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옹진군
관련 문서: 중구·강화군·옹진군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79c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중구 | 동구 | 미추홀구 | 연수구 |
[[남동구/정치| 시청 남동구]] | 부평구 | 계양구 | 서구 | |
강화군 | 옹진군 | }}}}}}}}} |
1. 선거구 정보2. 지역 특징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
인천광역시 옹진군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 |||
<rowcolor=#ffffff>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
<colbgcolor=#f64100><colcolor=#ffffff> 국회의원 | 중구·강화군·옹진군 | 옹진군 전역 + 중구, 강화군 | |
시의원 | 옹진군 | 옹진군 전역 |
1.1. 군의회
자세한 내용은 옹진군의회 문서 참고하십시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현재{{{#!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3석, 군수 소속 정당 | 4석 | ||||
재적 7석 | }}}}}}}}} |
8회 지선 당시 무소속으로 당선된 1명이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면서 여소야대 군정이 되었다.
2. 지역 특징
아무래도 전형적인 농어촌 지역에 북한과 가깝다 보니 인천에서 강화군과 함께 보수 정당이 상당히 우세한 지역이다. 대한민국 국회의원의 경우 인구가 적어 가까운 중구와 동구에 묻어간다. 정치 성향의 경우 옛날부터 지역 특성상 보수정당이 우세했고, 그게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때는 새누리당 후보가 64.78%, 민주통합당 후보가 35.21%를 받아 무려 더블스코어에 가까운 차이를 냈다. 사실 이 동네가 보수정당이 우세한 이유는 시골이라는 것은 표면적 이유고, 실제 이유는 강원특별자치도처럼 북한이 바로 위에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엔 총선을 치를 때마다 민주당계 정당 후보도 적어도 30%를 받고 있고, 그리고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의 득표율이 한나라당 득표율을 앞서기도 했다.[1]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보수정당이 대체로 강세다. 그렇지만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된 제16대 대통령 선거 때는 무려 37.6%를 받은 적도 있었다. 하지만 2010년 연평도 포격전 발발 이후로는 보수정당이 초강세를 보이면서 사실상 보수의 텃밭이 되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무려 71.9%의 득표율을 기록해 27.1%를 받은 문재인 후보를 무려 트리플 스코어에 가깝게 관광을 보냈다. 특히 대청면[2]의 경우 박근혜 후보가 무려 85.7%의 득표율을 기록했는데, 읍면동을 기준으로 경상도를 제외한 지역 중 가장 박근혜 후보의 득표율이 높은 곳이다. 경상북도에서의 박근혜 후보 득표율인 80.8%보다도 높다. 심지어 새누리당이 참패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조차도 이 지역에서만큼은 비례대표 새누리당 득표율이 58% 가까이 나왔고, 지역구로 봐도 무소속으로 출마한 안상수가 무려 36%를 잠식했음에도 새누리당 후보가 43%로 1위를 했으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고 난 이후에 치러진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홍준표 후보가 전 지역에서 1위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대청면과 북도면이 옹진군 내에서도 보수세가 매우 강해서 19대 대선에서도 홍준표의 득표율이 50%를 넘겼을 정도였다. 반면 연평도 포격 사건이 일어난 연평면의 경우 의외로 홍준표의 득표율이 가장 낮았는데, 정작 문재인의 득표율도 평균 이하였고, 대신 안철수와 유승민이 평균 이상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해 연평면에 주둔하고 있는 대한민국 해병대 장병들의 표심이 안철수와 유승민 쪽으로 분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옹진군 내부에서도 북한과 인접한데다 해병대가 주둔하고 있는 서해 5도 지역과 구 부천군 지역의 표심이 약간 다른데, 서해 5도 지역(특히 연평면, 백령면)은 북한과 인접해 보수적이면서도 젊은 해병대 장병들의 표심이 중도 아니면 개혁보수 쪽으로 분산되거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같이 남북 평화 무드에 따라 민주당 쪽으로 이동하는 등의 성향을 보이는 반면 영흥면 등의 구 부천군 지역은 노년층 비중이 높아 보수세가 강한 것이기 때문에 북한 관련 변수와 관계 없이 보수세가 꾸준히 강한 편이다.
