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22:59:43

왕십리(영화)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임권택 감독 장편 연출 작품
,(1980년 이전 제작),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81818, #181818, #181818, #181818);"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font-size: .7em;"
파일:두만강아잘있거라.png 파일:전쟁과노인.png 파일:망부석(임권택).png
두만강아 잘 있거라 (1962) 전쟁과 노인 (1962) 망부석 (1963)
파일:남자는 안 팔려.png 파일:신문고.png 파일:욕망의결산.png
남자는 안 팔려 (1963) 신문고 (1963) 욕망의 결산 (1964)
파일:십자매선생.png 파일:십년세도.png 파일:영화마마.png
십자매 선생 (1964) 십년세도 (1964) 영화마마 (1964)
파일:단골지각생.png 파일:단장록.png 파일:전장과여교사.png
단골지각생 (1964) 단장록 (1964) 전장 여교사 (1965)
파일:비속에지다.png 파일:왕과상노.png 파일:닐니리.png
비속에 지다 (1965) 왕과 상노 (1965) 닐니리 (1966)
파일:법창을울린옥이.png 파일:나는왕이다.png 파일:망향천리.png
법창을 울린 옥이 (1966) 나는 왕이다 (1966) 망향천리 (1967)
파일:청사초롱.png 파일:풍운의검객.png 파일:요화장희빈.png
청사초롱 (1967) 풍운의 검객 (1967) 요화 장희빈 (1968)
파일:바람같은사나이.png 파일:돌아온왼손잡이.png 파일:몽녀.png
바람같은 사나이 (1968) 돌아온 왼손잡이 (1968) 몽녀 (1968)
파일:십오야의복수.png 파일:황야의독수리.png 파일:비나리는고모령.png
십오야의 복수 (1969) 황야의 독수리 (1969) 비나리는 고모령 (1969)
파일:사나이삼대.png 파일:상해탈출.png 파일:신세좀지자구요.png
사나이 삼대 (1969) 상해탈출 (1969) 신세 좀 지자구요 (1969)
파일:뇌검번개칼.png 파일:월하의검.png 파일:애꾸눈박.png
뇌검 번개칼 (1969) 월하의 검 (1969) 애꾸눈 박 (1970)
파일:이슬맞은백일홍.png 파일:비나리는선창가.png 파일:그여자를쫓아라.png
이슬맞은 백일홍 (1970) 비나리는 선창가 (1970) 그 여자를 쫓아라 (1970)
파일:속눈섭이긴여자.png 파일:밤차로온사나이.png 파일:비검.png
속눈섭이 긴 여자 (1970) 밤차로 온 사나이 (1970) 비검 (1970)
파일:원한의거리에눈이나린다.png 파일:나를더이상괴롭히지마라.png 파일:둘째어머니.png
원한의 거리에 눈이 나린다 (1971) 나를 더이상 괴롭히지 마라 (1971) 둘째 어머니 (1971)
파일:요검.png 파일:30년만의대결.png 파일:원한의두꼽추.png
요검 (1971) 30년만의 대결 (1971) 원한의 두 꼽추 (1971)
파일:명동삼국지.png 파일:돌아온자와떠나야할자.png 파일:명동잔혹사.png
명동삼국지 (1971) 돌아온 자와 떠나야 할 자 (1972) 명동잔혹사 (1972)
파일:삼국대협.png 파일:장안명기오백화.png 파일:잡초(임권택).png
삼국대협 (1972) 장안명기 오백화 (1973) 잡초 (1973)
파일:증언.png 파일:대추격.png 파일:연화(임권택).png
증언 (1973) 대추격 (1973) 연화 (1974)
파일:울지않으리.png 파일:연화(임권택).png 파일:아내들의행진.png
울지 않으리 (1974) 연화(속) (1974) 아내들의 행진 (1974)
파일:어제오늘그리고내일.png 파일:왜그랬던가!.png 파일:낙동강은흐르는가.png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1975) 왜 그랬던가! (1975) 낙동강은 흐르는가 (1976)
파일:아내(임권택).png 파일:왕십리(임권택).png 파일:맨발의눈길.png
아내 (1976) 왕십리 (1976) 맨발의 눈길 (1976)
파일:옥례기.png 파일:임진왜란과계월향.png 파일:저파도위에엄마얼굴이.png
옥례기 (1977) 임진왜란과 계월향 (1977) 저 파도 위에 엄마 얼굴이 (1978)
파일:가깝고도먼길.png 파일:상록수.png 파일:족보(임권택).png
가깝고도 먼 길 (1978) 상록수 (1978) 족보 (1978)
파일:신궁.png 파일:내일또내일.png 파일:깃발없는기수.png
신궁 (1979) 내일 또 내일 (1979) 깃발 없는 기수 (1979)
상세정보 링크 열기
1980년 이후 제작
}}}}}}}}}}}}}}}}}} ||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영화부문 작품상
제11회
(1975년)
제12회
(1976년)
제13회
(1977년)
망나니 왕십리 집념
왕십리 (1976)
往十里 | Wangsimni
파일:왕십리 포스터 A.jpg
다른 포스터 ▼
파일:왕십리 포스터 B.jpg
<colbgcolor=#444><colcolor=#fff> 감독 임권택
원작 조해일
각색 이희우
제작 김용덕
주연 신성일, 김영애, 전영선, 최불암
촬영 이석기
조명 정덕규
편집 김희수
음악 정성조
미술 노인택
제작사 우성사
개봉일 1976년 1월 31일
개봉관 국도극장
관람인원 31,694명

