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7:49:31

앙주 리링크/프로그레스

1. 개요2. 초심자 가이드
2.1. 1성 프로그레스2.2. 2성 프로그레스2.3. ADAM이나 특별 B.B. 시뮬레이터에 쓸 보정 프로그레스 문제
3. 청의 세계4. 흑의 세계5. 적의 세계6. 백의 세계7. 녹의 세계

1. 개요

프로그레스 분포(중복 제외)
8
7
7
7
7
36
수정일 2024/04/10
앙주 리링크의 프로그레스에 대해 서술한 문서

2. 초심자 가이드

초기에는 운 좋게 3성 프로그레스가 나오지 않는 이상 1성~2성 프로그레스가 높은 확률로 나온다. 1성과 2성 프로그레스는 전작의 N~HR등급이 그랬듯이 자주 업데이트 될 가능성이 적다.

의외로 저레어도 보조형 프로그레스의 연비나 효과가 괜찮아서 육성이 어느 정도 된 대체 프로그레스가 나올 때까지 육성하는 경우가 많지만 스트라이커나 피니셔와 같은 공격형 프로그레스는 3성 통상 프로그레스와 비교해볼 때 성능차가 두드러져서 빨리 대체된다. 지원형은 주로 한정 프로그레스의 성능이 좋지만 체력과 방어력을 포함한 생존이 좀 더 중요시되는 ADAM에서는 무과금의 경우 육성이 어려운 한정 프로그레스의 운영이 제한된다.

무과금 유저의 경우 육성과 가챠의 딜레마에 빠진다. 쿼츠라는 존재가 육성과 가챠 모두에 공통적으로 쓰이다보니 육성에 집중하면 가챠를 못돌리고 가챠에 우선하면 육성을 못하기 때문이다. 육성 중에서도 레어도 증가와 싱크로 레벨 증가라는 선택지가 나눠져 있어서 고민거리가 많다. 불행 중 다행인 점은 저레어도 프로그레스의 하드모드 퀘스트를 두개나 배정하여 레어도 증가를 위한 결정 수집 속도가 배로 빠르다는 점이다.

최고 레어도에 도달해도 한정 프로그레스의 레어도 증가냐 타 일반 프로그레스의 육성이냐가 갈리게 되지만 무과금 유저가 신경써야할 것은 레어도와 상관 없이 육성이 가능한 프로그레스를 추려서 되도록 빠른 속도로 육성하는 것이다. 많은 프로그레스를 최대한 육성해두면 상황에 따른 여러가지 조합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보조 프로그레스는 총전투력이 약간 낮아도 익시드 효과가 커서 편성하면 이득이 크지만 주공격을 담당하거나 주방어를 담당하는 프로그레스는 총전투력을 많이 올려둬야 좋다.

전투양상은 공격력 및 체감공격력(방어 디버프)을 미친 듯이 끌어올려서 끝내기를 하는 것이다. 방어(방업, 방어 디버프 효과 감소)와 체감방어력(공격력 저하, 배리어, 불사)을 올릴 수 있고 생존력을 올리기 위해 꼭 필요하긴 하지만 사용횟수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효과가 누적된다 할지라도 상대가 2연 공격을 날리기만 해도 방어수단이 깨져버린다. 반대로 공격력 및 체감 공격력을 올리는 것들은 지속시간이 무한이며 효과가 누적된다. 또한 공격력이 미친 듯이 올라 있어 방어력이 높아도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된다. 그리고 방어력에 치중하면 플레이어 자신도 화력을 희생하기 때문에 제한시간 초과로 쌍패를 먹는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주공 속성이 반드시 스트라이커나 피니셔가 되진 않는다. 다만 스트라이커나 피니셔로 했을 때는 유의미한 대미지를 빨리 뽑을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한정 프로그레스는 익시드 구성이 사기인 경우가 많아서 수시로 뽑아두지 않으면 육성자체가 불가능한데다가 배틀 이벤트 한 시즌 승률이 달라지기 때문에 쿼츠 아낀다고 가챠를 아예 안할 수는 없다. 육성 균형은 취향대로 하면 되지만 너무 육성이 안되어 있으면 방어력과 체력이 낮아서 문제가 생기는 일도 있으니 상황에 맞게 조절해야 한다.