원래는 강화군을 뛰어넘는 인천 최고의 보수강세 지역이었으나, 7회 지선 이후 강화군보다는 보수세가 약간 더 낮게 나오기도 했다. 2020년대 중반 시점에서는 강화군이 수도권 위치를 기반으로 군 지역임에도 젊은층 인구가 조금씩 유입되고 있어서 다시 인천에서 가장 보수적인 지역이 되었다.[3]
참고로 옹진군수 자리는 기초자치단체장 후보들에게는 꿈의 장소로 꼽혔다. 이유는 한 번 당선되면 3선 연임에 걸릴 때까지 자리를 보전할 수 있는 곳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민선 6기까지 배출된 군수는 조건호, 조윤길 단 2명밖에 안된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옹진군은 100여개 섬으로만 이뤄져 있어 후보들이 2주 남짓한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모든 섬을 방문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며, 교통수단이 선박으로 이동하는 것밖에 없다 보니 관선이 있어서 이동이 보다 편하고 실제로 업무를 보는 현직 군수에 비해 다른 후보들은 선거 유세에서부터 두각을 보이기가 힘들기에 평소 섬 주민과 끈끈한 유대관계를 다져온 현직 군수가 훨씬 유리할 수밖에 없어서이다.
이 때문에 촌이지만 공천 경쟁률이 다른 대도시들 저리가라 할 정도로 상당히 치열하다. 그러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선 7기 군수인 장정민 군수가 낙선하여 3선은 커녕 재선도 실패하여 옹진군수 3선 신화가 깨졌다.
21대 총선에서는 통합당 배준영 후보가 58%를 받으며 보수 강세 지역으로 회귀했는데, 이번에도 연평면에서는 민주당 조택상 후보가 46%를 받으며 경합을 보였다.
8회 지선에서도 인천시장 선거에 나온 박남춘 후보는 옹진군 중 연평면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옹진군수 선거의 장정민 후보도 연평면에서는 9표 차이로 이겼다.
3. 역대 선거 결과
옹진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4] | |||
안산시·옹진군 | |||
13대 | | 장경우 | 재선 |
14대 | [[민주자유당|]] | 3선[5] | |
중구·동구·옹진군 | |||
15대 | [[신한국당|]] | 서정화 | 4선 |
16대 | | 서상섭 | 초선 |
17대 | [[열린우리당|]] | 한광원 | 초선 |
18대 | | 박상은 | 초선 |
19대 | [[새누리당|]] | 재선[6] | |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 |||
20대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안상수 | 3선 |
중구·강화군·옹진군 | |||
21대 | [[미래통합당|]] | 배준영 | 초선 |
22대 | | 재선 |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6410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color=#000000,#dddddd> 역대 옹진군수 선거 결과 ||
1995 | 1998 | 2002 | 2006 | 2010 | ||
민주자유당 |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 한나라당 | |||
조건호 | 조윤길 | |||||
2014 | 2018 | 2022 |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
조윤길 | 장정민 | 문경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민주자유당|]] 조건호 100.00%[7] | |||||
1998년 | 1위: [[새정치국민회의|]] 조건호 44.0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봉걸 24.89%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상철 16.92%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병화 14.17% | |||||
2002년 | 1위: [[새천년민주당|]] 조건호 63.81% 2위: 김종길 36.18% | |||||
2006년 | 1위: 조윤길 44.08% 2위: [[열린우리당|]] 김철호 30.1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필우 25.78% | |||||
2010년 | 1위: 조윤길 무투표 당선 | |||||
2014년 | 1위: [[새누리당|]] 조윤길 65.75%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기조 28.59% | |||||
2018년 | 1위: 장정민 40.32% 2위: 김정섭 36.8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기조 11.41% | |||||
2022년 | 1위: 문경복 55.46% 2위: 장정민 44.53% | }}}}}}}}} |
3.1. 지방선거
3.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1.1. 인천광역시장
옹진군 옹진군 일원[옹진] | ||||
정당 | | |||
후보 | 박남춘 | 유정복 | 문병호 | 김응호 |
득표수 | 5,507 | 6,904 | 490 | 354 |
득표율 | 41.54% | 52.08% | 3.69% | 2.67% |
순위 | 2위 | 1위 | 3위 | 4위 |
계 | ||||
선거인 수 | 18,938 | |||
투표 수 | 13,908 | |||
무효표 수 | 653 | |||
투표율 | 73.44% |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인천 옹진군 개표 결과 | ||||||
