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2 11:57:49

어웡키어

에벤키어에서 넘어옴
어웡키어
Эвэды̄ турэ̄н | Ewengki gisөng
Evenki language
<colcolor=#ffffff><colbgcolor=#d2691e> 유형 교착어
어순 주어-목적어-동사 (SOV)
서자방향 키릴 문자, 라틴 문자: 좌행서(왼쪽부터 가로쓰기)
몽골 문자: 좌종서(왼쪽부터 세로쓰기)
문자 키릴 문자, 라틴 문자, 몽골 문자
주요 사용 지역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사하 공화국,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중국|]][[틀:국기|]][[틀:국기|]]
내몽골 자치구, 헤이룽장성
원어민 15,800명#
계통 퉁구스어족
북퉁구스어파
어웡키어군
어웡키어
언어
코드
<colcolor=#ffffff><colbgcolor=#d2691e> ISO 639-3 evn
글로톨로그 even1259
  • 러시아 어웡키어: Эвэды̄ турэ̄н (어워디 투런)
  • 중국 어웡키어: Ewengki gisөng (어웡키 기송)[1]
  • 러시아어: Эвенкийский язык
  • 중국어: 鄂温克语
[clearfix]
1. 개요2. 표기 및 발음3. 계통 및 문법
3.1. 모음조화3.2. 명사3.3. 대명사3.4. 형용사3.5. 수사3.6. 동사
4. 예문5. 들어보기6. 외부 링크

1. 개요

러시아중국, 몽골어웡키족(에벤키족)이 사용하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 화자수는 약 1만 7천 명.

서쪽으로는 예니세이 강부터 동쪽으로는 오호츠크 해까지, 그리고 북쪽으로는 북극해에서 남쪽으로는 내몽골 자치구에 이르기까지 굉장히 넓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러시아에서 제정된 표준화된 문어체는 시베리아 중앙의 폿카멘나야 퉁구스카 강 유역의 방언에 기반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주로 사하 공화국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에서 쓰이고 있으며, 사하 공화국에서는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2] 한편 예전에 에벤키 자치구가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와 통합되기 전에도 자치구 내에서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된 적이 있었다. 러시아 내에서 어웡키어로 된 출판물이 간행되고 학교에서도 부분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러시아 거주 어웡키인의 90% 이상이 이미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등 위기에 처해 있다.

2. 표기 및 발음

문자의 경우 러시아에서는 키릴 문자를, 중국에서는 라틴 문자 혹은 몽골 문자를 사용해 표기한다.

어웡키어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 키릴 문자에 ng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Ӈ을 추가해서 사용하고 있다. 장음은 모음 위에 장음부호  ̄를 덧붙여서 표기하지만 장음부호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으로 어웡키어 키릴 문자에는 어웡키어의 특징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부분도 있다.
  • 음운 /dʒ/, /ɲ/에 해당하는 문자가 없어서 дя, ню처럼 д/н + е, ё, и, ю, я조합으로 /dʒ/, /ɲ/ 발음을 표기한다. 이 때 /di/와 /dʒi/ 발음을 구별하기 위해 /di/는 ды, /dʒi/는 ди로 표기하고, /ti/ 역시 ты로 표기한다.
  • 장음으로만 나타나는 /eː/는 별도의 글자 없이 어두나 д, т 앞에선 э̄, 그 외에는 е̄로 표기한다. (예: э̄кун /eːkun/ '무엇', се̄н /seːn/ '귀') 전자의 경우 표기상으로 /əː/와 구별되지 않는다.

중국에서 사용되는 어웡키어는 /ʃ/ 발음이 있고 모음의 종류가 러시아 어웡키어보다 많다.
{{{#!folding 【문자 목록 보기】 키릴 문자
(대문자/소문자)
몽골 문자 발음[3]
A a /a/
Б б ᠪ, ᠸ /b/
В в /β/[4]
Г г ᠬ, ᠭ /g/[5]
Д д ᠳ, ᠵ /d/, /dʒ/
Е е /jə/, /e/, /je/
Ё ё /jo/
Ж ж /ʒ/[a]
З з /z/[a]
И и /i/
Й й /j/
К к /k/
Л л /l/
М м /m/
Н н /n/, /ɲ/
Ӈ ӈ /ŋ/
О о /o/
П п /p/
Р р /r/
С с /s/
Т т /t/
У у ᠣ, ᠥ /u/
Ф ф /f/[a]
Х х /h/
Ц ц /ts/[a]
Ч ч /tʃ/
Ш ш /ʃ/[a]
Щ щ /ʃtʃ/[a]
Ъ ъ [a]
Ы ы /i/
Ь ь /ʲ/[a]
Э э /ə/, /e/
Ю ю /ju/
Я я /ja/
}}} ||

3. 계통 및 문법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에 속하며, 어순은 한국어와 똑같이 SOV 어순을 띤다. 주위의 북부 퉁구스어나 튀르크어처럼 접사를 붙여 인칭을 나타낸다. 퉁구스어족 문서 참조.

