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서울의 원각사
1.1. 개요
圓覺寺. 조선 세조 11년(1465)에 세조가 왕명을 내려 오늘날 탑골공원 자리에 지었던 절.1.2. 상세
고려 때부터 흥복사(興福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사찰로 조선 태조 때 조계종(曹溪宗)의 본사가 되었다.세조 10년(1464) 4월에 효령대군(孝寧大君)이 회암사(檜巖寺)에서 원각법회(圓覺法會)[1]를 열었다. 세조 10년 5월 2일자 실록#에 따르면, 효령대군이 주최한 원각법회에서 부처의 형상이 나타나고 감로(甘露)가 내렸으며 노란색 가사를 입은 승려가 홀연히 나타나 탑을 돌고 허공에서 사리가 나타나더니 그 숫자가 늘어났다. 효령대군이 세조에게 이러한 이적을 이야기하며 그때 나타난 사리를 보여주자 세조가 함원전(含元殿)에 모시고 기도했더니, 사리의 숫자가 또다시 늘어났다고 한다. 세조는 이러한 이적을 이야기하며 흥복사를 다시 고쳐 세워 원각사라고 이름을 짓겠다고 명령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세조는 조성도감(造成都監)을 설치하고 왕명으로 흥복사를 크게 고쳐 세운 후 원각사라 이름지었다.
세조 11년(1465) 사월초파일에 세조가 직접 방문하여 승려 2만 명에게 공양을 베풀고 죄인을 사면했으며 세금을 감면하였다. 1467년 사월초파일에는 원각사지 십층석탑을 완성하였고 이후로도 절에 무슨 일이 생길 때마다 신하들이 왕에게 하례를 올렸다.
하지만 연산군이 원각사를 기방으로 만들고 기생들과 함께 잔치를 벌이면서 절이 사실상 폐지되었다. 이후 중종 때 원각사를 완전히 헐어버렸고 지금은 탑골공원이 되어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원각사 항목을 참조.
1.3. 절의 구성
1.4. 같이보기
2. 부산의 절
2.1. 개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장산에 위치한 절. 서울의 원각사와는 한자 표기까지 圓覺寺로 동일하나 동명의 다른 사찰이다. 대원각사라고도 부른다.
2.2. 상세
대한불교조계종 범어사 포교원이자 전통호국무예인 금강승 불무도 총본원이며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7호인 현왕도를 보유하고 있다. 매년 하계, 동계에 열리는 금강승 불무도 템플 스테이는 외국인들도 많이 찾아온다. 장산마을과 가까우며 절에서 해운대는 물론 광안리까지 훤히 보이기 때문에 전망이 굉장히 좋다.방문시 원각사로 갈 수 있는 도로가 제126보병여단의 군용 도로가 유일하기 때문에 차량으로 갈 경우 126여단 위병소에서 사전에 출입 신청을 하고 신청서를 작성해 임시 출입증과 신분증을 교환하고 입영해야 하며 도보로 갈 경우엔 장산 등산로를 따라서 갈 수 있기 때문에 군부대를 통과하지 않아도 된다.
군부대를 통과해야 된다는 내용만 보면 접근성이 떨어져 방문객이 많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사실 해운대 신시가지와 매우 가까운데다 출입증 교환도 어렵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방문객이 많다. 특히 주말이나 명절이 되면 방문객이 매우 많아지며 원각사에서 버스와 스타리아 차량도 운영하기 때문에 원각사 차량을 타고 오면 출입증 교환도 필요없다. 가수 전소미의 아버지인 매튜 다우마도 자주 방문하는 절이며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에서 매튜가 원각사에 방문하는 편도 방영되었다.#
3. 원각사(극장)
대한제국의 국립 극장인 협률사를 이인직이 인수해서 개업한 극장이었다.자세한 내용은 협률사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