정당 |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남춘 | 유정복 | 문병호 | 김응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5,507 (41.54%) | 6,904 (52.08%) | 490 (3.69%) | 354 (2.67%) | -1,397 (▼10.54) | 73.44% |
북도면 | 32.64% | 62.28% | 2.18% | 2.90% | ▼29.64 | 70.56 |
연평면 | 49.52% | 42.79% | 4.84% | 2.85% | △6.73[9] | 68.23 |
백령면 | 38.91% | 55.02% | 3.48% | 2.59% | ▼16.11 | 70.60 |
대청면 | 34.56% | 60.74% | 2.55% | 2.15% | ▼26.18 | 82.37 |
덕적면 | 36.77% | 57.29% | 3.71% | 2.23% | ▼20.52 | 74.70 |
자월면 | 34.06% | 60.47% | 3.42% | 2.05% | ▼26.41 | 72.73 |
영흥면 | 43.07% | 49.56% | 4.33% | 3.04% | ▼6.49 | 61.82 |
후보 | 박남춘 | 유정복 | 문병호 | 김응호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60.42% | 30.55% | 5.56% | 3.47% | △29.87 |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8회 지선 옹진군 개표 결과 | |||||||
인천광역시장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남춘 | 유정복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3,756 (30.86%) | 7,950 (65.31%) | - 4,194 (▼34.45) | 12,693 (67.17%) | |||
북도면 | 26.04% | 70.61% | ▼44.57 | 68.06 | |||
연평면 | 34.89% | 60.88% | ▼25.99 | 55.13 | |||
백령면 | 31.30% | 63.56% | ▼26.00 | 62.03 | |||
대청면 | 32.54% | 64.73% | ▼32.19 | 72.67 | |||
덕적면 | 30.33% | 64.01% | ▼33.78 | 69.71 | |||
자월면 | 28.16% | 69.71% | ▼41.55 | 68.61 | |||
영흥면 | 29.06% | 67.90% | ▼38.84 | 59.00 | |||
후보 | 박남춘 | 유정복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4.17% | 54.43% | ▼20.26 | ||||
관외사전투표 | 34.09% | 62.43% | ▼28.34 | ||||
국회의원 선거구 | 박남춘 | 유정복 | 격차 | 투표율 | |||
중·강화·옹진[10] | 37.15% | 59.32% | ▼22.17 | 49.80 | |||
후보 | 박남춘 | 유정복 | 격차 | 투표율 | |||
구 황해도[11] | 32.31% | 63.23% | ▼28.29 | 59.66 | |||
구 부천군[12] | 28.62% | 67.63% | ▼39.01 | 63.25 | |||
옹진군수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장정민 | 문경복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5,457 (44.53%) | 6,797 (55.46%) | - 1,340 (▼10.93) | 12,693 (67.17%) | |||
북도면 | 41.00% | 58.99% | ▼17.99 | 68.06 | |||
연평면 | 50.50% | 49.49% | △1.01[13] | 55.13 | |||
백령면 | 52.61% | 47.38% | △5.33 | 62.03 | |||
대청면 | 57.07% | 42.92% | △15.15 | 72.67 | |||
덕적면 | 44.80% | 55.19% | ▼10.39 | 69.71 | |||
자월면 | 47.01% | 52.98% | ▼5.97 | 68.61 | |||
영흥면 | 34.07% | 65.92% | ▼31.83 | 59.00 | |||
후보 | 장정민 | 문경복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6.15% | 53.84% | ▼6.69 | ||||
관외사전투표 | 42.95% | 57.04% | ▼14.09 |
3.2. 대선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
옹진군 옹진군 일원[A] | ||||
정당 | | |||
후보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김종필 |
득표수 | 14,574 | 3,248 | 1,662 | 399 |
득표율 | 73.14% | 16.30% | 8.34% | 2.00%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계 | ||||
선거인 수 | 22,444 | |||
투표 수 | 20,466 | |||
무효표 수 | 964 | |||
투표율 | 91.19% |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
옹진군 옹진군 일원[A] | ||||
정당 | [[민주자유당|]] | |||
후보 | 김영삼 | 김대중 | 정주영 | 박찬종 |
득표수 | 6,546 | 1,748 | 2,180 | 504 |
득표율 | 58.43% | 15.60% | 19.45% | 4.49% |
순위 | 1위 | 3위 | 2위 | 4위 |
계 | ||||
선거인 수 | 14,096 | |||
투표 수 | 11,529 | |||
무효표 수 | 326 | |||
