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05:59:58

FIBA 유로바스켓

유로바스켓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ikipedia/en/thumb/c/cd/EuroBasket_2022.svg/1574px-EuroBasket_2022.svg.png

Eurobasket/FIBA EuroBasket

1. 개요2. 역사3. 대회 결과

[clearfix]

1. 개요

유럽에서 개최하는 농구 대회. 간단히 말해서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의 농구판. 농구가 상당히 인기많은 유럽 나라들이 많고 체력이나 덩치로서도 엄청나니 올림픽 농구농구 월드컵 못지않게 치열하고 수준높은 실력을 자랑한다. 사실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같은 몇몇 농구 강호를 빼면 유럽에 농구 강호들이 가득하기에 그 강호들이 나가는 이 대회야말로 준세계 선수권 대회이기도 하다. 1935년부터 시작되어 2년마다 열리며 제2차 세계 대전 때를 제외하고 빼놓지 않고 대회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유럽을 넘어 지구촌 최고의 농구 리그 NBA까지 나아가 굵직한 업적을 남겼던 디르크 노비츠키, 아비다스 사보니스, 파우 가솔, 토니 파커가 바로 이 대회 MVP 출신들이다.[1]

2. 역사

옛날에는 이집트(1937, 1947, 1949, 1953), 레바논(1949, 1953), 시리아(1949), 이란(1959) 같은 아프리카 및 아시아 나라들이 참여했다. 이들 나라들이 유럽 식민지를 겪기도 했지만 독립하고 나서도 이 대회에 나왔었다. 이집트 같은 경우에는 아예 1949년 6회 대회를 개최해서 우승까지 차지했다. 하지만 1959년 이란을 마지막으로 비유럽 나라는 참가하지 않고 유럽 농구연맹 가입국 대회로 발돋움하게 된다. 사실, 아프리카나 아시아는 농구 대회가 아예 없었기에 이들로서도 농구 발전을 위해서라도 유럽 대회라도 나와야했고 그런 정당성도 있었던 것. 그러다가 1960년대 와서 아시아도 아프리카도 자체 대륙 농구 대회를 열면서 이들도 탈퇴하고 각대륙 대회로 나가게 된 거였다. 아시아는 1960년부터 필리핀이 아시아 선수권 대회(FIBA Asia Cup로 이름이 달라진)를, 이집트가 1962년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FIBA Africa Championship)를 개최하게 된다. 다만, 이집트는 1회 대회를 개최하고 우승했지만 이란은 13년이나 지난 1973년 7회 필리핀 대회부터 나가게 되었다.

역대 최다 우승국가는 소비에트 연방으로 무려 14번이나 우승하며 2번째 최다 우승인 유고슬라비아가 거둔 5번 우승 및 리투아니아세르비아가 각각 거둔 3회 우승을 합쳐도 따르지 못한다. 소비에트 연방 해체 이후 러시아는 2007년 대회를 우승했다.

2000년대 와선 스페인이 새로운 강호로 발돋움하며 1999년 대회 이후 4강에서 내려간 적이 한 번도 없다.(우승 3번 및 준우승 3번, 3위 3번, 4위 1번) 2013년 슬로베니아 대회에선 프랑스가 처음으로 우승했으며 2015년 대회는 독일, 프랑스, 크로아티아, 라트비아 4개국이 공동 개최했다. 원래는 우크라이나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정정 불안의 여파로 인해 개최권을 반납했다. 이 대회는 스페인이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리투아니아가 2위, 프랑스가 3위.

2017년 대회 개최국은 2015년 대회가 끝나고 결정난다. 개최 후보에 나선 나라는 폴란드, 영국, 루마니아, 이스라엘, 터키, 그리고 세르비아-마케도니아-불가리아 공동, 리투아니아-라트비아-에스토니아-핀란드 공동개최로 나서고 있는데 이스라엘은 가장 최악(팔레스타인과 갈등)으로 평가받고 있기에 가망이 없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스라엘도 공동개최에 성공했다. 그래서 2017년 대회는 루마니아-터키-핀란드-이스라엘 공동개최로 대회가 진행된다.

2017년 대회 공동 개최국인 터키와 핀란드는 그래도 16강이라도 올라갔지만 루마니아와 이스라엘은 조 꼴찌로 허무하게 탈락했다. 덤으로 전 대회 준우승국인 리투아니아는 16강에서 그리스에게 덜미를 잡혀 탈락하고 3위 프랑스도 독일에게 81-84로 져서 일찍 탈락하는 이변을 낳았다. 전대회 우승국인 스페인은 4강에서 슬로베니아에게 덜미를 잡혀 결승은 세르비아가 슬로베니아와 맞붙으면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나라끼리 처음으로 결승에서 맞붙게 되었다. 그리고 93-85로 슬로베니아가 세르비아를 제치고 우승하면 유고슬라비아 독립 이후 첫 국제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슬로베니아의 고란 드라기치MVP.

이 뒤로 종전 2년마다 하던 대회는 4년마다 열리도록 바뀌어 2021년부터 대회를 개최한다. 독일,체코, 조지아, 이탈리아 4개국 공동개최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이 2021년으로 연기된 탓에 이 대회도 2022년 대회로 연기되었다.

