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01:37:01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고갯길 배틀/결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고갯길 배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고갯길 배틀|[[파일:Assetto_Corsa_Waktaverse_1.png|width=40]]]] {{{#00ff00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고갯길 배틀]]'''}}}[br]{{{#00ff00 '''라운드 일람'''}}}
라운드
1라운드
(4.30~5.2)
3라운드
(5.16~5.17)
4라운드
(5.23~5.24)

1. 개요2. 아키나
2.1. 우승: 삼중추돌2.2. 준우승: 아키나 창천 리턴즈2.3. 6위: 훈도끼17
3. 우스이
3.1. 4위: 레드점프3.2. 7위: 트리플 이케타니3.3. 4R 탈락: 오소이 케르베로스
4. 이로하자카
4.1. 5위: 투신킹4.2. 3R 탈락: 썬더히트4.3. 3R 탈락: 이로하자카 데빌 키즈
5. 하포가하라
5.1. 3위: 고곡곰이라이드5.2. 5R 탈락: 해.루.석5.3. 4R 탈락: 스피드 스타즈

1. 개요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고갯길 배틀의 팀별 결산에 대한 문서이다.

2. 아키나

2.1. 우승: 삼중추돌

1라운드 패배 직후 2라운드부터 고수 GOATIFI와 하수(초보) 세노 모두 강력한 면모를 보이며 탈락 위기를 넘기고 결선에 진출했으며, 4라운드에서는 지금까지 별로 나오는 일이 많지 않거나 성적이 별로였던 중수 피카온이 대활약하면서 풀세트 끝에 기사회생하였다. 결선에서는 GOATIFI[1]와 피카온이[2] 모두 클래스 선두를 먹으면서 캐리했고, 세노가 창천의 중수와 하수를 긴 시간 디펜드하며 피카온에게 시간을 벌어주고 본인도 적절한 순위를 차지하면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2. 준우승: 아키나 창천 리턴즈

고갯길 배틀에서 초반부터 중수와 초보가 뛰어난 실력을 보였고 중반에 가서는 고수도 각성한 모습을 보여주며 본선에서 공동 1위로 결승에 올랐다. 퀄리파잉에서 모두가 좋은 성적을 보여 유력한 우승후보였으나, 초반 사고에 휘말려 중수가 스핀을 했고 상위권까지 올랐갔던 초보도 사고를 당해 중상위권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4점 차이로 2등을 차지했다. 고갯길에서 과도하게 사파, 마교로 몰린 탓에 클린레이싱을 하기 위해 너무 많은 양보를 한 것도 패인으로 꼽힌다.

2.3. 6위: 훈도끼17

결선 진출은 이뤄냈지만 전원 전체적으로 낮은 순위에서 올라가지 못해 아키나 연고 팀 중 혼자 포디움에 들지 못했다.

3. 우스이

3.1. 4위: 레드점프

3.2. 7위: 트리플 이케타니

3.3. 4R 탈락: 오소이 케르베로스

파일:2024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오소이 케르베로스 Eliminated.png

2~3라운드 연속 원정에서 한 라운드도 따지 못한 게 발목을 크게 잡았다.

4. 이로하자카

4.1. 5위: 투신킹

4.2. 3R 탈락: 썬더히트

파일:2024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썬더히트 Eliminated.png

홈 2연전에서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무너져 내린 게 치명타였다.

4.3. 3R 탈락: 이로하자카 데빌 키즈

파일:2024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이로하자카 데빌 키즈 Eliminated.png

절체절명의 순간 지옥의 원정인 우스이 원정에[3] 걸려버리는 불운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5. 하포가하라

5.1. 3위: 고곡곰이라이드

중수에서 4연패가 나오면서 불안한 징조가 보였고 서킷에서도 사고로 포인트를 못 쌓는 등 큰 재미를 보지 못했다. 그럼에도 초보에서 승점을 크게 쌓아 3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뒀다.

5.2. 5R 탈락: 해.루.석

파일:2024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해.루.석 Eliminated.png

4~5라운드에서 중요한 경기를 내준 게 매우 아쉬웠다. 4라운드에서 장기 미출장 선수를 상대로 마지막 방심이 없었거나, 5라운드에서 좋은 차량 픽으로 1경기라도 더 이겼으면 해체를 막고 결선에 진출할 수 있었다.

5.3. 4R 탈락: 스피드 스타즈

파일:2024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스피드 스타즈 Eliminated.png

천양존, 녹초존 밈이 나오는 등 위험 구간에서 치명적인 사고를 내 서킷 라운드에 진출하지 못했다.
[1] 서킷 전체 1위를 하였으며, 중간중간 팀원들의 멘탈과 페이스 관리, 상태 확인 등을 빠짐없이 해내는 노련함을 보였다.[2] 이전 대회에서 피로장 밈이 붙을 정도로 중간 침몰로 실력 대비 성적을 잘 내지 못했다. 팀원들 왈, 고점이 매우 높은데 저점도 매우 낮다고.(또한 이번 대회에서 삼중추돌은 고수와 하수가 스트레이트로 이기거나 지는 경우가 많아서 출전 횟수 자체가 매우 적었던 탓에 '노쇼의 피카온'이라는 별명을 얻었을 정도다.) 심지어 서킷 날 아침에 체하고 토해서 별로 컨디션이 안 좋았다고 한다.[3] 우스이는 코스가 매우 길어 연습할 때도 사고 발생 시 중간에 끊고 다시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원정팀은 중후반을 잘 단련하지 못하고, 배틀에서도 중후반에 홈이 치고 나가 승리하는 일이 많다. 실제로 5라운드 우스이 대결에서 원정팀이 승리한 경우는 창천 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