투표율 | 81.79% |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
옹진군 옹진군 일원 | |||
정당 | | [[새정치국민회의|]] | |
후보 | 이회창 | 김대중 | 이인제 |
득표수 | 3,622 | 1,724 | 2,578 |
득표율 | 44.67% | 21.26% | 31.79% |
순위 | 1위 | 3위 | 2위 |
계 | 선거인 수 | 10,300 | |
투표 수 | 8,343 | ||
무효표 수 | 236 | ||
투표율 | 81.00% |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
옹진군 옹진군 일원 | |||
정당 | | [[새천년민주당|]] | |
후보 | 이회창 | 노무현 | 권영길 |
득표수 | 4,629 | 2,990 | 262 |
득표율 | 58.11% | 37.53% | 3.28% |
순위 | 1위 | 2위 | 3위 |
계 | 선거인 수 | 11,225 | |
투표 수 | 8,164 | ||
무효표 수 | 199 | ||
투표율 | 72.73% |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
옹진군 옹진군 일원 | |||||
정당 | [[대통합민주신당|]]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후보 | 정동영 | 이명박 | 권영길 | 문국현 | 이회창 |
득표수 | 1,865 | 5,473 | 243 | 383 | 1,367 |
득표율 | 19.56% | 57.42% | 2.54% | 4.01% | 14.34% |
순위 | 2위 | 1위 | 5위 | 4위 | 3위 |
계 | |||||
선거인 수 | 14,172 | ||||
투표 수 | 9,682 | ||||
무효표 수 | 151 | ||||
투표율 | 68.32% |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
옹진군 옹진군 일원 | ||
정당 | [[새누리당|]] |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득표수 | 9,197 | 3,470 |
득표율 | 71.91% | 27.13% |
순위 | 1위 | 2위 |
계 | 선거인 수 | 17,311 |
투표 수 | 12,903 | |
무효표 수 | 115 | |
투표율 | 74.54% |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
옹진군 옹진군 일원[옹진] | |||||
정당 |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득표수 | 3,935 | 5,834 | 3,092 | 875 | 656 |
득표율 | 27.02% | 40.06% | 21.23% | 6.0% | 4.50% |
순위 | 2위 | 1위 | 3위 | 4위 | 5위 |
계 | |||||
선거인 수 | 18,872 | ||||
투표 수 | 14,747 | ||||
무효표 수 | 185 | ||||
투표율 | 78.14% |
19대 대선 인천 옹진군 개표 결과 | |||||||
정당 |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3,935 (27.02%) | 5,834 (40.06%) | 3,092 (21.23%) | 875 (6.0%) | 656 (4.50%) | -1,899 (▼13.04) | 78.14% |
북도면 | 19.06% | 53.81% | 18.80% | 3.99% | 2.77% | ▼34.75 | 74.10 |
연평면 | 24.91% | 38.94% | 23.74% | 7.28% | 3.42% | ▼14.03 | 72.69 |
백령면 | 25.30% | 43.67% | 19.11% | 7.50% | 3.50% | ▼18.37 | 73.44 |
대청면 | 20.55% | 56.48% | 15.07% | 4.74% | 2.11% | ▼35.93 | 82.87 |
덕적면 | 25.40% | 43.91% | 22.23% | 3.63% | 3.07% | ▼18.51 | 74.52 |
자월면 | 19.17% | 47.72% | 24.77% | 4.17% | 3.39% | ▼22.95 | 76.28 |
영흥면 | 27.60% | 39.14% | 23.0% | 4.47% | 4.72% | ▼11.54 | 69.93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
거소 및 선상투표 | 35.54% | 18.34% | 31.45% | 6.35% | 3.53% | △4.09 | |
관외사전투표 | 41.38% | 21.0% | 21.27% | 7.45% | 8.28% | △20.11 | |
재외투표 | 62.33% | 8.47% | 13.49% | 3.81% | 10.98% | △48.84 | |
국회의원 선거구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투표율 |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17][18] | 35.32% | 29.40% | 22.45% | 5.70% | 6.44% | △5.92 | 74.23% |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
20대 대선 옹진군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5,218 (35.58%) | 8,797 (59.99%) | - 3,579 (▼24.41) | 14,912 (79.91%) | |||
북도면 | 25.47% | 70.56% | ▼45.09 | 76.82 | |||
연평면 | 34.08% | 57.32% | ▼23.24 | 69.40 | |||
백령면 | 34.54% | 60.54% | ▼26.00 | 74.79 | |||
대청면 | 26.01% | 67.59% | ▼41.58 | 79.35 | |||
덕적면 | 35.02% | 61.13% | ▼26.11 | 77.50 | |||
