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7 12:14:40

야시엘 푸이그/선수 경력/2025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야시엘 푸이그/선수 경력|야시엘 푸이그/선수 경력]]

1. 개요2. 시즌 전
2.1. 스프링캠프2.2. 연습경기2.3. 시범경기
3. 페넌트레이스
3.1. 3월3.2. 4월3.3. 5월3.4. 6월3.5. 7월3.6. 8월3.7. 9월
4. 총평5. 시즌 후6. 관련 문서

1. 개요

키움 히어로즈 소속 외야수 야시엘 푸이그의 2025 시즌에 대한 문서.

2. 시즌 전

2024년 11월 26일, 키움과 1년 1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2년 만에 KBO 리그로 복귀하게 되며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시절 자신의 영혼과도 같은 단짝이었던 류현진과 적으로 만나게 됐다. 또한 2022 시즌 키움에서 뛸 때 주전 선수들이었던 이정후, 김혜성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로 떠나고 팀의 전체적인 기조도 윈나우에서 리빌딩으로 바뀌며 전체적으로 변한 팀에 복귀하게 되었다.

등번호는 66번을 되찾았다.

2.1. 스프링캠프

2.2. 연습경기

2월 20일 중신 브라더스와의 연습경기에서 2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2월 22일 라쿠텐 몽키스와의 연습경기에서 2타수 1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3월 1일 타이강 호크스와의 연습경기에서 홈런과 2번의 호수비를 기록했다.

2.3. 시범경기

시범경기 기록
<rowcolor=#FFF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3 5 2 0 0 0 2 0 3 2 0 .400 .625 .400 1.025
3월 8일 창원 NC전에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2타수 1안타 1득점 1볼넷 1삼진을 기록하고 대주자 여동욱과 교체되었다.

3월 9일 창원 NC전에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2타수 1안타를 기록하고 대주자 여동욱과 교체되었다.

3월 10일 수원 KT전에 1번 우익수로 선발 출전해 1타수 무안타 1득점 2볼넷 1삼진을 기록하고 이형종과 교체되었다.

3월 11일 수원 KT전에는 단순 담 증세로 경기에 나오지 않았다.

담 증세가 오래 가는지 개막전 복귀를 목표로 휴식을 취한다고 한다. #

3. 페넌트레이스

3.1. 3월

3월 기록
<rowcolor=#FFF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8 34 11 1 0 2 10 6 3 4 0 .324 .410 .529 .939
3월 22일 개막전 대구 삼성전에 2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했다. 7회초 1사 1루 상황에서 이호성을 상대로 시즌 1호 투런 홈런을 터뜨렸다. 최종 성적은 3타수 2안타 1홈런 2득점 2타점 1볼넷 1삼진을 기록했다.

3월 23일 대구 삼성전에 1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해 4타수 2안타 3득점 1볼넷 1삼진을 기록했다.

3월 25일 광주 기아전에 2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해 5타수 1안타 1타점 2삼진을 기록했다.

3월 26일 광주 기아전에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5타수 2안타 2득점 1타점을 기록하고 8회초 대타 박주홍과 교체되었다.

3월 27일 광주 기아전에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1안타 1득점 1볼넷을 기록했다.
시즌 2호 홈런
3월 28일 고척 SSG전에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했다. 1회초 드류 앤더슨을 상대로 선제 솔로 홈런(시즌 2호)을 때려냈다. 최종 성적은 5타수 2안타 1홈런 2득점 2타점을 기록했다.

3월 29일 고척 SSG전에 1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해 3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3월 30일 고척 SSG전에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5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3.2. 4월

4월 기록
<rowcolor=#FFF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4월 2일 잠실 두산전에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3타수 무안타 1득점 1볼넷 1삼진을 기록했다.

4월 3일 잠실 두산전에 1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해 4타수 1안타 2삼진을 기록했다.
푸이그의 만루 홈런
4월 4일 고척 NC전에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했다. 7회말 김진호를 상대로 쐐기를 박는 만루홈런을 터뜨렸다. 푸이그의 시즌 3호 홈런이자 KBO에서 약 3년만에 친 만루홈런이다.[1] 최종 성적은 4타수 2안타 1홈런 1득점 4타점을 기록했다.

4월 5일 고척 NC전에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3타수 무안타 1볼넷 1삼진을 기록했다.

4월 6일 고척 NC전에 1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해 4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했다.

4월 8일 고척 LG전에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2안타를 기록하며 멀티히트를 쳐냈으나 팀은 단 6안타에 그치며 13:1로 대패했다. 2회초 수비에서 타구를 빠뜨리는 실책으로 빅이닝 허용에 일조했다.