3.1. 모음조화

어웡키어도 모음조화가 존재하며, 만주어를 비롯한 다른 퉁구스 언어의 모음조화와 공통점이 많다. 어웡키어의 모음조화는 설근후축에 따른 대립을 이룬다. 모음조화는 튀르크어나 몽골어만큼 엄격하게 지켜지지는 않으며, 일부 명사는 모음조화에 따라 성별이 구분되기도 한다.
  • /a/, /e/, /o/는 한국어의 양성모음에 해당한다. /o/는 원순조화를 이루는데, 이 경우는 어간의 마지막 모음이 o일 경우에만 해당한다.
    • 예) бира-ва '강을', се̄н-ма '귀를', орон-мо '순록을', долбонӣ-ва '밤(夜)을'
  • /ə/는 한국어의 음성모음에 해당한다.
    • 예) урэ-вэ '산을'
  • /i/, /u/는 중성모음으로 어느 쪽과도 결합할 수 있다. 중성모음에 접사가 결합될 경우 단어마다 다르게 모음조화를 이룬다.
    • 예) мӯ-вэ '물을', дю̄-ва '집을'

3.2. 명사

어웡키어 명사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한다. 복수형의 일반적 형태는 -(и)л이며, -н으로 끝나는 명사는 마지막 н을 떨어뜨리고 그 자리에 -р를 붙이면 복수형이 된다. 일부 단어는 -сал, -тыл 등 불규칙한 복수형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어웡키어에는 다수의 격이 있다. 격의 개수나 분류는 방언이나 학설에 따라 차이가 존재한다. 격변화 형태는 단어가 끝나는 형태나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는다.
дю̄ 집 의미
단수 복수
주격 nominative - дю̄ дю̄л 집이
여격 dative -дӯ дю̄дӯ дю̄лдӯ 집에, 집에서[14]
대격 accusative -ва дю̄ва дю̄лва 집을
방향격 allative -т(ы)кӣ дю̄ткӣ дю̄лтыкӣ 집을 향해
처격 locative -(ду)ла̄ дю̄ла̄ дю̄лдула̄ 집으로
경로격 prolative -(ду)лӣ дю̄лӣ дю̄лдулӣ 집을 지나, 집에 대해
탈격 ablative -дук дю̄дук дю̄лдук 집으로부터
도구격 instrumental -(и)т, -ди дю̄т дю̄лди 집으로써
공동격 comitative -нӯн, -ню̄н дю̄ню̄н дю̄лню̄н 집과 함께
이 외에도 부정대격 -я, 출격(elative) -гӣт, 사용 빈도가 낮은 방향-처격 -кла̄와 방향-경로격 -клӣ, 현재는 생산성이 없는 속격 -ӈӣ 등이 존재한다.

어웡키어는 소유접미사가 발달해 있다. 어웡키어에서는 '양도할 수 있는 소유'와 '양도할 수 없는 소유'를 구분한다. 가령 дыл-ив와 дыл-иӈи-в는 둘 다 '나의 머리(дыл)'라는 뜻이지만, 전자는 양도할 수 없는 '나의 머리' 그 자체를 가리킨다면 후자는 양도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의 '나의 머리'(예: 내가 가진 동물의 머리)를 지칭한다. 다만 실제로 '양도할 수 있는 소유'의 사용은 가축과 가축의 신체 부위, 자연물과 자연현상 등으로 매우 제한되어 있다.

양도할 수 없는 소유는 접미사를 붙여서 나타내며, 변화 형태는 다음과 같다.
дю̄ 집
단수 복수
나의 дю̄в дю̄лвӣ
너의 дю̄с дю̄ллӣ
그/그녀/그들의 дю̄н дю̄лин
우리의(청자 배제) -вун дю̄вун дю̄лвун
우리의(청자 포함) дю̄т дю̄лты
너희의 -сун дю̄сун дю̄ллун
그들의 -тын дю̄тын дю̄лтын
자신의 -вӣ дю̄вӣ дю̄лвӣ
자신들의 -вэр дю̄вэр дю̄лвэр

