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15:10:57

원시인 김동우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네이버 웹툰연재작

원시인 김동우
파일:원시인김동우.jpg
장르 판타지
정이리이리
그림 이승찬
연재처 네이버 웹툰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2024. 12. 30. ~ 연재 중
연재 주기
이용 등급 전체연령가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4. 등장인물5. 원시어
5.1. 어휘5.2. 회화

[clearfix]

1. 개요

네이버 판타지 웹툰. 작가는 정이리이리/이승찬.

2. 줄거리

‘눈을 감으면 나는 소년이 된다.’ 원시 소년이 된 변호사 동우, 그 삶의 이야기

변호사 김동우, 열심히 달려왔지만 가족도 일도 온전하게 만족할 만큼 이뤄낸 것이 없다.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소송 관련 준비도 무너진 가족도 그에게는 너무나 큰 스트레스다.
그 때문일까? 동우는 2만 5천 년 전의 원시 소년이 된다.
그런데 꿈이라고 그냥 넘기기에는 너무나 현실같이 생생하다.
원시 가족, 그리고 대자연과 함께하는 원시 소년 동우의 삶.
과거의 그 삶은 지금과 얼마나 다를까? 아니면 얼마나 같을까?

변호사와 원시 소년, 두 개의 삶을 살아가게 되는 동우의 이야기.

3. 연재 현황

네이버 웹툰에서 2024년 12월 30일부터 매주 화요일에 연재된다.

4. 등장인물

  • 김동우 : 본작의 주인공이자 법무법인 「J&G」의 변호사. 모종의 이유로 2만 5천 년 전의 원시 소년이 되어 여러 사건을 겪게 된다.
  • 현대
    • 아내 : 변호사 업무가 바빠 가정에 소홀한 탓에 현재는 사이가 소원해졌다.
    • 수아 : 김동우의 딸.
    • 선배 변호사
  • 원시시대
    • 큰고양이 : 원시인 김동우의 가족을 습격한 맹수. 과거 사람들에게 새끼들을 잃은 적이 있다.
    • 아빠 : 우락부락한 체격에 어두운 피부를 가진 남자. 책임감과 애정이 넘치는 가장으로, 김동우가 아들의 몸에 깃든 줄도 모르고 끔찍이도 아끼고 있다. 김동우에게 원시시대의 삶을 가르친다.
    • 삼촌 : 호리호리한 체격에 밝은 피부를 가진 남자. 김동우와 아빠 이외의 생존자로 따로 떨어져서 생존 중이다가 기적적으로 재회, 합류한다.
    • 이외 가족들 : 습격 당시 도망치지 못한 가족들은 전부 목숨을 잃었으며, 이후 주인공 일행이 집을 다시 찾아갔을 때 주인공의 원시인 엄마, 할머니, 동생 등은 뼈만 남은 처참한 시신으로 방치되어 있었다. 수습한 시신이 5구였고 나머지 2명의 행방을 알 수 없어, 살아있을 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품는다.

5. 원시어

5.1. 어휘

  • 명사
    • al : 것
    • amtang : 동물
    • ana : 어머니, 엄마, 어미
    • asi : 아내
    • bala : 아기, 새끼
    • in : 들판
    • manman : 가족
    • nuu : 위, 윗쪽
  • 대명사
    • na : 나
    • si : 너
    • maan : 우리
    • mann : 우리의[1]
    • u : 저것
  • 수사
    • nuk : 하나
    • tu : 둘
  • 동사/형용사
    • ara : 하다, 해보다
    • bak : 있다, 나오다, 나타나다
    • bar : 가다, 꺼지다
    • barr : 안되다
    • bii : 작다
    • gui : 달리다
    • issiq : 뜨겁다
    • jasa : 살다
    • katan : 잡다
    • ki : 아니다, 않다, 없다
    • kor : 보다
    • kyt : 기다리다
    • ming : 많다
    • muntali : 싸우다
    • nua : 놓다
    • pi : 일어나다
    • pia : 찾다
    • pu : 죽다
    • qorq : 두렵다, 무섭다
    • ulux : 크다
    • untu : 잊다
    • utu : 다치다
  • 부사
    • deo : 더
    • pat : 빨리
    • tut : 꽉
    • a : 깨달았을 때 내는 소리 (아, 아하)
    • ha : 웃을 때 내는 소리 (하하)
    • ho : 입김을 내뿜는 소리 (호호, 후후)
    • ja : 제안할 때 내는 소리 (자)
    • u : 울 때 내는 소리 (엉엉, 흑흑)
  • 의미불명
    • aatan
    • ai
    • an
    • bu
    • cha
    • i
    • ku
    • mu
    • naiman
    • natan
    • tara
    • tos

5.2. 회화

  • ala
    다 왔어
  • bala bak, ana bak
    새끼가 있으면, 어미가 있다
  • bii amtang ming, ulux amtang ki
    작은 동물이 많으면, 큰 동물이 없다
  • deo pat bar
    더 빨리 가자
  • in bak, mu nuu ara
    들판이 나왔어, 나무 위에 집을 지었지
  • jasa? ki, pu?
    살았을까? 아니, 죽었을까?
  • katan tut
    꽉 잡아!
  • maan manman pia
    우리는 가족을 찾는다
  • maan manman untu ki
    우리는 가족을 잊지 않는다
  • mann manman ki
    우리 가족이 아니야
  • ming katan
    많이 잡았다
  • muntali ming pu
    맞서 싸웠다면 모두 죽었을 거야
  • nuk aatan
    하나 ?
  • nuk deo
    하나 더
  • nuu
    위로, 윗쪽으로
  • qorq gui ki muntali ara
    두려워 도망치지 말고 싸워야 했다
  • si al
    너의 것이다
  • si na manman
    너와 나는 가족이다
  • si pu pat ai qorq?
    너 죽이다 빨리 ? 두렵다

[1] 추정. 단순 오타일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