무과금이나 과금을 적게 하는 경우에는 그때그때 유행하는 프로그레스를 따라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쓸모 없는 줄 알았던 프로그레스가 재발굴 되는 경우도 있으니 그때그때 육성 대상을 바꾸는 것보다는 여러 세계의 프로그레스를 꾸준히 육성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때그때 뽑은 한정 프로그레스를 육성해서 투입하는 것도 좋긴 하지만 있는 조합으로 안될 때 보충하는 식으로 해야 효과가 더 잘나온다. 어느 정도 육성이 되면 팁은 아래와 같다.
  • 공방보정은 반드시 챙겨야 한다
    자신에게 거는 버프든 상대에게 거는 디버프든 불사든 무효화든 공방보정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 중 공격에 조금 더 큰 비중을 둬야 타임아웃을 막을 수 있다.
  • 이왕이면 범위 공격이 좋다.
    범위공격은 단독공격보단 약하지만 어차피 공격버프는 반드시 챙겨야 하는 것이기에 단독공격은 별 의미가 없다. 다만 단독공격이나 버프/디버프도 최대 ATK같이 공격 혹은 지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경우에는 전략적으로 쓰면 좋다.
  • 연속공격이 있으면 정말 좋다.
    인플레이션 이전에는 부각되지 않았지만 방어나 생존에 영향을 주는 효과들을 걷어내는데 다중공격은 매우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불사를 걸어버리는 한정프로그레스의 출현으로 연속공격 프로그레스들이 주목받고 있다.

2.1. 1성 프로그레스

청: 쿠온 소라(디펜더), 치히로(서포터)
흑: 리제리타(트릭스터), 뤼미에르(부스터)
적: 오르트린(디펜더), 신시아(피니셔)
백: 유피리아(부스터), 아쿠에리아(서포터)
녹: 아인스(피니셔), 마유카(스트라이커)
아인스와 마도카, 신시아를 제외하면 대체로 비슷한 빈도로 볼 수 있다.[1]

쿠온 소라와 치히로는 준수한 익시드 덕에 끝까지 키우는 유저들이 있다. 치히로(서포터)의 익시드 링크는 전체공격 판정에 방디버프 53이므로 전체공격이 없어서 무효화를 걷어내기 어려운 경우 쓰기에는 좋다. 다만 치히로보다는 2성 닛타 유미가 조금 더 쓰기 좋아서 우선순위에서는 밀린다. 2024년 1월에는 3성 치히로(부스터)라는 한정 프로그레스가 나와서 더욱 우선순위에서 밀렸다.

리제리타는 방어를 깎는 수치는 좋으나 부스트 익시드가 하나도 없고 소비 LP가 낮아서 닛타 유미보다 사용빈도가 떨어진다. 근래 LP를 더 주는 ACE 능력이 생기면서 가끔 보이긴 한다. 뤼미에르는 익시드 링크의 전체 무효화 1회를 걸면서 체력을 소폭 회복시켜주는데 LP가 7이라 아직 3성 밀드레드(트릭스터)를 갖고 있지 않다면 써볼만하다.

오르트린의 열방업과 회복 익시드의 성능이 좋다. 익시드 링크는 소비 LP가 8로 다소 높지만 전체에 ATK -100이 걸리면서 아주 약한 공격판정이 들어간다. 즉, 무효화 상태를 걷어내는 데 유용하다. 신시아는 부스터 프로그레스가 없으면 못굴릴 정도로 소비 LP가 높아서 초기라도 선호되지 않는다. 2033년 핼러윈 아오이도 스트라이커 치고 LP가 높아서 연비가 좋다고 말하긴 아렵지만 효과 자체는 좋아서 이미 보유하고 있다면 이쪽을 육성하는 것도 나쁘진 않다.