3.3. 대명사

어웡키에는 다음과 같은 대명사들이 있다.
우리 너희 그들
청자 배제 청자 포함
주격 бӣ сӣ нуӈан бӯ мит сӯ нуӈартын
여격 миндӯ синдӯ нуӈандӯн мундӯ миттӯ сундӯ нуӈардӯтын
대격 минэ(вэ) синэ(вэ) нуӈанма̄н мунэ(вэ) митпэ сунэ(вэ) нуӈарватын
방향격 минтыкӣ синтыкӣ нуӈантыкӣн мунтыкӣ миттыкӣ сунтыкӣ нуӈартыкӣтын
처격 миндулэ̄ синдулэ̄ нуӈандула̄н мундулэ̄ миттулэ̄ сундулэ̄ нуӈардула̄тын
경로격 миндулӣ синдулӣ нуӈандулӣн мундулӣ миттулӣ сундулӣ нуӈардулӣтын
탈격 миндук синдук нуӈандукин мундук миттук сундук нуӈардуктын
출격 минӈит синӈит нуӈанӈидин мунӈит миткит сунӈит нуӈаргидитын
도구격 минди синди нуӈандин мунди митыт сунди нуӈардитын
공동격 миннӯн синнӯн нуӈаннӯн муннӯн митнӯн суннӯн нуӈарнӯнтын

재귀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재귀대명사의 격변화는 мэ̄нмӣ '나 자신' → мэ̄н-дӯ-вӣ '나 자신에게'처럼 어간 мэ̄н-과 인칭접미사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아래 표와 별개로 특별히 인칭을 명시하지 않은 재귀대명사 мэ̄нэкэ̄н(복수 мэ̄нэкэ̄р)가 존재한다.
나 자신 мэ̄нмӣ 우리(청자 배제) 자신 мэ̄рвун
우리(청자 포함) 자신 мэ̄рты
너 자신 мэ̄ннӣ 너희 자신 мэ̄ррун
그 자신 мэ̄нин 그들 자신 мэ̄ртын

소유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재귀대명사의 소유 형태는 어간 мэ̄н-과 인칭접미사 사이에 -ӈӣ-를 넣어서 나타낸다.
나의 минӈӣ 우리(청자 배제)의 мунӈӣ
우리(청자 포함)의 митӈӣ, мутӈӣ
너의 синӈӣ 너희의 сунӈӣ
그의 нуӈанӈӣн 그들의 нуӈарӈӣтын

3.4. 형용사

어웡키어 형용사는 수식언(1), 체언(2), 용언(3)의 위치에 모두 올 수 있다.
  • (1) ая бэе 좋은 사람
  • (2) Бӣ бэе аява̄н са̄м. 나는 그 사람의 좋음을 안다.
  • (3) Тар мо̄ гугда. 그 나무는 키가 크다.

3.5. 수사

어웡키어에서의 1부터 10까지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1 умӯн 우문 6 нюӈун 늉운
2 дю̄р 주르 7 надан 나단
3 илан 일란 8 дяпкун 잡쿤
4 дыгин 디긴 9 егин 여긴
5 тунӈа 퉁아 10 дя̄н 잔

3.6. 동사

어웡키어 동사는 태, 상, 서법, 시제, 인칭에 따라 변화한다.

동사의 태는 능동태(영표지), 피동태(-в-), 공동태(-лды-), 상호태(-ма̄т-, -ч-), 사동태(-вка̄н-), 반사동태(-рга-)가 있다. 이들 중 마지막의 반사동태는 багдарга- '하얘지다'처럼 주어에도 피동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낼 때 쓰인다.

어웡키어의 상은 태를 나타내는 접사 다음에 접사를 붙여서 나타내며, 완료상(영표지), 미완료상 -дя-/-ча-, 시동상(inceptive) -син-, 기동상(ingressive) -л-, 지속상 -т-/-чи-, 습관상 -ӈна-을 비롯해 굉장히 많은 종류가 있다. 앞의 6개 상은 모든 방언에서 나타나며, 방언에 따라 상태상, 반복상 등 더 많은 종류의 상이 존재한다.

어웡키어 서법은 직설법과 명령법, 희구법(optative), 의무법(deontic)이 존재하며, 이는 다시 시제와 인칭에 따라 변화한다. 동사에 붙이는 인칭접사는 1형과 2형 인칭접사가 있다.
1형 2형
1인칭 단수
2인칭 단수 -нни
3인칭 단수
1인칭 복수(청자 배제) -вун
1인칭 복수(청자 포함) -п
2인칭 복수 -сун
3인칭 복수 - -тын

직설법은 다양한 시제접사를 통해 나타낸다.
  • 직설법 현재완료형은 어간에 -ра-[1형]를 붙이며, 1인칭과 2인칭 단수는 별도의 표지 없이 바로 인칭접사를 붙인다. 현재형은 단순과거형에 미완료상과 같은 상을 결합해 나타낸다(예: хава- '일하다' → хавалдяран '그는 일한다')
    주다 бӯ-