자월면 | 27.46% | 69.55% | ▼42.09 | 76.14 | |||
영흥면 | 40.63% | 55.97% | ▼15.34 | 74.65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9.28% | 48.80% | ▼9.52 | ||||
관외사전투표 | 38.30% | 57.87% | ▼19.58 | ||||
재외투표 | 61.76% | 35.29% | △26.47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중·강화·옹진[19] | 43.56% | 52.55% | ▼9.00 | 75.40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구 황해도[20] | 32.85% | 61.14% | ▼28.29 | 72.91 | |||
구 부천군[21] | 35.87% | 60.60% | ▼24.73 | 74.39 |
3.3. 총선
3.3.1. 안산시·옹진군
3.3.2. 중구·동구·옹진군
3.3.3.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3.3.4. 중구·강화군·옹진군
3.3.5. 비례대표
3.3.5.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득표율) | 5,955 (47.09%) | 3,272 (25.87%) | 812 (6.42%) | 529 (4.18%) | 420 (3.32%) | + 2,683 (△21.22) | 13,654 (73.46%)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북도면 | 58.82% | 19.21% | 3.56% | 2.47% | 2.01% | △39.62 | 73.06 | |||||||
연평면 | 41.21% | 28.62% | 6.29% | 5.17% | 3.04% | △12.59 | 67.92 | ||||||||
백령면 | 46.98% | 24.71% | 6.47% | 5.17% | 2.55% | △22.27 | 70.22 | ||||||||
대청면 | 52.44% | 24.29% | 5.33% | 2.04% | 1.81% | △28.15 | 79.44 | ||||||||
덕적면 | 53.00% | 23.04% | 6.61% | 3.20% | 2.60% | △29.96 | 75.20 | ||||||||
자월면 | 55.22% | 23.58% | 5.52% | 2.98% | 2.23% | △31.64 | 73.76 | ||||||||
영흥면 | 45.25% | 28.50% | 6.35% | 3.87% | 4.21% | △16.74 | 63.54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6.90% | 25.11% | 6.27% | 12.10% | 5.38% | △1.79 | |||||||||
관외사전투표 | 41.16% | 28.67% | 8.71% | 4.69% | 4.73% | △12.49 | |||||||||
재외투표 | 10.00% | 20.00% | 0 | 0 | 50.00% | ▼40.00 |
[1] 사실 16대 총선 당시 새천년민주당 서정화 의원은 원래 군인 출신 인물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보수정당인 신한국당 소속으로 이 지역구 현역 의원이 되었는데, 16대 총선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인 민주당으로 옮겨서 출마했었다. 반면 한나라당 서상섭 후보는 통합민주당에 있다가 통합민주당이 한나라당에 합당되면서 한나라당 소속이 되었다. 거기에다가 자유민주연합 이세영 후보는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중구청장이 되었다가 16대 총선에서는 자민련으로 옮겨서 출마했다. #[2]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바로 대청해전이 이 지역 근해에서 일어났다.[3] 강화군과 달리 옹진군, 특히 서해 5도 지역은 본토에서 멀리 떨어진 섬+최전방 지역이어서 수도권의 이점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지역이다.[4] 1995년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으므로, 14대 국회 종료와 함께 인천으로 선거구가 변경되었다.[5] 95.6.10 의원직 사퇴(경기도지사선거 출마)[6] 15.12.24 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7]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옹진] [9] 불과 71표 차이였다.[10] 지역구 국회의원 : 배준영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11] 연평면, 백령면, 대청면. 서해 5도를 의미한다.[12] 북도면, 덕적면, 자월면, 영흥면. 한때 연안부두 생활권으로 묶여있었다. 또한 1973년 부천군 해체 전까지 대부도와 같이 부천군 소속이었다.[13] 장정민 후보가 문경복 후보에게 9표차이로 승리했다.[A] 당시에는 경기도 소속이었으나, 편의상 이곳에 함께 기록하기로 한다.[A] [옹진] [17] 지역구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안상수[18] 관할 동 : 중구 전체, 동구 전체, 강화군 전체, 옹진군 전체[19] 지역구 국회의원 : 배준영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20] 연평면, 백령면, 대청면. 서해 5도를 의미한다.[21] 북도면, 덕적면, 자월면, 영흥면. 한때 연안부두 생활권으로 묶여있었다. 또한 1973년 부천군 해체 전까지 대부도와 같이 부천군 소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