2022년 대회는 유럽 출신의 NBA선수들이 대활약을 하고 있는 시점이기에 가장 이름값이 높은 대회로 주목받았다. 요키치, 돈치치, 아데토쿤보, 고베어등 NBA 최정상급 선수들이 대거 참가했다. 아쉽게도 엠비드는 부상으로 불참. 스페인이 프랑스를 88-76으로 이기고 우승하면서 2000년대 들어 6번 결승에 진출하여 4번 우승이라는 2000년대 최강급 면모를 다시 보였다.

3. 대회 결과

연도 개최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MVP 득점왕
1935 스위스 라트비아 스페인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Rafael Martín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Livio Franceschini
1937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이탈리아 프랑스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Pranas Talzūnas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Rūdolfs Jurciņš
1939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폴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Mykolas Ruzgy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Pranas Lubinas)[2]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Heino Veskila
1941 리투아니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6 스위스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François Németh 파일:폴란드 국기.svg Pawel Stok
1947 체코슬로바키아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이집트 파일:소련 국기.svg Joann Lõssov 파일:프랑스 국기.svg Jacques Perrier
1949 이집트 이집트 프랑스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Hüseyin Öztür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Hüseyin Öztürk
1951 프랑스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프랑스 파일:체코 국기.svg Ivan Mrázek 파일:체코 국기.svg Ivan Mrázek
1953 소련 소련 헝가리 프랑스 파일:소련 국기.svg Anatoly Konev 파일:레바논 국기.svg Ahmed Idlibi
1955 헝가리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소련 파일:헝가리 국기.svg János Greminger 파일:체코 국기.svg Miroslav Škeřík
1957 불가리아 소련 불가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 Jiří Baumruk 파일:벨기에 국기.svg Eddy Terrace
1959 터키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프랑스 파일:소련 국기.svg Viktor Zubkov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Radivoj Korać
1961 유고슬라비아 소련 유고슬라비아 프랑스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Radivoj Korać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Radivoj Korać
1963 폴란드 소련 폴란드 유고슬라비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Emiliano Rodríguez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Radivoj Korać
1965 소련 소련 유고슬라비아 폴란드 파일:소련 국기.svg Modestas Paulauskas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Radivoj Korać
1967 핀란드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Jiří Zedníček 파일:그리스 국기.svg Giorgos Kolokithas
1969 이탈리아 소련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소련 국기.svg Sergei Belov 파일:그리스 국기.svg Giorgos Kolokithas
1971 서독 소련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Krešimir Ćosić 파일:폴란드 국기.svg Edward Jurkiewicz
1973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스페인 소련 파일:스페인 국기.svg Wayne Brabender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Atanas Golomeev
1975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Krešimir Ćosić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Atanas Golomeev
1977 벨기에 유고슬라비아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Dražen Dalipagić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Kees Akerboom
1979 이탈리아 소련 이스라엘 유고슬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Miki Berkovich 파일:폴란드 국기.svg Mieczysław Młynarski
1981 체코슬로바키아 소련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소련 국기.svg Valdis Valters 파일:폴란드 국기.svg Mieczysław Młynarski
1983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소련 파일:스페인 국기.svg Juan Antonio Corbalán 파일:그리스 국기.svg Nikos Galis
1985 서독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 파일:소련 국기.svg 아비다스 사보니스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Doron Jamchy
1987 그리스 그리스 소련 유고슬라비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Nikos Galis 파일:그리스 국기.svg Nikos Galis
1989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소련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드라젠 페트로비치 파일:그리스 국기.svg Nikos Galis
1991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스페인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토니 쿠코치 파일:그리스 국기.svg Nikos Galis
1993 독일 독일 러시아 크로아티아 파일:독일 국기.svg Chris Welp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Sabahudin Bilalović
1995 그리스 FR
유고슬라비아
리투아니아 크로아티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사루나스 마르셜루니스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사루나스 마르셜루니스
1997 스페인 FR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러시아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Aleksandar Đorđević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Oded Kattash
1999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FR
유고슬라비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regor Fučka 파일:스페인 국기.svg Alberto Herreros
2001 터키 FR
유고슬라비아
터키 스페인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페자 스토야코비치 파일:독일 국기.svg 디르크 노비츠키
2003 스웨덴 리투아니아 스페인 이탈리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Šarūnas Jasikevičius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우 가솔
2005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스 독일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디르크 노비츠키 파일:독일 국기.svg 디르크 노비츠키
2007 스페인 러시아 스페인 리투아니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키릴렌코 파일:독일 국기.svg 디르크 노비츠키
2009 폴란드 스페인 세르비아 그리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우 가솔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우 가솔
2011 리투아니아 스페인 프랑스 러시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 파일:프랑스 국기.svg 토니 파커
2013 슬로베니아 프랑스 리투아니아 스페인 파일:프랑스 국기.svg 토니 파커 파일:프랑스 국기.svg 토니 파커
2015 프랑스
크로아티아
독일
라트비아
스페인 리투아니아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우 가솔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우 가솔
2017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스페인
러시아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스페인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고란 드라기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셰베드
2022 체코
조지아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프랑스 독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윌리 에르낭고메즈 파일:그리스 국기.svg야니스 아데토쿤보


[1] 참고로 디르크 노비츠키는 유로바스켓 MVP, FIBA 농구 월드컵 MVP, NBA 정규시즌 MVP, NBA 파이널 MVP를 모두 석권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2] 실제 MVP 였으나 당시 키 제한(1.91m/6'3''ft)에 결려 수상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