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前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 |||
| |||
유민선 柳敏善[1] | Yoo Min-sun | |||
출생 | 2000년 4월 18일 ([age(2000-04-18)]세) | ||
대구광역시 | |||
거주지 | 대구광역시 동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가족 | 부모님, 누나 | ||
신체 | 172cm, O형 | ||
MBTI | ISTP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 ||
ID | <colcolor=#000,#ddd>에퍼황예지, 에퍼홍카콜라 | ||
클럽 | Affirmation
| ||
| |||
포지션 | SPEED ACE[* ~ , RUNNER, 당시 SPEED ACE는 김정제, 이준용, 황혁.] | ||
데뷔 |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팀전 7위(STARLIGHT) | ||
데뷔일 | 2020년 8월 22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0-08-21)]일째, [age(2020-08-22)]주년) | ||
소속 | STARLIGHT (2020. 8. 2. ~ 2022. 11. 8.) '''TUBEPLE Gaming (2021. 6. 4. ~ 2021. 10. 1.)''' '''G-Dynamite ~ (2021. 10. 8. ~ 2022. 6. 21.)''' Glorious H[2] ~ (2022. 7. 10. ~ 2022. 12. 17.) [전환]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2. 플레이 스타일
멘티스 9, 골든스톰블레이드 9가 판을 치던 때에 에퍼 출신의 온라인 초고수로 이름을 알렸다.(당시 2018년 하반기 비 선수 일반인중에서는 3~4번째 손가락 안에 들던 엄청난 고수였다) 리그 데뷔 이전에는 완전한 러너 성향의 주행을 보여줬고, 이후 김정제와 함께 출전한 2020 시즌 2에서는 러너와 미들을 오가며 플레이했다.[4] 이후 2021 시즌 2 튜브플 게이밍에 입단하였을 때는 러너 성향의 선수가 본인밖에 없었기에 골든 스톰 블레이드 X를 전담하여 메인 러너 역할을 수행했고, 2021 수퍼컵 예선에서도 나이트 세이버 V1을 타고 메인 러너 역할을 수행했다.9엔진 시절에는 유명 프로게이머들이 주목했고, 박인재 감독도 러브콜을 보낼 정도로 포텐이 높았었다.[5] 9엔진이 X엔진으로 교체되고 X엔진이 V1엔진으로 교체되면서, 점차 포텐을 터뜨리는 데에 실패한 유망주로 전락했다.[* 더욱 아이러니한 것은 본인의 주행 능력이 '''예선 뿐만 아니라 본선 선수들과 붙여놓아도 꽤나 우수한편
아이템은 카트리그 선수들 중에는 독보적인 최하위권, 아예 할 줄 모른다.[6] 아이템전 최하위권이라고 평가받는 우성민, 김응태 등도 아이템 경력은 약간이나마 있어서, 이 둘보다도 아래 수준으로 보인다. [7] 그래서 아이템전에서는 항상 아이템 에이스와 교체된다.[8] 현재 아이템전을 현역으로 뛰고 있는 정유민[9], 예전에 아이템전도 뛰었던 최민석보다도 몇 수는 아래인 것으로 보이고, 스피드 전문 선수 최태원, 김응태[10]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3. 선수 경력
4. 기록
4.1. 공식 리그
연도 | 대회명 | 순위 | 비고 |
2020 |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팀전 | 7위 | |
2021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개인전 | 20위 | |
2021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개인전 | 27위 | |
2021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팀전 | 8위 | |
2022 |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팀전 | 7위 | |
2022 | 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팀전 | 6위 |
===# 온라인 대회 #===
연도 | 대회명 | 순위 | 비고 |
2019 | 2019년 제 11회 대통령배 KeG 카트라이더 부분 결승전 | 5위 | |
2020 | 최싄 카트 클럽전 시즌 2 | 3위 | [11] |
2020 | 제12회 대통령배 KeG 전국 결선 카트라이더 개인전 | 준우승 |
5. 별명
- 동대구 머신건: 클럽대항전 시즌2 당시 유민선을 동대구 머신건이라고 응원하는 채팅이 올라오며 생긴 별명. 해설진들은 유민선이 리그에 출전한 이후로도 가끔 '동대구 머신건'이라고 불러준다.
- 정유민선: 20-2 스타라이트, 21-2 튜브플 게이밍에서 정유민과 같이 활동하여 붙여진 별명.
