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8:08:03

아프리카갈기호저

아프리카갈기호저(산미치광이, 아프리카호저)
Crested porcupin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estafrikanisches_Stachelschwein.jpg
학명 Hystrix cristata
Linnaeus, 175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설치목(Rodentia)
호저과(Hystricidae)
호저속(Hystrix)
아프리카갈기호저(H. cristata)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특징3. 먹이4. 천적5. 번식6. 기타

[clearfix]

1. 개요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호저의 일종이다.

2. 특징

몸빛깔은 흑갈색으로 목둘레에 흰 띠가 있다. 길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등·옆구리·꼬리에 강하고 뻣뻣한 가시가 있는데 이 가시는 길고 날카로운 강모가 합쳐진 것이다. 가시가 있는 꼬리로 공격자를 쳐서 자신을 방어한다. 가시는 쉽게 뽑혀 공격자의 살에 박힌다. 빠지고 나면 다시 새 가시가 난다. 가시가 박힌 동물은 가시에 있는 균에 감염되거나 중요한 기관이 손상되어 죽을 수도 있다. 가시가 공격자의 턱에 박히면 입을 열 수가 없어서 굶주리게 된다. 발바닥은 드러나 있고 꼬리로 물건을 감아 잡지 못한다. 관목림이나 에 살며, 야행성이어서 낮에는 굴 속에 숨는다.

3. 먹이

먹이는 과일, 나무껍질, 뿌리 등이다.

4. 천적

천적은 마사이사자, 아프리카표범, 점박이하이에나, 아프리카들개, 나일악어, 벌꿀오소리다. 특히 표범이 주 천적인데, 가시에 찔려 동귀어진하는 경우도 많다.

5. 번식

임신기간은 약 112일이고, 연 2회 한배에 1-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6. 기타

  • 다른 동물들처럼 드물게 백색증을 가진 개체도 있다. 애버랜드를 많이 간 사람이라면 친숙할 것이다.
  • 2022년 5월제주도 제주시 조천읍에 소재해 있는 A동물원에서 호저 10마리중 2마리가 탈출했다가 # 탈출한지 1달만인 6월 27일 서귀포시 성산읍 버스 정류장 인근에서 2마리중 1마리의 사체가 발견되었으며 # 사인은 아사로 추청된다. 나머지 1마리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나머지 1마리 역시 아사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