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아나콘다 초크(Anaconda Choke)는 암 트라이앵글의 종류이다. 유도, 브라질리언 주짓수의 기술이다. 아나콘다가 사냥감을 자신의 꼬리로 목부터 조르는 것과 비슷하게 보여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2. 술기
/걸리는 포인트가 대체로 다스 초크와 비슷하다. 원리와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상대의 목-어깻죽지에 내 이두근을 밀착시킨다. 이후 상대에게 붙인 팔의 팔오금을 목에 밀착시킨다.
2. 밀착시킨 팔의 손을 상대의 겨드랑이로 보내 겨드랑이 사이에 손목을 끼운다.
3. 상대의 등쪽 겨드랑이 사이로 삐져나온 손에 팔오금을 겹친다.
4. 손이 팔오금에 올려진 팔의 손으로 등을 밀어주며 공간을 지워 목을 조른다.
5. 조르며 내 배를 상대 골반쪽으로 보내면 상대의 목이 접히며 상대의 어깨와 내 이두근이 상대의 경동맥을 집어조르게 되면서 완성.
아나콘다 초크는 앞목(Front Headlock)초크이고 스프롤이후에서 많이 나오는 서브미션중 하나다. 유사한 기술로 다스 초크가 있다.[1] 아나콘다 초크는 앞목을 잡은 후 자신의 팔로 상대의 목-팔을 감싸며 반대 팔 상박에 고정시킨 후 여기서 옆으로 구른후 깊게 들어간 손에다가 리어 네이키드 초크를 하듯이 감싸주고 상대방 하체쪽으로 가면 기절한다. 더 타이트 하게 잡고싶거나 상대방이 도망갈거 같으면 상대방 다리 하나를 내다리로 훅을 건다. 반대로 상대 팔-목을 이어서 감싸쥐는 그립은 다스 초크다.
이 기술은 다스 초크와 마찬가지로 팔이 길지 않으면 쓰긴 힘들다. 상대의 목부터 겨드랑이까지 넣어 한 아름을 채워야 하는데, 리치가 기껏해야 자기 키 정도로 평범한 정도의 일반인 입장에선 자신보다 체급이 크고 어깨까지 넓은 상대에게는 사용하더라도 깔끔하게 들어가기 어려운 기술이다. 차라리 다른 기술을 사용하는 게 낫다.[2]
3. 기타
UFC 파이터였던 밀튼 비에이라[3]가 2009년 브라질의 종합격투기대회에서 최초로 성공시키면서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유명해졌다.팔이 긴 주짓떼로들이 많이 활용하며 현재 UFC 라이트급 컨텐더인 찰스 올리베이라, 페더급 컨텐더인 브라이언 오르테가가 이 기술을 잘 쓴다.[4]
[1] 다스초크나 아나콘다 초크나 둘다 사실 목을 먼저 제압하냐 팔을 먼저 제압하냐 차이이다.[2] 비슷한 포지션에서 비슷한 느낌으로 나올 수 있는 기술은 닌자 초크가 있긴 한데, 이건 다른 의미로 난이도가 높다.[3] 페더급이지만 키가 183cm에 리치가 198cm다.[4] 물론 이 둘은 아나콘다 초크도 잘 쓰지만 다스, 길로틴, 리어 네이키드 초크도 잘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