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50000 0%, #DD0203 20%, #DD0203 80%, #A50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킬루케니 왕조 | |||
루케니 루아 니미 | 퀴낭가 | 냐자 | 은쿠우 아 은티누 | |
킬루케니 왕조 | ||||
주앙 1세 | 아폰수 1세 | 페드루 1세 | 프란시스코 1세 | |
킬루케니 왕조 | ||||
디오구 1세 | 아폰수 2세 | 베르나르두 1세 | 엔히크 1세 | |
퀼루 왕조 | ||||
알바루 1세 | 알바루 2세 | 베르나르두 2세 | 알바루 3세 | |
킨강가 왕조 | 퀼루 왕조 | |||
페드루 2세 | 가르시아 1세 | 암브로시우 1세 | 알바루 4세 | |
킴판주 왕조 | 킨라자 왕조 | |||
알바루 5세 | 알바루 6세 | 가르시아 2세 | 안토니우 1세 | |
킴판주 왕조 | 킨라자 왕조 | |||
아폰수 2세 | 알바루 7세 | 알바루 8세 | 페드루 3세 | |
킴판주 왕조 | 킨라자 왕조 | 킴판주 왕조 | ||
알바루 9세 | 하파엘 1세 | 아폰수 3세 | 다니엘 1세 | |
내전기 | 아구아 로사다 왕조 | 킴판주 왕조 | 킨라자 왕조 | |
페드루 4세 | 마누엘 2세 | 가르시아 4세 | ||
킴판주 왕조 | 킨라자 왕조 | 킴판주 왕조 | 킨라자 왕조 | |
니콜라우 1세 | 아폰수 4세 | 안토니우 2세 | 세바스티앙 1세 | |
킴판주 왕조 | 킨라자 왕조 | |||
페드루 5세 | 알바루 11세 | 호세 1세 | 아폰수 5세 | |
왕조 불명 | 킨라자 왕조 | |||
알바루 12세 | 알레이수 1세 | 주아킹 1세 | 엔히크 2세 | |
아구아 로사다 왕조 | 킨라자 왕조 | 킴판주 왕조 | ||
가르시아 5세 | 안드레 2세 | 엔히크 3세 | 알바루 13세 | |
킨라자 왕조 | 아구아 로사다 왕조 | |||
페드루 5세 | 알바루 14세 | 엔히크 4세 | 페드루 6세 | |
아구아 로사다 왕조 | ||||
마누엘 은콤바 | 마누엘 3세 | }}}}}}}}}}}}}}} |
은징가 음벰바의 깃발.
1. 개요
Nzinga Mbemba- 생몰: 1456년 ~ 1542년 또는 1543년
- 재위: 1506년 ~ 1542년 또는 1543년
콩고 왕국의 기독교 군주.
2. 생애
콩고 왕국의 제 6대 마니콩고로 은징가 은멤바(Nzinga Nbemba)라고도 부른다. 은징가 은쿠와의 장남으로 아버지와 함께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아폰수 1세(Afonso I)라는 세례명을 받았으며, 은쿠와가 포르투갈로 보내서 10년 동안 기독교에 대한 교육을 받고 콩고로 돌아간다.콩고 왕국에서 기독교와 토착 종교의 대립이 지속되자 유배를 갔지만 은쿠와 사후 콩고 왕국은 세습이 아니라 후계자 지명에 따른 계승이었기 때문에 아버지가 죽은 것을 숨겼고, 이를 볼 때 은쿠와가 죽기 전에 유배에서 돌아온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은쿠와의 죽음을 숨기면서 수도인 음반자로 돌아가서 추종자를 모았으며, 토착 종교의 지지를 받고 있던 그의 이복동생 음판주 키티마의 군사들과 싸워 음판주를 몰아내고 마니콩고로 즉위하였다. 이후 콩고 왕국을 기독교화하기 위해 유럽의 문화를 도입하면서 포르투갈 왕국의 국왕인 마누엘 1세와 협정을 맺으면서 무역을 하였다. 그러나 이 정책들은 콩고 왕국의 쇠퇴를 불러오게 되었는데 포르투갈이 상투메 섬을 식민지로 지배하여 브라질의 사탕수수 재배를 위해 아프리카에서 노예를 유출하는 등 노예무역을 개시하였다. 이에 노예무역에 가담하여 부를 얻으려는 세력이 나타났고, 1526년에 주앙 3세에게 노예무역을 중지해달라는 서신을 보냈지만 무시당하면서 협정이 폐지되었다. 또한 보수파 세력들로부터는 급진적인 기독교화 정책으로 전통 문화를 무시하는 것이 아니냐는 반발이 일어나 콩고 왕국의 쇠퇴를 초래하였다.
3. 창작물에서
대항해시대 온라인에는 리스본에 운징가 운벵바로 나오기도 한다.문명 6에서는 콩고 문명의 지도자로 등장. 기독교를 받아들였다는 행적을 고증한 건지 종교를 창시할 수 없지만 다른 종교의 창시자 교리까지 받을 수 있다는 지도자 특성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인게임내 이름은 성과 이름의 위치가 바뀐 음벰바 아 은징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