    1인칭 단수 бӯ-м 1인칭 복수(청자 배제) бӯ-рэв

    1인칭 복수(청자 포함) бӯ-рэп

    2인칭 단수 бӯ-нни 2인칭 복수 бӯ-рэс

    3인칭 단수 бӯ-рэн 3인칭 복수 бӯ-рэ
  • 과거형은 단순 과거를 표시하는 -ча̄-[2형]와 먼 과거를 표시하는 -ӈки-[2형]가 덧붙는다.
  • 미래형의 경우 얼마나 먼 미래인지에 따라 가장 가까운 -дяӈа̄-[2형], 좀더 먼 -дя̄-[2형], 가장 먼 -дяли-[1형]와 같은 접사를 붙여서 나타낸다.

명령법은 인칭에 따라 여러 형태가 있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는 2인칭 단수 -кал이다.
주다 бӯ-
1인칭 단수 бӯ-ктэ 1인칭 복수(청자 배제) бӯ-квун
1인칭 복수(청자 포함) бӯ-гэт
2인칭 단수 бӯ-кэл 2인칭 복수 бӯ-кэллу
3인칭 단수 бӯ-гин 3인칭 복수 бӯ-ктын

조건법 역시 접사 -мча-에 인칭접사를 붙여서 나타낸다. 의무법은 -мачӣн을 붙여서 나타내며 인칭변화를 하지 않는다.

한편 어웡키어는 다양한 분사(-рӣ '~하는', -ча̄ '~한' 등)와 부동사(-на '~하면서', -кса̄ '~하고' , -мӣ '하면' 등) 형태를 가지고 있다. 분사는 시제에 따라, 부동사는 시제 및 문장 간 주어의 관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4. 예문

간단한 어웡키어 회화#.
안녕하세요! Дорово! (도로워!)
Мэнду! (먼두!)
안녕하세요! (아침 인사) Ая инэӈит! (아야 이넝이트!)
안녕하세요! (저녁 인사) Ая ахилтанат! (아야 아힐타나트!)
어떻게 지내세요? Он бидерэс? (온 비저러스?)
잘 지내요. Аят. (아야트.)
안녕히 가세요! Бакалдыдала! (바칼디달라!)
이름이 뭐예요? Гэрбис ӈи? (거르비스 응이?)
제 이름은 바실리입니다. Гэрбив Василий. (거르비프 바실리.)
어디서 오셨어요? Бугас иду бихин? (부가스 이두 비힌?)
톰모트에서 왔어요. Би Томмотук. (비 톰모툭.)
부탁합니다! Анӈакал! (앙아칼!)
감사합니다! Пасиба! (빠씨바!)
미안해요. Простикал. (쁘라스찌칼.)
예. Э. (어.)
아니요. Эчэ. (어처.)
이것을 어웡키어로 뭐라고 하나요? Эвэдыт эрэ он гундеӈэс? (어워디트 어러 온 군정어스?)
못 알아들었어요. Би синэ эхим тыллэ. (비 시너 어힘 틸러.)

다음은 어웡키어로 번역한 세계 인권 선언 1조이다.
어웡키어 번역 해석
Упкат илэл ты̄нмукирди, урэ̄лди мэ̄нӈи са̄рича̄ди балдыдяра. Нуӈартын дялитви, халдяндыви биси, мэмэгӣлвэр аяралды̄дяна тэдет о̄мамачитын.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5. 들어보기


6. 외부 링크



[1] https://www.evenkiteka.ru/stellages/textbooks/ewengki-gisong-tottan-isir/[2] 사하 공화국에서는 러시아어사하어가 국가언어(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языки)로 지정되어 있고, 어웡키어 외에 에벤어·돌간어·축치어·유카기르어가 지역 공용어(местные официальные языки)로 지정되어 있는데 사실 후자에 속하는 언어들은 모두 소멸위기에 놓인 언어들이다.[3] 러시아 어웡키어 기준[4]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w\], 어말에서 \[f\]로 실현된다.[5]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마찰음 \[ɣ\]로 실현된다.[a] 외래어에서만 사용[a] 외래어에서만 사용[a] 외래어에서만 사용[a] 외래어에서만 사용[a] 외래어에서만 사용[a] 외래어에서만 사용[a] 외래어에서만 사용[a] 외래어에서만 사용[14] 만주어 여위격 -de처럼 통상적인 여격과 처격의 의미를 함께 가진다.[1형] [2형] [2형] [2형] [2형] [1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