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31 19:55:25

십이이십면체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Archimedean Solid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준정다면체 반정다면체
육팔면체 깎은 정사면체 깎은 육팔면체 마름모육팔면체 다듬은 육팔면체
십이이십면체 깎은 정육면체 깎은 십이이십면체 마름모십이이십면체 다듬은 십이이십면체
깎은 정팔면체
깎은 정십이면체
깎은 정이십면체
}}}}}}}}} ||


1. 개요2. 정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cosidodecahedron.gif
준정다면체 중 하나인 십이이십면체의 모습.

1. 개요

十二二十面體 / Icosidodecahedron[1]

한 꼭지점에 삼각형 두 개와 오각형 두 개를 배치해 만든 준정다면체. 정십이면체 또는 정이십면체의 각 꼭지점들을 각 모서리의 절반까지 깎아서 만들 수도 있는데, 두 가지 정다면체의 모든 면들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십이이십면체라고 불린다.

2. 정보

슐레플리 기호r{3,5}[2]
r{5,3}
꼭짓점(vertex, 0차원)30개
모서리(edge, 1차원)60개
면(face, 2차원)32개정삼각형 20개
정오각형 12개
쌍대마름모삼십면체
이면각[math(\cos^{-1}\left(-\sqrt{\dfrac{5+2\sqrt5}{15}}\right))] ≈ 142.62º
포함 관계[3]
또는 다른 이름[4]
비틀어 붙인 오각둥근지붕(pentagonal gyrobirotunda)[5]
[6]
한 변의 길이가 [math(a)]인 십이이십면체가 있을 때

외접구의 반지름 = [math(\displaystyle\frac{1+\sqrt{5}}{2}a=\varphi a)][7]
겉넓이(surface area) = [math((5\sqrt{3}+3\sqrt{25+10\sqrt{5}})a^2)]
부피(volume) = [math(\displaystyle\frac{45+17\sqrt{5}}{6}a^3)]

[1] 복수는 Icosidodecahedra[2] r{p,q}는 {p,q}인 정다면체의 각 꼭지점들을 각 모서리의 절반까지 깎는다는 의미이다.[3] 반드시 이 다면체를 지칭하지는 않으며, 해당 이름이 비슷하게 생긴 고르지 않은 다면체도 포함하는 경우[4] 반드시 이 도형과 닮거나 합동인 도형을 지칭하는 이름[5] 오각둥근지붕(J6)은 적도의 정십각형 선을 따라 십이이십면체를 절반으로 자른 모습으로, 존슨 다면체이다.[6] 슐레플리 부호로 [math(\begin{Bmatrix}3\\5\end{Bmatrix})]라고 쓰기도 한다.[7] φ는 황금비이다. 이는 적도를 이루는 평면도형이 정십각형이기 때문으로,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십각형의 외접원의 반지름 또한 φa로 같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