷편에 있는 메모리 스틱을 놓치기 쉬우니 잊지 말 것.

리전 738의 기억 메모리 스틱

11.4. 라파엘 스페이스 센터

파일:지역_라파엘 스페이스 센터.jpg
레퓨즈 캠프 : 라파엘 스페이스 센터 로비 (4번 게이트 옆)

오르카 항공우주회사 홍보 문서(홍보물)
라파엘 우주 센터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문서(홍보물)
리전 749의 유언 메모리 스틱
케인의 기억 메모리 스틱 (암호2)
블랙 로즈 슈트
넥타르 애플
리전 715의 충고 메모리 스틱
리전 251의 각오 메모리 스틱
리전 212의 최후 메모리 스틱
리전 754의 외침 메모리 스틱
리전 751의 유언 메모리 스틱

11.5. 121 화물 리프트

파일:지역_121 화물 리프트.jpg
이 지역부터는 우주로 올라가기 위한 구간이라 재진입이 불가능하다.

단, 이곳 지역에 진입 직후 바로 왼쪽에 있는 리전 캠프를 활성화한 뒤, 바로 뒤 돌아서 게이트를 열고 나갔다가 (라파엘 스페이스 센터로 되돌아갔다가) 다시 올 수는 있다. 그러나 지역 진입 후 조금 직진하여 위 화면과 같이 지역명이 활성화되면 게이트가 잠기고 시설물이 통째로 상승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이전 지역으로 되돌아갈 수 없다.

이전 지역으로 되돌아가고 싶다면 프레스티지 라운지까지 진행한 뒤 이동 포인트를 사용하여 되돌아가야 한다. 이전 지역으로 가더라도 라파엘 스페이스 센터로 돌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본 지역(121 화물 리프트)는 재진행할 수 없다.

리전 759의 체념 메모리 스틱
리전 761의 부탁 메모리 스틱
리전 760의 기억 메모리 스틱
리전 743의 충격 메모리 스틱
리전 719의 기억 메모리 스틱
존의 회상 메모리 스틱

11.6. 유지 보수 구역

파일:지역_유지 보수 구역.jpg

11.7. 타워 외벽

파일:지역_타워 외벽.jpg
유지 보수 구역에서 밖으로 나가 외벽을 통해서 이동 후, 다시 건물내로 들어오게 된다. 60인치 이상급 대형 화면으로 플레이한다면 고소 공포증이 있는 사람은 아찔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감 묘사가 탁월한 스테이지.

11.8. 161 여객 리프트

파일:지역_161 여객 리프트.jpg
VIP를 위한 여객 대기 시설. 이 시설물 자체가 리프트여서 상부의 프레스티지 라운지까지 올라간다.

11.9. 프레스티지 라운지

파일:지역_프레스티지 라운지.jpg
이동 포인트 : 프레스티지 라운지 레퓨즈 캠프
라운지 끝에 있는 선홍빛 정원에서 보스전을 치른 후, 궤도 엘레베이터를 타고 우주로 올라가게 된다. 스파이어 4 지역의 궤도 엘레베이터 구간은 재진입이 불가능하지만, 프레스티지 라운지만은 예외적으로 이동 포인트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려갈 수도, 올라갈 수도 없고 라운지만 다닐 수 있다.)

11.10. 선홍빛 정원

파일:지역_선홍빛 정원.jpg
프레스티지 라운지 내에 설치된, 일본풍의 인공 정원. 이곳에서 카라쿠리 보스전을 치르게 된다.

11.11. 고궤도 스테이션

파일:지역_고궤도 스테이션.jpg
이동 포인트 : 센트럴 코어 입구 레퓨즈 캠프
이 레퓨즈 캠프는 도착 후 다음 지역인 센트럴 코어에서 데모크롤러/데모고르곤 보스전을 하기 이전까지는 이동할 수 있으나, 보스전 이후에는 이동 목록에서 사라진다.

11.12. 센트럴 코어

파일:지역_센트럴 코어.jpg
데모크롤러/데모고르곤 보스전이 이루어지는 장소. 보스전을 클리어하면 태풍의 눈 메인 임무가 완료된다.


[1] 하위 지역명은 각 회차에서 최초 진입시 단 1차례만 표시되므로 기억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게임을 껐다 켠 이후에 재진입하면 다시 지역명을 볼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2] 테트라포드로 이동 메뉴에서 표시되는 순서와 다를 수 있다.[3] 알테스 레보아, 어비스 레보아와 마찬가지로 지역의 플레이 분량이나, 그 내부에 별도의 하위 지역을 갖는 점 등을 고려하더라도 상위 지역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