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1 22:42:19

애착 인형


1. 개요2. 형성 배경3. 매체에서

1. 개요

애착 인형은 아동이 양육자의 상을 대신하는 것으로 특별하게 들고 다니는 인형을 말한다. 정신분석학의 "대상관계이론"에서 뻗어나온 개념이다.

2. 형성 배경

아기는 양육자와 밀착해있으면서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방법을 터득한다. 놀라서 '와앙'하고 울었을 때 양육자가 바로 안아주면, 따뜻한 체온과 부드러운 촉감, 두근두근 뛰는 심장박동과 날 지켜줄 양육자가 나와 붙어있다는 안도감을 느끼면서 활성화된 교감 신경이 안정되고 스트레스가 가라앉는 것을 체험한다. 이를 통해 아기는 "내가 놀라더라도 나는 금방 괜찮아질 수 있다"는 세상에 대한 신뢰를 얻고, 양육자와 단단한 관계를 형성한다.

시간이 흘러 아동이 되면, 아동은 점차 양육자와 떨어져지내는 시간이 많게 된다. 낯선 세상을 탐색하던 어린 아동은 양육자와 떨어져 놀다가도 조금이라도 불안하면 양육자를 보고 표정을 살피고, 간혹 놀라면 양육자에게 쭐래쭐래 달려와 안겨 안정을 느낀다. 이러한 양육자의 역할을 안식처, 안전 기지(secure base)라고 부른다.

더 시간이 흐르면 이제는 양육자가 없더라도 스스로 안정을 찾아야할 때가 온다. 몇 시간동안 양육자가 외출하거나 혼자 잠을 자야 할 때, 아동은 안식처 역할을 해줬던 양육자의 상을 대신할 대상을 찾는다. 아동은 부드럽고 푹신한 것을 찾아 양육자의 상을 투영하는데, 그러다보니 애착의 투사 대상으로는 주로 인형이 이용된다. 이렇게 애착의 투사 대상이 된 인형을 애착인형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애착인형은 아동기에 주로 이용되는 대상이지만, 그 흔적은 성인이 된 뒤에도 남는다. 아동이 더 크면 눈에 보이는 대상으로부터 안정을 얻는 것뿐 아니라, 자신의 심상을 통해서 안정을 얻는 것도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양육자가 자신에게 해줬던 따뜻한 행위를 내재화함으로써 스스로를 조절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1]

푹신한 베개나 쿠션, 옷 또한 애착 인형과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제로도 여대생들이 쿠션, 인형 등을 좋아한다.

수면센터에서는 '좋아하는 베개를 갖고 오세요'라고 권고하기도 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담요가 비슷한 기능을 하기도 한다.[2]

3. 매체에서

어린 아이 캐릭터들이 애니메이션에서 곰 인형이나 토끼 인형을 안고 다니는 것이 바로 애착 인형이다. 이러한 애착 인형이 망가진다는 것은 어린 아이들의 안정이 깨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능에서는 OOO의 애착인형이라고 부르며 어느 연예인이 방송마다 주로 데리고 다니는 친한 동료 연예인들을 의미하기도 한다. (예: 유재석의 애착인형 조세호&이광수&지석진, 김종국의 애착인형 양세찬) 물론 더 유명한 연예인이 덜 유명하지만 맘에 드는 연예인 꽂아주는 셈이기도 하다.
[1] 그렇기 때문에 어린 시절에 제대로 따뜻한 양육을 받지 못한 이들은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다.[2] 피너츠의 등장인물 라이너스 반 펠트의 담요가 이런 물건.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