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성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성어#|]][[의성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일) オノマトペ(←Onomatopoeia)
'음성 상징어'를 뜻하는 Onomatopoeia(오노마토피아)의 일본식 표기. 한국에서는 의성어로 주로 번역되지만, '음성 상징어'는 '특정한 의미와 관련된 소리를 말소리로 흉내내 나타낸 표현'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의성어와 대부분의 의태어는 물론, 한국어에는 없으며 소수 언어에만 존재하는 색, 맛, 냄새 등을 표현하는 음성 상징어까지도 포함된다.
'색, 맛, 냄새을 표현하는 음성 상징어'가 한국어에 없다는 말이 의아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 이는 한국어의 '의태어' 정의가 음성 상징과는 무관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를 합쳐서 부를 때는 음성 상징어가 아닌 '감각어(感覺語)'라는 범주로 묶인다. 예를 들어서 한국어에서 색을 나타내는 의태어는 '불긋불긋', '푸릇푸릇' 등이 있다. 하지만 이는 음성 상징이라고는 할 수 없는데, 단순히 색을 나타내는 어간 '붉-', '푸르-'에 접미사가 결합하여 된 것이기 때문이다. 맛을 나타내는 '달콤'(달-), '짭쪼름'(짜-), '떨떠름'(떫-), '시큼'(시-), 냄새를 나타내는 '구릿구릿'(구리-) 등도 마찬가지. 이처럼 특정한 범주에 한해서 감각이 주는 '느낌'을 소리로 흉내내 나타낸 표현은 한국어에서 찾아볼 수 없고, 실제로 언어 보편적으로 찾아보더라도 흔치 않은 것이기는 하나 이러한 표현을 보유한 언어도 소수 존재한다.
2. 하뉴 마이고의 음악
<colbgcolor=#C23352><colcolor=#00A6A9> オノマトペ (오노마토페) | |
가수 | <colbgcolor=#ffffff,#00A6A9> 리리아 |
작곡가 | 하뉴 마이고 |
작사가 | |
일러스트 | 우치다 아키라 |
페이지 | |
투고일 | 2021년 5월 14일 |
Digital Single「オノマトペ feat.りりあ。」
Digital Single「오노마토페 feat.리리아。」
Digital Single「오노마토페 feat.리리아。」
하뉴 마이고가 마성의 카마토토 앨범 발매 후 2년 만에 내놓은 복귀곡으로, 해당 곡을 기점으로 하뉴 마이고는 보컬로이드를 사용하지않고 보컬리스트를 기용한다.
오노마토페는 '의성어'라는 의미로, 가사를 보면 다양한 의성어를 기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노마토페는 '의성어'라는 의미로, 가사를 보면 다양한 의성어를 기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1. 영상
- 니코니코 동화
[nicovideo(sm38731285)] - 유튜브
2.2. 가사
オノマトペ 오노마토페 |
そう言ったのは真夏の午後さ 소우 잇타노와 마나츠노 고고사 그렇게 말한 건 한 여름의 오후야 どうやったってしんどいわ 도우얏탓테 신도이와 어떻게 해봐도 힘들 뿐이야 想像してよ妄想してよ 소우조우시테요 모우소우시테요 상상해봐 망상해봐 横暴だってわかるでしょ 오우보우닷테 와카루데쇼 횡포란 걸 알고 있잖아 愛して愛してオノマトペ 아이시테 아이시테 오노마토페 사랑해줘 사랑해줘 오노마토페 許して許してオノマトペ 유루시테 유루시테 오노마토페 용서해줘 용서해줘 오노마토페 どうしてそなに優しの 도우시테 손나니 야사시이노 어째서 그렇게 상냥한거야 優柔不断好きじゃないわ 유쥬후단 스키쟈나이와 우유부단한 건 좋아하지 않는데 もう懲り懲りだ乙女の涙 모우 코리고리다 오토메노 나미다 이제 소녀의 눈물은 지긋지긋해 もういいやって言わせるな 모우 이이얏테 이와세루나 이제 됐다고 말하게 하지마 往々にして表層的な 오우오우니시테 효우소우테키나 표면적인 듯한 건 종종 있는 걸 凡庸だってわかるでしょ 본요우닷테 와카루데쇼 평범하단 걸 알고 있잖아 愛して愛してオノマトペ 아이시테 아이시테 오노마토페 사랑해줘 사랑해줘 오노마토페 返して返してオノマトペ 카에시테 카에시테 오노마토페 돌려줘 돌려줘 오노마토페 あんなにたくさんあげたのに 안나니 타쿠산 아게타노니 그렇게나 많이 주었는데 私をこんなにしたのに 와타시오 콘나니 시타노니 날 이렇게 해버렸는데 おのれ おのれ 오노레 오노레 네놈 네놈 へらへらちゃって止まらないわ ドキドキしちゃって 헤라헤라시챳테 토마라나이와 도키도키시챳테 어질어질 거리고 두근거림이 멈추질 않아 やかましぃわケタケタしないで 야카마시이와 케타케타시나이데 요란스럽게 낄낄거리지 마 いじらしいわ ぽろぽろ笑っいた 이지라시이와 포로포로 와랏테이타 가엾게시리 부슬부슬 웃고 있었어 |
もうここまでだ仏涙 모우 코코마데다 호토케노 나미다 부처의 눈물은 이제 여기까지야 どうやったって手送れさ 도우얏탓테 테오쿠레사 어떻게 해봐도 이미 늦었으니까 想像してよ妄想してよ 소우조우시테요 모우소우시테요 상상해봐 망상해봐 感動なんていらないわ 칸도우난테 이라나이와 감동따위 필요없어 愛して愛してオノマトペ 아이시테 아이시테 오노마토페 사랑해줘 사랑해줘 오노마토페 信じて信じてオノマトペ 신지테 신지테 오노마토페 믿어줘 믿어줘 오노마토페 どうしてこんなに愛しいの 도우시테 콘나니 이토시이노 어째서 이렇게 사랑스러운 거야 私がそんなに悪いの? 와타시가 손나니 와루이노 내가 그렇게 나쁜거야? おのれ おのれ 오노레 오노레 네놈 네놈 ヒヤヒヤしちゃって許さないわ キラキラしちゃって 히야히야시챳테 유루사나이와 키라키라시챳테 조마조마하며 반짝반짝 거리는 건 용서 못 해 くだらないわ グルグル回って 쿠다라나이와 구루구루 마왓테 빙글빙글 돌아도 시시하네 戻れないわ フワフワ歌っていた 모도레나이와 후와후와 우탓테이타 흥얼흥얼 노래 부르지만 돌아오지 않아 |
おのれ おのれ 오노레 오노레 네놈 네놈 おのれ おのれ 오노레 오노레 네놈 네놈 シクシクしちゃって つまらないわ スカスカな脳で 시쿠시쿠시챳테 츠마라나이와 스카스카나 노우데 텅텅 빈 뇌로 훌쩍훌쩍 거리며 재미없네 埋まらないわ ゴシゴシ削って 우마라나이와 고시고시 케즛테 쓱쓱 깎아내도 메워지지 않아 また会いましょう キラキラになって 마타 아이마쇼 키라키라니 낫테 다시 만나자 반짝반짝해져서 なって なって 낫테 낫테 져서 져서 なって待ってね 낫테 맛테네 그렇게 기다려줘 |
3. 일본의 에로게 브랜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onomatop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onomatope*#|]][[onomatop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