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fff> | 에스토니아 리기코구 원내 구성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연립 여당 | [[에스토니아 개혁당| 개혁당 38석 ]] | |||||
[[에스토니아 200| 에스토니아 200 13석 ]] | [[사회민주당(에스토니아)| 사회민주당 14석 ]] | ||||||
야당 | [[에스토니아 보수인민당| 보수인민당 11석 ]] | [[이사마| 이사마 9석 ]] | |||||
[[에스토니아 중앙당| 중앙당 7석 ]] | [[에스토니아 민족과보수| 민족과보수 3석 ]] | ||||||
[[무소속|무소속 5석 ]] | |||||||
재적 101석 | }}}}}}}}} |
Eesti Keskerakond | |
한글명칭 | 에스토니아 중앙당 |
상징색 | 초록색 |
창당일 | 1991년 10월 12일 |
이념 | 사회자유주의 좌익대중주의[1][2]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좌파[3] |
당사 | Narva mnt. 31-M1, 탈린 10120 |
당 대표 | 미하일 컬바르트(Mihhail Kõlvart)[4] |
당원 수 | 14,732명(2021년 기준) |
기관지 | Kesknädal |
유럽 정당 | 유럽 자유민주연합 |
유럽의회 정당 | 리뉴 유럽 |
리기코구 의석 수 | 7석 / 101석 |
유럽의회 의석 수 | 1석 / 7석 |
웹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에스토니아의 사회자유주의 정당이다.2. 상세
에스토니아 SSR 말기에 결성된 인민 전선에서 나와서 만든 정당이다. 초기에는 농촌 중앙당과 구별하기 위해 인민중앙당이라도 불리기도 했다.다른 정당들과 큰 차이가 있다면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들의 이익을 대변해주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인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지지율이 높다.
그럼에도 자유주의도 추구하다보니 강력한 중산층을 형성하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경제적 자유주의 정책[5]을 바탕으로 좌파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동성결혼이나 트랜스젠더 권리 등 사회적으로 자유주의자들이 추구해온 전통적 의제에 있어 애매한 스탠스를 취하고 있어서[6] 사회자유주의적 원칙을 위반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언론이나 평론가들은 자유주의보다는 포퓰리즘 성향에 가깝다고 비판하고 있다.
자유주의 정당을 표방하나 자유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하지 못하고 있다.
2024년 이후에 당 내 갈등을 놓고 탈당이 이어지고 있다.
3. 역대 선거 결과
3.1. 리기코구 선거
중앙당 소속 총리가 집권하였을 때만 배경에 색을 넣었다.연도 | 의석수 | 득표율 | 순위 | 집권 |
1992 | 15/101 | 12.2% | 3위 | 비집권 (1992~1995) |
1995 | 16/101 | 14.2% | 2위 | 협동당, 농촌연합과 연정 (1995) |
비집권 (1995~1999) | ||||
1999 | 28/101 | 23.4% | 1위 | 비집권 (1999~2002) |
개혁당과 연정 (2002~2003) | ||||
2003 | 28/101 | 25.4% | 1위 | 비집권 (2003~2005) |
개혁당, 인민연합과 연정 (2005~2007) | ||||
2007 | 29/101 | 26.1% | 2위 | 비집권 (2007~2011) |
2011 | 26/101 | 23.3% | 2위 | 비집권 (2011~2015) |
2015 | 27/101 | 24.8% | 2위 | 비집권 (2007~2011) |
사회민주당, 이사마와 연정 (2016~2019) | ||||
2019 | 26/101 | 23.0% | 2위 | 보수인민당, 이사마와 연정 (2019~2021) |
개혁당과 연정 (2021~2022) | ||||
비집권 (2022~2023) | ||||
2023 | 16/101 | 15.3% | 3위 | 비집권 (2023~) |
3.2. 유럽의회 선거
연도 | 의석수 | 정원[7] | 득표율 | 순위 |
2004 | 1 | 6 | 17.5% | 2위 |
2009 | 2 | 26.1% | 1위 | |
2014 | 1 | 22.4% | 2위 | |
2019 | 1 | 7[8] | 14.4% | 3위 |
[1] Tõnis Saarts. Persistence and decline of political parties: the case of Estonia. East European Politics, 2015, Vol. 31, No. 2. Lk 214[2] 진보주의나 사회민주주의 정당은 아니지만 좌익대중주의로 분류된다. 애초에 사회자유주의=좌파자유주의이다.[3] 중도주의, 중도좌파, 좌익이라는 평가가 모두 존재한다.[4] 고려인 혼혈 출신이다#.[5] 일반적인 수준의 경제적 자유주의를 지지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사회민주주의보다 경제적 개입주의 성향이 약하며 자유무역을 지지한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사회민주주의 정당 못지않는 소득재분배 정책을 펴서 좌파포퓰리즘 정당으로 분류된다.[6] 소위 더불어민주당의 사회보수주의내지 문화적 보수주의 논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사회자유주의 정당인데 정작 사회적으로 리버럴하지 않다는 것이다.[7] 에스토니아에 배정된 의석 한정.[8] 브렉시트 이후로 에스토니아에 배정된 의석이 6석에서 7석으로 늘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