유피리아는 소비 LP가 낮은 것에 비해서는 능력이 괜찮아서 대체 프로그레스가 부족한 초반에 쓰기에는 좋다. 아쿠에이아는 자신의 행에 공버프를 거는 익시드가 둘, 행공격 하나 전체공격 및 회복을 해주는 익시드 링크가 하나 있다. 버프 수치도 나쁘지 않고 전체공격과 행공격이 있어서 무효화를 걷어내기 좋다. 2성 세나 유니벨(스트라이커) 쪽의 초반 활용도가 조금 더 좋긴 하나 개인 공격이라 쓸만한 다중공격 프로그레스가 있으면 바로 대체되기 때문에 이 쪽의 활용도가 조금 더 좋다.

아인스는 모든 익시드가 자신의 체력을 깎기 때문에 쓸 이유가 없다. 마유카는 행공격이 있어서 대체 프로그레스가 있을 때까지는 유용하다.

초기 레어도가 1성인 프로그레스를 육성하면 아래와 같은 장단점이 있다.
  • 장점
    • 대체로 프로그레스의 기본 성능이 좋아진 상태에서 익시드 성능도 올라간 대신 소비 LP가 대체로 낮아 연비가 뛰어나 특별히 LP를 주는 ACE 능력을 배치하지 않는 이상 초반에 유리하다.
    • 1성은 모든 프로그레스의 결정이 하드모드 퀘스트가 두개씩 배치되어 육성 속도가 빠르다. 여기에 가챠시 뽑힐 확률도 높아 5성 도달 속도가 빠르며 잉여 결정 수집 때도 알파 결정 교환에 유리해진다.
  • 단점
    • 육성이 다 됐다 하더라도 대체로 익시드의 성능이 낮아서 막판 뒤집기로 활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2.2. 2성 프로그레스

청: 미카게 아오이(피니셔), 닛타 유미(서포터)
흑: 알마리아(스트라이커), 테오도체(피니셔)
적: 레미엘(힐러), 클라리스(스트라이커)
백: 카렌(피니셔), 토토(서포터)
녹: 루루나 젠디아(디펜더), 세나 유니벨(스트라이커)
아오이는 다중공격이 없으나 피니셔라 대미지는 잘 뽑기 때문에 ADAM에 쓸 대체 프로그레스가 없는 경우 고려할만하다. 그러나 연비가 심각할 정도로 나빠서 보통 빠르게 대체된다. 닛타 유미는 행단위로 방디버프를 거는 익시드와 자신의 행에 거는 공버프가 쓸만하다. 이 프로그레스보다 더 좋은 능력을 가진 경우가 대부분 한정 프로그레스이기 때문에 무과금 유저의 경우 대체 프로그레스가 잘 안나와서 육성해두면 정말 좋다.

알마리아는 부스트 익시드는 있는데 체력을 깎는 점을 빼면 열공격과 무효화가 있어서 대체 프로그레스가 나올 때까지는 그럭저럭 쓸만하다. 테오도체는 소피나와 특성이 비슷해서 소피나가 나올 때까지 쓰기엔 좋다. 다만 소피나가 그렇듯 활용하기 애매하다는 단점도 같다.

레미엘은 체력만 채우는 힐러이므로 우선순위를 두고 키우지 않아도 된다. 클라리스는 쓸만하긴 하지만 연비가 애매하다. ADAM 대체 프로그레스가 없는 경우 쓸만하다. 의외로 레미엘은 전략에 따라서는 쓸만한 경우가 있는데 소피나, 밀드레드 올인덱을 쓰는 경우 체력을 많이 회복해줘서 초반 생존률이 좋아지기 때문에 가끔 보인다.

카렌은 백의 세계 프로그레스 중 드문 피니셔라 ADAM 대체 프로그레스가 없는 경우 안쓸 수가 없어서 키워놓는 게 좋다. 토토는 쓸만하지만 자신의 행에만 버프를 주는 게 아니라 배치에 신경 써야 한다.

