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엔진코인 Enjin Coin (ENJ) | |
<colbgcolor=#6243FF><colcolor=#ffffff> 기호 | ENJ |
출시일 | 2017년 10월 |
총 공급량 | 1,000,000,000 ENJ |
유통량 | 약 1,000,000,000 ENJ |
개발사 | Enjin Pte. Ltd. |
블록체인 | 이더리움(ERC-20), Efinity |
공식 웹사이트 | enjin.io |
1. 개요
엔진코인(Enjin Coin, ENJ)은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및 NFT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개발된 암호화폐다. 2017년,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Enjin에서 출시했으며, 주로 게임 아이템, NFT(대체 불가능 토큰), 디지털 자산의 발행 및 거래 등에 활용된다.2. 특징
* **NFT 통합 자산** : ENJ는 NFT 자산에 실제 가치를 부여하는 데 사용되며, 발행된 NFT는 일정량의 ENJ를 잠금(locked) 상태로 보유하게 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자산의 희소성과 신뢰성이 강화된다.* **Enjin 플랫폼 생태계** : 게임 개발자를 위한 블록체인 SDK, 마켓플레이스, 지갑 등 다양한 인프라를 제공한다. Enjin Wallet은 다수의 토큰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반 지갑으로도 유명하다.
* **Efinity 네트워크** : 폴카닷 기반으로 개발된 NFT 특화 블록체인으로, 확장성과 저렴한 수수료를 제공하며 ENJ는 이 생태계의 주요 자산으로 활용된다.
3. 활용
Enjin은 블록체인 기술을 게임 및 디지털 콘텐츠에 자연스럽게 통합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실제로 일부 게임에서는 NFT 아이템을 획득하고, 이를 Enjin 생태계 내에서 거래하거나 타 게임으로 전송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이처럼 사용자 활동에 따라 자산을 보상하는 구조는 보상형 플랫폼에서도 유사하게 찾아볼 수 있다.예를 들어, 리워디 월렛은 커뮤니티 참여(댓글, 설문, 콘텐츠 소비 등)를 통해 포인트를 지급하고, 이를 자체 토큰인 RWD로 전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디지털 활동에 대한 보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Enjin의 게임 기반 보상 시스템과 유사한 측면이 있으며, 실사용 기반의 토큰 경제를 지향한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4. 여담
* Enjin은 Unity 및 Java 개발자를 위한 SDK도 제공하여 다양한 게임 개발 환경을 지원한다.* ENJ는 2021년 NFT 열풍과 함께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삼성전자 갤럭시 S10에 탑재된 지갑에서 지원되기도 했다.
* 블록체인 기반의 실용 NFT 생태계를 선도하고자 하며, Web3 및 메타버스 프로젝트와의 협력도 확대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