4월 9일 고척 LG전에 2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무안타 2삼진을 기록했다.

4월 10일 고척 LG전에 2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3타수 무안타 1볼넷 2삼진으로 끝도 없이 부진해 타선의 혈을 막고 있다. 타율도 .254까지 떨어졌다.

4월 11일 대전 한화전에 2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했다. 다저스시절 동료였던 류현진과의 맞대결로 기대를 모았으나 우익수 플라이-우익수 플라이-삼진으로 물러났고 8회초 조동욱을 상대로 안타를 쳤으나 후속타 불발로 득점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최종 성적은 4타수 1안타 1삼진을 기록했다.

4월 12일 대전 한화전에 2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6타수 1안타 1타점 1삼진을 기록했다.

4월 13일 대전 한화전에 2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하고 8회말 대수비 장재영과 교체되었다. 최근 5경기에서 2안타에 그치며 시즌 타율은 0.234에 그치고 있다. 30대 중반에 접어든 나이, 에이징 커브가 의심되는 상황이다.

4월 15일 사직 롯데전에 5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무안타 1볼넷을 기록했다.

4월 16일 사직 롯데전에 6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2타수 무안타 2삼진을 기록하고 6회말 수비를 앞두고 장재영과 교체되었다.

4월 17일 사직 롯데전에 7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1안타 2삼진을 기록했다.
푸이그의 끝내기
4월 18일 고척 KT전에서 1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하여 앞선 4타석은 무안타로 침묵했으나, 3대3 동점상황에서 9회 말 2사 2루 상황에 우규민을 상대로 끝내기 안타를 쳤다. 최종 성적은 5타수 1안타 1득점 1타점 2삼진을 기록했다.

4월 19일 고척 KT전에 4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해 4타수 무안타 3삼진을 기록했다.

4월 20일 고척 KT전에 4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 3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했지만 홈런성 타구가 잡히는 등 불운도 따랐다. 5회초 수비에서 쓸데없는 맨손 캐치를 시도하다가 펌블해 주자의 추가 진루 및 선제 실점으로 이어졌다. 이날 키움은 고영표에게 100구 무사사구 3피안타 완봉승을 내줬다.
시즌 4호 홈런
4월 22일 고척 두산전에 5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했다. 3회말 2사 1루 상황에서 최승용을 상대로 시즌 4호 투런 홈런을 터트렸다. 최종 성적은 4타수 1안타 1홈런 1득점 2타점 2삼진을 기록했다.
파일:김유성푸이그1타석.gif
파일:김유성푸이그2타석.gif
4월 23일 고척 두산전에 5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했다. 2회말 김유성을 상대로 몸에 맞는 공으로 출루했다. 이어서 4회말 김유성의 초구가 머리로 날아가며 푸이그도 더 이상 참지 못하고 벤치 클리어링이 터졌다.[2] 이날 경기 최종 성적은 3타수 2안타를 기록했다.

4월 24일 고척 두산전에는 전날 경기 1루 귀루 도중 발생한 어깨 회전근 손상 부상으로 인해 결장했다.#

4월 27일 말소되었다.

3.3. 5월

5월 기록
<rowcolor=#FFF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3.4. 6월

6월 기록
<rowcolor=#FFF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3.5. 7월

7월 기록
<rowcolor=#FFF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3.6. 8월

8월 기록
<rowcolor=#FFF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3.7. 9월

9월 기록
<rowcolor=#FFF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4. 총평

5. 시즌 후

6. 관련 문서



[1] 2022년 4월 12일 고척 NC전에서 만루 홈런을 터트린바 있다. 이 경기는 774명의 관중이 입장한 경기로 팬들에게 잘 알려진 경기이다.[2] 앞선 상황에서 김유성이 임지열루벤 카디네스에게도 거의 맞을 뻔한 공을 던져 임지열과 카디네스 모두 직접적으로 김유성을 향해 불만을 표했다. 또한 다른 곳도 아닌 머리를 향하는 포심 패스트볼이 날아왔으니 키움 입장에선 푸이그가 아니라도 누구 한 명이 벤치 클리어링을 터뜨릴만한 상황이었다. 오히려 푸이그 입장에서는 마운드 쪽으로 걸어가긴 했으나 중간에 멈추고 노려보기만 했으니 많이 참은 셈이다. 메이저 시절 벤클 과거 악동이라 불리던 미국에서의 푸이그였다면 벤치 클리어링에서 그치지 않고 진짜 싸움이 일어났을 것이라는 말이 많았다. 특히 키움으로서는 김동엽이 시범경기에서 김유성의 투구에 맞아 손목 부상을 당해 전반기를 날려먹었으니 김유성의 이같은 비매너 투구에 더욱 예민할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