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배역의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태종(조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KBS 대하드라마 장영실(드라마)의 등장인물. 배우 김영철이 연기하며, 대왕 세종에서와 같은 역으로 출연.2. 작중 행적
자신과 조선의 정통성을 확인시켜줄 수 있는, 동시에 새로이 태어난 조선의 백성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구식례를 철저하게 준비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으로 첫 등장하는데, 황희를 자신과 같은 위치로 불러서 동등한 높이에서 대화를 하려했는데, 황희가 머뭇거리며 위에서 하교하시라는 말을 하자 <왜 초야에 든 새각시처럼 행동하느냐?>, <앞에서만 그리 예의차리다가 뒤에서 욕이나 하지 마라>라는 식의 말을 한다든지, 구식례가 잘 되기를 기원하며 자신한테 달떡을 들고 온 양녕과 충녕을 기특한 듯 바라보며, 그들을 안아주고 같이 달떡을 잡으며 기원을 드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이후 연이어 구식레가 실패하자 급기야는 무릎을 꿇으며, 익선관을 벗고 상투를 풀어 머리를 산발을 한 채로 자신의 죄 때문에 이리 하는 것이냐며 절규하고, 다시금 기원하는 모습극중에서는 고려 말 장영실의 아버지인 장성휘와 친밀한 사이였던 것으로 나오는데, 조선 건국 이후 장성휘가 고려의 충신으로 남기를 원하며 관직을 버리고 낙향함으로써 둘의 관계는 깨지게 된다. 하지만 이후에도 장성휘가 이전에 가지길 원했던 자신의 시집을 주려 장성휘가 없는 집에 그를 찾으러 온 것[2]을 보면, 이천으로부터 장성휘가 명나라의 역법을 사용하는 서운관과는 다른 방식으로 관측을 계속 해왔다는 이천의 말을 듣고는 장성휘라면 그럴 줄 알았다며, 그가 예고한 시간에 구식례를 올리겠다
그런데...이후 천상열차분야지도 석각에 고려 부흥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다는 소문이 돌고, 그 비밀을 알아낸 이들이 죽거나 다쳤으며, 더 나아가 고려부흥조직이 괴서를 통해 민심을 움직여 폭동을 일으키는 것을 조장함에도 불구하고, 별 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것처럼 보였으나, 장영실이 이천의 부탁에 따라 석각의 비밀을 찾던 도중, 장성휘가 가지고 있던, 우보[3]이자 곡강처사로 자신을 칭하던 이의 시집에서 석각의 비밀을 아는 듯한 시를 발견했고, 우연히 찾아간 소현옹주 사가에 있던 현판의 필체가 시집의 필체와 일치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이에 대해 장영실이 소현옹주에게 물어본 결과,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나는데....
그러나 태종은 거기에서 끝내지 않고, 유택상에게 그가 왕위에 올리려고 했던 고려 왕족인 왕산의 안전을 보장한다는 조건으로 그들의 명단에 자신의 뜻을 반하는, 세종을 따르는 이들인 정초, 정흠지, 정인지의 이름을 넣게 함으로써 그저 한번
이후 그들의 죽음을 막고자 나선 세종과의 논쟁에서 그의 통치관이 드러나는데, 다음 왕이 이씨 성을 가진 자가 아닐 수도 있다는 마음을 가지고 행동하는, 재상들이 함부로 간섭할 수 없는, 왕 한 사람에 의한 강력한 통치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전제군주제를 절대적으로 신봉하는, 이전 작품들에 나오는 다른 이방원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세종이 이루려고 하는 격물진흥 정책이나, 왕과 신하 간의 토론과 이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통치에 대해서 세종의 아들과 손자를 지나 백년은 지나고서야 가능한 일이며, 젖비린내나는 소리라고 폭언까지 하며 세종을 편전에서 쫓아낸다.
그러나 이천이 석각의 비밀을 알아채어 자신이 감금하고 죽이려 했던 장영실의 형 집행 시간을 늦춰줄 것을 청하며, 수력으로 작동하는 혼상을 비롯하여 그가 그 동안 해왔던 활동에 대해 말함과 더불어 형 집행 날 유성우가 내릴 것이란 사실을 예고했다고 말하자 이런 미친 놈 수준의 반응을 보이며 의아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이천의 충심어린 진언에 마음이 움직여 이를 받아들여 형 집행을 미루고 예고대로 유성우를 보게 되자 그의 재능을 인정하며
그런데 죽기 전에 세종과 장영실, 이천, 소현옹주를 불러 꿈 이야기를 해 주는데, 꿈속에서 본 조선에서는 평생 들어보지 못했던 흥겨운 가락이 흘러나오고 온 세상 사람들이 조선 사람의 재주를 부러워하고 조선 사람들의 생각이 세상을 이롭게 했으며 모든 조선 사람들이 이방원의 아들 이도를 존숭하는 세상이었다고 밝히는데, 대사를 미루어 보면 꿈 속에서 아무래도 현대의 한국을 봤던 것으로 보인다.
[1] 다만 정도전을 죽인 이유를 아주 간단하게 말하기를, 자기가 죽이지 않았다면 분명히 정도전이 자기를 죽였을 것라고.[2] 그런데 장성휘가 그 시집을 계속 간직해 오고 있다가 장영실한테 그것을 물려주며 회상에 잠긴 모습을 보면, 그 역시도 이방원에 대해 애증적인 느낌을 가지고 있는 듯 하다.[3] 어리석은 사나이라는 의미.[4] 다만 이를 빨리 밝히지 않았던 이유는, 시에서 언급한 것처럼 석각을 보며 기뻐하는 아버지인 태조의 마음을 아프게 할 수 없었던 것도 있지만, 자칫 웃음거리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은밀히 움직임으로써 고려부흥조직을 한 곳에 몰아넣어 없애려고 했기 때문이다.[5] 신하와 왕은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6] 황희는 이를 밭갈이라 평하며, 태종이 세종을 자신의 입맛에 맞는 왕으로 만들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