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878787><colcolor=#ffffff> 오태학 吳泰鶴 | Oh Tae-hack | |
출생 | 1938년 1월 5일 |
충청남도 부여군 | |
사망 | 2024년 11월 9일 (향년 86세) |
호 | 산동(山童)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 / 학사) |
약력 |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부총장 대한민국미술대전 부심사위원장 대만 사범대학교 초청교수 한.중미술교류전 추진위원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학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학과 교수 수도여자사범대학교 미술과 조교수 경희대학교 ,단국대학교, 서라벌예술대학 강사 동덕여자고등학교 교사 홍익대학교 조교, 강사 |
가족 | 배우자 김영지 아들 오동주 딸 오상민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화가.2. 생애
1938년 1월 5일에 부여에서 태어났으며 홍익대에서 동양화를 전공했으며, 홍익대 대학원을 나왔다.암채화의 선구자로 대학시절 당시 대학시절 국전을 휩쓸며 천경자, 운보 김기창 선생에게 ‘천재가 나타났다.’는 극찬을 받았다.
이후, 한국 화단의 거목으로 평생을 한국화의 현대화를 모색하며 새로운 양식의 기법을 도입,개척 했다.
1978∼2003년 중앙대 한국화학과 교수로 재직시 화가 서정태, 김진관 성신여대 명예교수·영화 취화선 에서 오원 장승업 (최민식분) 역으로
70여점의 작품을 그려 알려진 김선두, 이길우 중앙대 교수 고찬규 인천대 교수 등 현대 한국 화단을 대표하는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1982-1984 회화학과 학과장
1988-1989 회화학과 학과장
1990-1991 예술대학 학장
1998-1999 중앙대학교 부총장
2003-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학과 명예교수
한국화대전 심사위원 역임 (광주)
1991 91서울미술대전 추진위원
전 중국 풍정화대전 심사위원 역임 (북경)
중앙미술대전 운영위원 (중앙일보)
현대한국회화 운영위원 (호암갤러리, 서울)
1992 대한민국미술대전 운영위원
이후 국전 심사위원 등
2008 2008 IAF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2009 New Acquisition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0 藝友2000 “동질 그 아름다움” (공평아트센터, 서울)
2002 FIFA 월드컵 Korea/Japan 기념판화전 (롯데화랑, 서울)
2003 山童 오태학 회고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2012 운보 문하생 원로교수 초대전 (운보미술관, 청원)
2014 山童 오태학展 『본향을 찾아』 (흰물결아트센터, 서울)
2015 백제의 후예 오늘의 부여미술 초대展 (부여문화원 아사달갤러리, 부여)
2017 기획전 《국전을 통해 본 한국의 현대미술》 (예술의전당 알천미술관, 경주)
2018 산동 오태학의 작품세계 『拙朴을 넘어 餘의 세계로』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이천)
2021 초대전 『사제동행』 (나우갤러리, 서울)
DNA: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서울)
기획전 ‘2021 띠 그림전-소’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이천)
2022 한국 채색화의 흐름展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진주)
향(鄕), 영원의 이름 (미술관 솔, 전주)
2023 바로우리展 (세종문화회관, 서울)
무릉도원보다 지금 삶이 더 다정하도다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24 천경자 탄생 100주년 기념전 ‘색채의 향연’(고흥, 남포미술관)
2024 수묵별미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서울) 등 다수
3. 사망
2024년 11월 9일에 지병으로 사망했다. #4. 수상
- 대통령표창
- 문교부장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