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2:01:13

시바이누(암호화폐)

시바이누(코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주요 목록
2024. 1. 13. 시가총액 순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국내 주요 거래소파일:업비트 로고.svg 업비트 · 파일:빗썸 아이콘.svg 빗썸 · 파일:코인원 아이콘.svg 코인원 · 파일:코빗 로고.svg 코빗 · 파일:고팍스 로고.svg 고팍스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파일:바이낸스 로고.svg · 파일:Coinbase 로고.svg · 비트멕스 · Bybit · OKX · Bitget · Gate.io · KuCoin · Bitfinex · 파일:크립토닷컴 로고 가로형.svg · HTX
관련 이슈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관련 범죄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사건/사고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SHIBA INU
시바이누
파일:Shiba_Inu_coin_logo.png
<colbgcolor=#FE4737><colcolor=#ffffff> 중앙은행 없음 (탈중앙화)
사용국 전 세계
개발자 료시,시토시 쿠사마
분류 암호화폐
화폐 단위 SHIB
도입일 2020년 8월 6일
시가총액 약 182억 달러[1][2]
총 공급량 999,989,040,624,958 SHIB[3]
유통 공급량 589,255,501,843,928 SHIB[4]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레딧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공식 영상이 아니다.
시바이누의 뜻은 일본어로 시바견을 가리키는 일본어 용어이다.
"료시"로 알려진 익명의 사람과 시토시 쿠사마[5]가 2020 년 8 월에 생성 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자신들은 스스로 '도지코인 킬러'라고 말하며 도지코인을 잡을 코인이라고 브랜드화를 시키고있다.
Coinbase Pro , KuCoin, CoinBene, Probit Global, CoinDCX, WazirX , 바이낸스 , Crypto.com, Huobi 및 OKEx에 상장되어 있다.

2. 상세

A Decentralized Meme Token that Evolved into a Vibrant Ecosystem
활기찬 생태계로 발전한 분산형 밈 토큰

시바이누는 디파이 거래소 시바스왑의 자체 토큰으로서 디파이 수혜 코인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시바이누는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에게 대량의 시바이누를 보내고, 비탈릭 부테린이 시바이누 코인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비탈릭은 해당 코인의 90%를 소각하여서 시바이누 코인이 각광받을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또한, 나머지 10%의 코인은, 2021년 5월 13일 인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구호 기금에 기부되었다. (약 50,693,552,078,053.77 [6]시바이누 (SHIB)토큰)[7]# 이후 비탈릭은 시바이누 코인을 소유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일론 머스크도지코인대신 시바이누를 트윗한다고 사람들을 호도한다(시바이누는 도지코인의 마스코트이며 시바이누 코인의 이름은 이런 점을 이용하여 혼동을 주기 위해 정한 것으로 보임).
머스크는 도지코인을 '시바이누', '베이비도지', '베이비 샤크', '플로키', '플로키 프렁크퍼피' 라는 표현으로 다양하게 홍보하였는데. 홍보 직후에 이 이름을 가진 코인들이 즉시 만들어져 투자자의 혼동을 이용한 마케팅을 하고 있다. 시바이누 코인은 이들 코인의 대장격이라 할 수 있다. 일론 머스크와 엮인다는 것과 도지코인과 비슷한 컨셉으로 인해 가격 변동의 영향을 꽤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코인 토큰 삭제를 통한 희소성 상승과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로 계속해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투자자들의 기대 심리 상승과 동시에 시가총액이 점점 증가하는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2024년 현재 밈 코인 시가총액 2위이며 전체 코인 중 시가총액 11위에 등극했다. 1위는 당연히 도지코인.

[1] 가상화폐 시가총액 11위[2] 약 25조 8655억 원, 2024년 12월 5일 기준[3] 2023년 6월 25일 기준[4] 2024년 12월 17일 기준[5] 실질적인 수석 개발자겸 얼굴 마담이다. 이쪽도 료시와 마찬가지로 익명의 신분으로 활동한다.[6] 한화 약 1조1300억원[7] 기부 다음 날 시바코인의 가치는 30%가량 급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