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09:03:06

애스트로피지컬 저널

<colbgcolor=#42558D><colcolor=#fff> Astrophysical Journal
ApJ
창간 <colbgcolor=#42558D><colcolor=#fff> '''
ApJ
'''
1895년
'''
ApJ
Letter
'''
1967년
간행 주기 월간 3회
분야 천체물리학
운영 미국천문학회
출판사 IOP Publishing
편집장 Ethan Vishniac
ISO-4 '''
ApJ
'''
Astrophys. J.
'''
ApJ
Letter
'''
Astrophys. J. Lett.
지표 h-i 479 (ApJ)[S]
IF 4.8 (ApJ)[I]
8.8 (ApJL)[I]
SJR Q1 (ApJ)[S]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주요 연구
2.1. Astrophysical Journal2.2.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1. 개요

미국천문학회가 운영하는 천체물리학 학술지이다.

2. 주요 연구

ApJ와 ApJL에 게재된 천체물리학계와 우주론학계에서 유명했던 연구의 논문 서지정보는 다음과 같다. 이중 나무위키내 천문학 및 물리학 관련 문서 및 노벨물리학상/수상자, 물리학자/목록에 언급된 연구도 존재한다.

2.1. Astrophysical Journal

  • 121권 - 1955년 1월 출판
    • 살페터 초기 질량 함수 - 에드윈 살페터[5]
  • 129권 - 1959년 3월 출판
    • 케니컷-슈미트 법칙 - 마르턴 슈미트[6]
  • 142권 1호 - 1965년 7월 출판
  • 142권 3호 - 1965년 11월 출판
    • 군-피터슨 골 - 제임스 군, 브루스 피터슨[8]
  • 160권 3호 - 1970년 6월 출판
    • 프리먼 법칙 - 케네스 프리먼[9]
  • 344권 2호 - 1989년 9월 출판
    • 케니컷-슈미트 법칙 - 로버트 케니컷[10]
  • 500권 2호 - 1998년 6월 출판
    • 성간적화 관측 - 데이비드 슈레겔 외[11]
  • 517권 2호 - 1999년 6월 출판
    • 우주 가속팽창 입증[12] -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 콜라보레이션[13]
  • 689권 2호 - 2008년 12월 출판

2.2.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S] Scimago 기준.[I] IOP 기준.[I] IOP 기준.[S] [5] Edwin E. Salpeter The Luminosity Function and Stellar Evolution, Astrophys. J. 121 (1955) 161[6] M. Schmidt, The Rate of Star Formation, Astrophys. J. 129 (1959) 243[7] A. A. Penzias, R. W. Wilson, A Measurement of Excess Antenna Temperature at 4080 Mc/s, Astrophys. J. 142 (1965) 419[8] J. E. Gunn, B. A. Peterson, On the Density of Neutral Hydrogen in Intergalactic Space, Astrophys. J. 142 (1965) 1633–1641[9] K. C. Freeman, On the Disks of Spiral and S0 Galaxies, Astrophys. J. 160, 811 (1970)[10] R. J. Kennicutt, The Star Formation Law in Galactic Disks, Astrophys. J. 344 (1989) 685[11] David J. Schlegel, Douglas P. Finkbeiner, and Marc Davis, Maps of Dust Infrared Emission for Use in Estimation of Reddening and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Foregrounds, Astrophys. J. 500 (1998) 525[12] Ia형 초신성 관측[13] Supernova Cosmology Project Collaboration, Measurements of Ω and Λ from 42 High Redshift Supernovae, Astrophys. J. 517 (1999) 565[14] A. M. Ghez et al. Measuring Distance and Properties of the Milky Way’s Central Supermassive Black Hole with Stellar Orbits, Astrophys. J. 689 (2008) 1044[15] M87 블랙홀 관측[16] The Event Horizon Telescope Collaboration, First M87 Event Horizon Telescope Results. I. The Shadow of the Supermassive Black Hole, Astrophys. J. Lett. 875 (2019) L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