루루나는 오르트린의 행버전이다. 자신의 행에만 버프를 걸어주므로 편성에 신경을 덜 써도 되며 연비가 좋아 끝까지 키우는 경우가 많다. 세나는 자신의 행에 공격버프를 걸어주며 회복시켜주는 익시드는 좋지만 부스트 익시드 LP가 6이고 익시드 링크까지 모든 공격이 개인 공격이라 대체 프로그레스가 나올 때까지만 유용하다.[2] 의외로 ATK 수치가 높고 맷집이 좋지 않아 방어버프를 쓰고도 버티지 못허는 광경이 많이 나온다.

2.3. ADAM이나 특별 B.B. 시뮬레이터에 쓸 보정 프로그레스 문제

처음에는 스타트 대시 보너스를 동원해도 각 세계별로 골고루 프로그레스를 갖추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저레어도 출신 프로그레스를 쓸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생기는데 다 쓸만한 것은 아니다보니 아래를 참고하면 좋다.
  • 청의 세계: 미카게 아오이 빼고는 다 쓸만하다. 쿠온 소라는 1성임에도 5성까지 육성해서 쓰는 경우가 있고 2성 닛타 유미도 가끔 보인다. 치히로랑 닛타 유미는 범위가 다른데 그나마 버프먹이고 공격형으로 쓸 수 있는 프로그레스는 후자다. 미카게 아오이는 파워는 좋은데 전부 개인공격이라 답이 없다.
  • 흑의 세계: 다 못쓸 것은 없지만 테오도체의 활용은 그다지 권장되지 않는다. 연비나 활용도 면에서 3성 소피나가 훨씬 낫기 때문이다. 알마리아는 연비가 나쁜 편은 아닌데 어느 정도 육성이 안되면 활용하기 애매하다는 단점이 있다. 리제리타는 괜찮은 ACE 능력을 보유한 프로그레스가 있다면 연비 문제가 해결되지만 초심자가 쓰기에는 LP를 감당하기가 어렵다. 뤼미에르는 익시드 링크만 믿고 가야 하는데 익시드 셋의 LP가 너무 낮아 1차 발동도 다른 프로그레스 대비해서 늦다. 그래도 연비 자체는 좋다.
  • 적의 세계: 답이 없는 프로그레스가 둘이나 있는 대신에 나머지 두 프로그레스가 상당히 좋다. 특히 오르트린은 1성 대비 방어능력이 2성 루루나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아서 프로그레스들을 더 잘 버티게 해준다. 3성 히메가미노미코토가 있으면 시너지가 끝내주지만 없어도 밥값은 한다. 클라리스는 보정이 걸리면 연비가 좋아져서 상당히 쓸만하다. 반면 레미엘은 체력만 채워주기 때문에 DEF 상승이 동반돼야 좋은 이 게임에서 거의 버려진다. 신시아는 공격범위가 나쁘진 않는데 피니셔에 LP 10짜리 익시드/익시드링크가 둘이나 있어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
  • 백의 세계: 3성 프로그레스 중 쓸만한 게 있다면 카렌은 바로 대체되지만 그게 아니면 카렌이라도 쓰는 게 낫다. 백의 세계 프로그레스들은 대체로 화력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육성이 잘 됐다면 아쿠에리아가 가장 돋보인다. 모든 공격 익시드가 개인 공격이 아니라서 버프만 받쳐주면 후반에 깡패로 돌변하기 때문이다. 토토는 방어 지원형 프로그레스인데 체력회복이 없는 대신에 방어 수치를 많이 올려주며 자신의 행이 아니라 활용법이 다양하다. 더 좋은 프로그레스들이 많이 나와서 뽑는 순간 대체되긴 하지만 없으면 이거라도 쓰면 밥값은 한다.
  • 녹의 세계: 세나 유니벨 아인스 엑스아우라는 그냥 없는 셈치고 마유카 사나기와 루루나 젠디아만 있다고 보면 된다. 그나마 세나 유니벨은 회복이라도 있는데 아인스는 모든 익시드가 체력을 깎는데 반비례보정이 없고 모든 공격이 개인공격이라 진짜 답이 없다. 루루나는 방어능력이 출중해서 키워두면 정말 좋고 보정이 걸려도 한몫은 하지만 ATK가 너무 낮아서 딜러로는 쓰기가 정말 어렵다.
==# 이벤트별 한정 프로그레스 목록 #==
날짜 프로그레스 이벤트명 링크
2023년 8월 29일 유피리아(시사이드 수트) 픽업가챠 출처, 동영상