1. 개요2. 출연진3. 줄거리4. 수상

[clearfix]

1. 개요

조해일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1]으로 하는 임권택 감독의 1976년 개봉 영화.

임권택 감독의 장르 영화 중 수작으로 평가받는 이 영화는 "한국 영화에서 현대적 사상성을 가진 인물이 처음 등장하는 영화"라는 평을 들었으며 감독 스스로가 "《왕십리》를 만들고 난 이후 내 영화가 무언가 변하고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면서 "대사보다 심상을 프레임 속에 옮기려고 시도한 최초의 영화"라고 밝혔다.

성동교를 배경으로 역광으로 처리된 신성일최불암의 마지막 포옹 씬은 명장면으로 꼽힌다.

2. 출연진

3. 줄거리

준태(신성일)가 14년 만에 귀국해 왕십리로 돌아온다. 호텔에 여장을 푼 준태는 왕십리를 걸으며 사랑했던 정희(김영애)와의 옛 추억을 떠올린다. 예전에 즐겨 찾던 당구장을 발견한 준태는 여전히 당구장에서 일하는 아저씨(최불암)를 만나 친구들의 소식을 듣고, 그는 충근(백일섭)의 소식을 묻는다. 준태는 친구들을 만나 술잔을 기울이고, 술집에 있던 충근이 준태가 술값을 계산하기 위해 수표를 꺼내는 모습을 훔쳐본다. 아저씨는 친구들에게 호스티스를 주선해 주라고 말하고, 준태는 호텔에 찾아온 윤애(전영선)를 처음 만난다.

사실 준태는 아버지의 유산 상속 문제로 계모와 재판이 붙어 한국에 돌아오지 않겠다고 떠난 것이었다. 왕십리는 많이 변했지만, 정희를 생각하는 준태의 마음은 변하지 않았다. 그는 정희의 안부를 묻지만, 아저씨와 친구들은 잊는 게 좋겠다고만 말한다. 준태가 정희를 찾는다고 신문 광고를 내자, 충근이 찾아와 정희의 집에서 일하고 있다며 그녀와 만나게 한다. 충근과 정희는 같이 동거하고 있다는 사실을 숨기고 준태에게 접근한 것이었다.

준태는 정희의 형편이 어렵다는 말을 듣고 집을 사 주고, 아저씨와 친구들이 정희와 충근의 사이를 알려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둘을 결혼시킨다. 정희가 호텔로 찾아와 옛 추억을 이야기하다가 준태가 잠든 줄 알고 지갑을 훔쳐 돌아간다. 정희는 앞으로 혼자 살겠다며 충근과 실랑이 끝에 지갑을 뺏기지 않고 떠난다. 한편 준태는 윤애를 일본에 데려가려 하지만, 그녀는 고향으로 떠난다. 준태는 일본에서 온 동료 조직원들을 격투 끝에 돌려보내고, 고향인 왕십리에 뿌리내리겠다고 아저씨에게 말한다.[2]

4. 수상



[1] 해당 소설은 1984년 MBC 베스트셀러극장 <왕십리>, 그리고 1993년 KBS 2TV 드라마 <왕십리>로 드라마화된 바 있다.[2] 출처: 임권택 컬렉션 DVD 소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