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7:34:11

알비레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알비레오(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ygnus Outline_black.png
[[백조자리#구성원|백조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00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
데네브
Deneb
베타성
알비레오
Albireo
감마성
사드르
Sadr
델타성
파와리스
Fawaris
엡실론성
알자나
Aljanah
제타성
백조자리 제타
ζ Cyg
에타성
백조자리 에타
η Cyg
세타성
백조자리 세타
θ Cyg
이오타성
백조자리 이오타1·2
ι Cyg
카파성
백조자리 카파
κ Cyg
람다성
백조자리 람다
λ Cyg
뮤성
백조자리 뮤
μ Cyg
누성
백조자리 누
ν Cyg
크시성
백조자리 크시
ξ Cyg
오미크론성
백조자리 오미크론1·2
ο Cyg
파이성
백조자리 파이1·2
π Cyg
로성
백조자리 로
ρ Cyg
시그마성
백조자리 시그마
σ Cyg
타우성
백조자리 타우
τ Cyg
웁실론성
백조자리 웁실론
υ Cyg
피성
백조자리 피
φ Cyg
카이성
백조자리 카이
χ Cyg
프시성
백조자리 프시
ψ Cyg
오메가성
백조자리 오메가
ω Cyg
플램스티드 명칭 순
백조자리 1백조자리 2백조자리 3백조자리 4
백조자리 5백조자리 7백조자리 8백조자리 61
그 외 백조자리에 속한 항성
백조자리 PHDE 226868백조자리 NML-
}}}
}}}
}}}
[ 심원천체 ]
||<-5><tablebgcolor=#fff,#1c1d1f><width=9999><nopad>
산개성단
메시에 39메시에 29NGC 6811NGC 6819NGC 6832
NGC 6834NGC 6846NGC 6856NGC 6866NGC 6871
NGC 6883NGC 6895NGC 6910NGC 6989NGC 6991
NGC 7011NGC 7024NGC 7031NGC 7037NGC 7039
NGC 7044NGC 7050NGC 7058NGC 7062NGC 7063
NGC 7067NGC 7082NGC 7086NGC 7093NGC 7127
NGC 7128NGC 7086NGC 7175NGC 7093NGC 7127
IC 1311IC 1363IC 1369IC 4996코쿤 성운
내부 산개성단
(IC 5146)
Cr 419Cr 421Cr 428버클리 86버클리 90
구상성단
FSR 190?
성협
백조자리 OB1 성협백조자리 OB2 성협백조자리 OB3 성협백조자리 OB4 성협백조자리 OB5 성협
백조자리 OB6 성협백조자리 OB7 성협백조자리 OB8 성협백조자리 OB9 성협
발광성운 및 내부 산개성단
Sh2-109
Sh2-102Sh2-104Sh2-107Sh2-110NGC 6914
북아메리카 성운
(C20)
팰리컨 성운초승달 성운
(C27)
코쿤 성운
(C19)
NGC 6857
튤립 성운
(Sh2-101)
천상의 눈 천사 성운
(Sh2-106)
Sh2-97Sh2-98NGC 6914
베일 성운(Sh2-103)
NGC 6960
(서쪽 베일성운, C34)
NGC 6974NGC 6979NGC 6992
(동쪽 베일성운, C33)
NGC 6995
IC 1340피커링의 삼각형
백조자리 X
사드르 성운
(IC 1318)
Sh2-106Sh2-111DR 20DR 20
W58 전파원 복합체
W58Sh2-99Sh2-100
(NGC 6857 포함.)
W71
Sh2-115
SNR 065.2+05.7
Sh2-91Sh2-94Sh2-96
은하
NGC 6946
(C12)
NGC 7010NGC 7013백조자리 A3C 438
}}}
틀:별자리 · 백조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β Cyg
알비레오
Albireo
파일:albireo_yandrik.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19h 30m 43.3s
적위 +27° 57′ 35″
별자리 백조자리
물리적 성질
거리 390 ± 30 광년(118 ± 8 파섹)
반지름 58.69 태양반경
질량 5.2 / 3.7 태양질량
표면 온도 약 4,383 ± 10 / 13,200 ± 600 K
광학적 성질
겉보기등급 +3.18 / +5.82
분광형 K2II / B8Ve
광도 약 1,200 ± 200 / 230 ± 90 태양광도
명칭
알비레오, β Cyg, 6 Cygni, ADS 12540, CCDM J19307+2758, WDS 19307+2758
알비레오 A:
β1 Cyg, BD+27 3410, HR 7417, HD 183912/183913, HIP 95947, SAO 87301, FK5 732, MCA 55 Aac, NSV 12105
알비레오 B:
β2 Cyg, STF 4043B, BD+27 3411, HD 183914, HIP 95951, HR 7418, SAO 87302

1. 개요2. 기타

1. 개요

백조자리의 머리 부분에 위치한 쌍성. 최소 100,000년의 주기를 갖는 안시 쌍성이다.[1]

알비레오란 이름은 원래 '닭의 부리' 라는 뜻으로 '알미나르 알다자자'라고 불렀으나 로마 학자들이 이 낱말을 식물의 일종이라고 오해하여 이를 압 이레오(ab ireo)로 번역했다. 이후 사람들이 알로 시작하는 아랍 낱말을 잘못 쓴 것이라고 하여 알비레오가 된 것이다. 백조자리의 베타별이지만 실제로는 감마별 사드르 뿐 아니라 델타별과 엡실론별[2]보다 어두워, 실제로는 백조자리에서 5번째 정도로밖에 밝지 않다. 겉보기 등급은 3등급[3] 정도로 대도시의 밤하늘에서 눈에 잘 띄는 별은 아니지만, 이중성의 아름다움 때문에 이름은 매우 유명하다.

상술했다시피 이중성으로서 가장 대표적으로 알려진 별들 중 하나. 주성인 알비레오 A는 노란색, 동반성인 알비레오 B는 파란색으로 색의 대비가 아주 뚜렷하고 두 별의 각거리도 약 34“떨어져 있어 소구경 망원경으로도 잘 보인다.

알비레오 A도 굉장히 서로 근접해있는 쌍성으로, 최소한 하나의 동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정되어있다. 거기다가 동반성이 한두개 더 있을수 있다는 추측도 존재한다.

알비레오는 400만년 후에는 지구에서 80광년 정도까지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접시기의 겉보기등급은 -0.53 등급으로 대략 100만년 동안 지구에서 가장 밝은 별이 될 예정이다.

알비레오가 안시 쌍성인지 겉보기 쌍성인지는 불명이다. 알비레오가 안시 쌍성인지 겉보기 쌍성인지 판별하기 위해 2013년 가이아 우주 망원경이 발사되었고 관측을 통해 베타별A와 베타별B가 서로 61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는 것을 밝혀냈지만[4], 측정의 오차 때문에 알비레오가 겉보기 쌍성이라고 단정짓기엔 아직 충분하지 않다.

2. 기타

PULLTOP에로게 올려다 봐, 밤 하늘의 별을에서 초반부 이야기를 풀어가는 소재 중 하나로 등장한다.

로쿠데나시의 신곡인 Albireo의 모티브이다.


[1] 겉보기 쌍성이라는 주장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2] 각각 겉보기 등급이 감마 2.2, 델타 2.8, 엡실론 2.5로 모두 2등급대.[3] 알파별이 3.1, 베타별이 5.1 등급이다[4] 61광년은 두 별이 중력으로 영향을 끼치기에는 먼 거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