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대 안경상 | 제2대 서정신 | 제3대 김경회 | 제4대 전재기 | ||
제5대 강원일 | 제6대 장응수 | 제7대 지헌범 | 제8대 문종수 | 제9대 김규한 | |
제10대 주광일 | 제11대 원정일 | 제12대 심재륜 | 제13대 최병국 | 제14대 전용태 | |
제15대 강신욱 | 제16대 제갈융우 | 제17대 조준웅 | 제18대 이범관 | 제19대 정진규 | |
제20대 이종백 | 제21대 홍석조 | 제22대 정동기 | 제23대 조승식 | 제24대 이훈규 | |
제25대 신상규 | 제26대 김수민 | 제27대 정진영 | 제28대 김학의 | 제29대 김병화 | |
제30대 정병두 | 제31대 최재경 | 제32대 강찬우 | 제33대 김진모 | ||
제34대 이금로 | 제35대 공상훈 | 제36대 김우현 | 제37대 이정회 | 제38대 고흥 | |
제39대 이두봉 | 제40대 심우정 | 제41대 송강 | 제42대 송강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1e4a71><colcolor=#fff> 대한민국 제37대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이정회 李廷會 | |
출생 | 1966년 |
경상북도 상주시 | |
학력 | 계성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
현직 | 법무법인 플래닛 대표변호사 |
경력 | 제33회 사법시험 합격 제23기 사법연수원 수료 인천지방검찰청 형사5부 부장검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안2부 부장검사 수원지방검찰청 형사1부 부장검사 춘천지방검찰청 원주지청장 수원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장 창원지방검찰청 검사장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직 검사이자 현직 변호사.2. 생애
경북 상주 출신으로, 계성고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1991년 제33회 사법시험에 합격 후 1994년에 사법연수원을 수료했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23기.[1]1997년에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발령받으면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고 1999년, 수원지방검찰청 평택지청 검사, 2000년, 대전지방검찰청 검사, 2003년, 수원지방검찰청 검사, 2005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 등을 했고 2006년에 대전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가 되면서 부부장검사로 승진했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인 2008년에는 울산지방검찰청 공안부장이 되면서 부장검사로 승진했고 2009년에는 대구지방검찰청 공안부장과 대검찰청 공안2과장을, 2010년에는 대검찰청 공안1과장을, 2011년에는 인천지방검찰청 형사5부장을, 2012년에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안2부장을 맡으면서 줄곧 공안통 검사로 불려왔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인 2013년에는 수원지방검찰청 형사1부장을 맡았고 2014년에는 춘천지방검찰청 원주지청장을 맡으면서 차장검사로 승진했으며 2015년에는 수원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를, 2016년에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를 맡았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인 2017년에는 검사장으로 승진해서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장이 되었으며 2018년에는 창원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발령이 났다. 동기인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이 검찰총장으로 취임한 2019년 인사에서는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영전했다.
2020년 7월에 사의를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