2023년 9월 26일 스텔라(마린스타일) 고스트 비치 어드벤처 이벤트 로고, 출처
2023년 10월 3일 나이아 라퓨세아(마린룩) 고스트 비치 어드벤처 출처
2023년 10월 31일 오르트린(핼러윈 미이라) 핼러윈 래빗 게임 이벤트 로고, 출처
2023년 11월 7일 미카게 아오이(백마녀 의상) 핼러윈 래빗 게임 출처
2023년 11월 14일 카렌(핼러윈 모드) 핼러윈 래빗 게임 출처
2023년 12월 6일 히메가미노미코토(축제예복) 픽업가챠 출처, 동영상(2024년 4월 30일 복각)
2023년 12월 12일 레미엘(산타 클로스) 천사의 크리스마스 이벤트 로고, 출처
2023년 12월 26일 치히로(신년) 픽업가챠 출처
2024년 1월 1일 닛타 유미(신년) 픽업가챠 출처1, 출처2
2024년 1월 16일 뤼미에르(세이란 래빗) 홍흑 카지노 합전 이벤트 로고, 출처
2024년 1월 23일 신시아(세이란 래빗) 홍흑 카지노 합전 출처, 동영상
2024년 2월 14일쿠온 소라(푸른 식전복) 반주년 기념 픽업가챠 출처
2024년 2월 20일테오도체(초코 에이프런) 풍기위원의 해프닝 밸런타인 데이 이벤트 로고, 출처
2024년 2월 27일 세나 유니벨(초코 드레스) 풍기위원의 해프닝 밸런타인 데이 출처
2024년 3월 5일 아쿠에리아(초코 메이드) 풍기위원의 해프닝 밸런타인 데이 출처
2024년 3월 19일 마유카 사나기(로열 메이드) 그뤼네실트의 천개 경영재건 대작전! 출처
2024년 3월 26일 루루나 젠디아(로열 메이드) 그뤼네실트의 천개 경영재건 대작전! 출처
2024년 4월 16일 밀드레드(로열 메이드)그뤼네실트의 천개 2 신 아르바이트 육성계획 출처
2024년 4월 23일나쿠루(로열 메이드)그뤼네실트의 천개 2 신 아르바이트 육성계획 출처
2024년 5월 14일클라리스 에델라이트(레저타임) 수영복 풍기위원 대수사선 트러피컬 레저랜드 출처
2024년 5월 21일아야시로 아마네(레저타임) 수영복 풍기위원 대수사선 트러피컬 레저랜드 출처
2024년 5월 28일 히나타 미우미(레저타임)익시즈 배틀 개시 기념 픽업가챠 출처

3. 청의 세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앙주 리링크/프로그레스/청의 세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흑의 세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앙주 리링크/프로그레스/흑의 세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적의 세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앙주 리링크/프로그레스/적의 세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백의 세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앙주 리링크/프로그레스/백의 세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녹의 세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앙주 리링크/프로그레스/녹의 세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024년 5월 5일 기준[2] 대미지가 낮게 나와도 복수공격이 가능하면 공버프나 방어 디버프만 적절히 써줘도 대미지가 잘 나온다. 죽어라 하나씩 잡고 있으면 상대가 대처하고 역습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다중공격이 되는 프로그레스가 뽑는 대미지를 올리는 식으로 덱을 짜서 빠르게 상대 프로그레스를 전투불능으로 만드는 전략이 더 많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