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올림픽평의회 주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하계 아시안 게임 | 동계 아시안 게임 | 장애인 아시안 게임 | 청소년 아시안 게임 |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 해변 아시안 게임 | 하계 유소년 아시아 국제 스포츠 게임 | 동계 유소년 아시아 국제 스포츠 게임 |
- 영어: Asian Indoor & Martial Arts Games
- 중국어: 亞洲室內暨武藝運動會(아주실내기무예운동회)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변천사 | ||
실내 아시안 게임 | → |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
무도 아시안 게임 | → |
[clearfix]
1. 개요
2005년 방콕에서 개최한 첫 대회를 시작으로 2년 간격으로 2009년까지 개최한 실내 아시안 게임과 2009년 방콕에서 개최한 무도 아시안 게임을 통합해 4년 간격으로 개최하기로 OCA가 의결함으로서 시작된 실내 및 무도 경기 대회.그 중 그 역사가 더 긴 실내 아시안 게임을 계승한 경기임을 표방하고 있다. 원래 통합 의결 전에 2011년 대회를 계획했으나 2008년 다음 개최국인 카타르 측에서 개최권을 반납하여 취소했다. 그 때문에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이 제4회 대회가 되는 것이다.
실내 스포츠 및 무도 저변 확대에 목적을 두고 진행하는 대회이며, 다른 OCA 주관 대화와 달리 2017년부터는 OCA(아시아) 소속국 뿐만 아니라 ONOC(오세아니아) 소속 국가도 참여한다.
2. 종목
※ 2021 방콕-촌부리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기준
* 25m 수영
* 3X3 농구
* e스포츠
* 가라테
* 네트볼
* 당구
* 댄스스포츠
* 레슬링
* 롤러스케이트
* 무에타이
* 배구
* 배드민턴
* 베이스볼 5
* 볼링
* 사격
* 삼보
* 세팍타크로
* 수구
* 스포츠 클라이밍
* 실내 육상
* 실내 조정
* 실내 하키
* 주짓수
* 체스
* 치어리딩
* 쿠라시
* 킥복싱
* 태권도
* 펜착실랏
* 풋살
* 플로어볼
* 드론 레이싱(시범종목)
* 테크볼(시범종목)
* 25m 수영
* 3X3 농구
* e스포츠
* 가라테
* 네트볼
* 당구
* 댄스스포츠
* 레슬링
* 롤러스케이트
* 무에타이
* 배구
* 배드민턴
* 베이스볼 5
* 볼링
* 사격
* 삼보
* 세팍타크로
* 수구
* 스포츠 클라이밍
* 실내 육상
* 실내 조정
* 실내 하키
* 주짓수
* 체스
* 치어리딩
* 쿠라시
* 킥복싱
* 태권도
* 펜착실랏
* 풋살
* 플로어볼
* 드론 레이싱(시범종목)
* 테크볼(시범종목)
3. 역대 대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73a3c> 실내 1회 | 실내 2회 | 무도 1회 | 실내 3회 |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으로 통합 → |
2005 방콕 | 2007 마카오 | 2009 방콕 | 2009 하노이 | ||
<rowcolor=#373a3c>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
2013 인천 | 2017 아시가바트 | 2021 방콕-촌부리 | 2025 리야드 | 2029 미정 | |
| }}}}}}}}} |
3.1. 통합 전
3.1.1. 실내 아시안 게임
- 영어: Asian Indoor Games
- 중국어: 亞洲室內運動會(아주실내운동회)
- 일본어: アジア室内競技大会(아시아실내경기대회)
첫 대회를 제외하고 2달에 걸쳐 있다. 이를 이은 4회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도 6월에 개회하여 7월에 폐회하면서 2달에 걸쳐서 열리고 있다.
통합에 영향을 끼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대회가 지속될수록 세부 종목은 늘어나는데 참가 국가들은 한 나라씩 빠져나가고 있다.
3.1.1.1. 제1회 방콕 실내 아시안 게임
- 개최 기간: 2005년 11월 12일 ~ 2005년 11월 19일
- 개최 도시: 태국 방콕
- 참가국: 45개국
- 선수 규모: 2,343명
- 대회 종목: 9 종목
- 세부 종목: 12 종목
- 이벤트: 120개
- 슬로건: "Dawn of Asian Stars"
3.1.1.2. 제2회 마카오 실내 아시안 게임
- 개최 기간: 2007년 10월 26일 - 2007년 11월 3일
- 개최 도시: 마카오
- 참가국: 44개국
- 선수 규모: 2,476명
- 대회 종목: 17 종목(시범 3 종목)
- 세부 종목: 27 종목
- 이벤트: 171개
- 슬로건: "Ultimate Asian Power"
이 대회부터 e-Sports 종목이 3종목 추가되었다.
3.1.1.3. 제3회 하노이 실내 아시안 게임
- 개최 기간: 2009년 10월 30일 - 2009년 11월 8일
- 개최 도시: 베트남 하노이
- 참가국: 43개국
- 선수 규모: 2,396명
- 대회 종목: 15 종목(시범 1 종목)
- 세부 종목: 28 종목
- 이벤트: 242개
- 슬로건: "For Rising Asia"
3.1.2. 무도 아시안 게임
- 영어: Asian Martial Arts Games
- 중국어: 亞洲武藝運動會(아주무예운동회)
- 일본어: アジア格闘技大会(아시아 격투기 대회)
실내 아시안 게임과 같이 첫 대회가 방콕에서 개최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3.1.2.1. 제1회 방콕 무도 아시안 게임
- 개최 기간: 2009년 8월 1일 - 2009년 8월 9일
- 개최 도시: 태국 방콕
- 참가국: 40개국
- 선수 규모: 810명
- 대회 종목: 9 종목
- 세부 종목: 10 종목
- 이벤트: 109개
- 슬로건: "The Game of Sprit, The Land of Smiles"
3.2. 통합 후
3.2.1. 2013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3.2.2. 2017 아시가바트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3.2.3. 2021 방콕-촌부리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원래 2021년 5월 21~30일로 예정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22년 3월 10~20일, 2023년 11월 17~26일로 두 번 연기하더니 이번에는 국내 선거 이슈를 이유로 또 연기하면서 2024년 2월 24일~2024년 3월 6일에 개최하려다 2024 파리 올림픽 준비로 인해 2024년 11월 21일~30일로 연기하였다. 하지만 2020 도쿄 올림픽처럼 명칭 변경 없이 그대로 2021로 표기된다. 그러다가 결국 대회 자체가 완전히 취소되었다.3.2.4. 2025 리야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전 대회와의 간격 문제로 2026년에 개최하게 된다.4. 관련 문서
- AIMAG 스타2 국가대표선발전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e-Sports 부문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종목의 한국 대표 선발전이다. - KeSPA 2017 실내무도아시안게임 보이콧 사건
한국e스포츠협회에서 롤 배제, IESF 무시, 국대 자격 부여 불가를 사유로 OCA와 대립각을 세운 사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