6. 여담
- 에퍼메이션 클럽 소속으로 출전한 선수들 중[12] 오랜만에 나온 수준급의 유망주인만큼 에퍼메이션 클럽원들과 팬들 사이에서 인지도와 인기가 높은 편이다. 아예 에퍼메이션의 실력 판독의 기준이 유민선이라는 얘기도 있다.
- 박인재 감독 주최의 복면카왕 시즌2에 민이언즈라는 이름으로 출전했다.
- 나름 이름이 알려진 선수이지만, 다른 선수들의 방송을 통해 게임닉네임이 꽤나 네임드인게 특징. 에퍼황예지라는 닉네임의 오너임이 22년 5월 30일 김승태의 트위치 방송에서 밝혀졌다. 들어온 선수가 민선님이라고 언급한 점, 민선이란 이름의 카트선수는 유민선 한 명에 에퍼메이션 출신이란 점에서 일치한다. 문호준과 다른 선수들의 방송에서 차량 리뷰 및 빌려주는 모습을 보면 선수들과의 사이가 꽤 좋은 듯 하다.[13]
7. 타임어택 영상
매우빠름 팀전 팩토리 두 개의 공장 파라곤 X 1:45:96 1위매우빠름 팀전 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 크로노스 X 1:27:59 1위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G-Dynamite 해체 당시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감독 | 송민선 TheBar | ||||||
해체 당시 로스터 | ||||||||
ACTIVE | SPEED ACE Eux | RUNNER Hack | ||||||
MIDDLE YeChan | HYBRID Banana | |||||||
ITEM ACE Lens | ||||||||
카트라이더 리그 참가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7e00><tablebgcolor=#ff7e00> | Glorious H 2022 수퍼컵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ff712a><colcolor=#fff> 감독 | 공석 | ||||||
로스터 | ||||||||
ACTIVE | SPEED ACE | RUNNER | ||||||
SWEEPER | HYBRID | |||||||
ITEM ACE | ||||||||
카트라이더 리그 참가팀 로스터 | }}}}}}}}}}}}}}} |
[1] 중화권 기준[2] 팀명 변경: Sinkhole → Glorious H, 2022년 10월 22일[전환]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로 전환[4] 이는 본래 미들 역할을 수행해 줘야 했던 최민석과 정유민이 부진한 탓이 컸다. 특히 정유민이 예선에서의 포스를 보여주지 못하고 완전히 짐덩이로 전락하면서 유민선의 부담이 커진 탓도 있다.[5] 2019-1 시즌의 신종민이나, 현재의 고병수와 상당히 유사한 상황이었다. 다만 이들과의 차이점이라면 리그에 지속적으로 얼굴을 내비친 신종민, 고병수와는 달리 유민선은 듀얼레이스X 당시 박인수를 중심으로 한 ROX Gaming의 감독 박인재의 러브콜이 있었음에도 개인 사정(학업문제)로 합류를 거절하며 리그에 출전하지 않았다는 것. 이는 유민선의 카트선수 인생에 있어서 사실상 유일한 역전의 기회였다.[6] 어쩌다 잠깐하는 맛보기로 해 보는 정도이다.[7] 이 둘은 그랑프리 아이템전을 뛰기라도 했지, 유민선은 아예 아이템전을 해 본 적이 없고, 그랑프리도 스피드만으로 점수를 올린다고 한다.[8] 2020-2 정승민, 2021-2 및 2021 수퍼컵 김의열[9] 홍련, 히드라 등을 탑승했다. 물론 아이템전을 많이 해보지 않아서 좋은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고, 그냥 1인분 정도는 기대할 만한 수준이었다.[10] 김응태는 아이템전을 하기 싫어해서 연습을 강제로 시킬 때가 아니면 절대 안 한다고 한다. 타고난 재능은 둘째치더라도 이런 마인드를 갖고 있으면 잘 할 수가 없다.대신 김응태는 스피드전만 놓고 보면 개인전 결승에도 두 번이나 갔다[11] 에퍼메이션 : 한상현, 유민선, 장건, 박대슬[12] 소속으로 출전한 것을 강조한 이유는 김정제, 장건, 홍승민, 민은기, 노준현, 신종민 등 에퍼메이션 출신 스타 선수들 이들 대부분이 에퍼메이션 소속일 때는 온라인 강자로 활동하고 리그 선수로 데뷔한 무렵에는 대부분 다른 클럽으로 옮긴 상태였기 때문. 다만, 장건은 다시 에퍼메이션으로 복귀했다.[13] 샌드박스의 김승태, 정승하, 전 팀 소속이었던 김정제, 정유민, 정승민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