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e0e0e0> 이지훈 李枝薰 |
필명 | 오토바이를 탄 여교수 |
성별 | 여성 |
출생 | 1952년 ([age(1952-01-01)]세)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학사) 올버니 대학교 (연극학 / 1977년 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박사)[1] |
경력 | 극단 TNT 레퍼토리 대표 희곡읽기 창작 연구소 D Forum 대표 창원대학교 국립창원대학교 명예교수 |
직업 | 명예교수 |
링크 |
[clearfix]
1. 개요
국립창원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에서 재직 중인 명예교수.2. 상세
이지훈 명예교수는 국립창원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영미 희곡을 전공했으며, 1981년에 교수로 임용되었다. 1982년에 영국 작가 해럴드 핀터의 부조리극 '방(The Room)'을 무대에 올리며 연극 활동을 시작하였고, 같은 해 '극단 무대'를 창단했다. 이후 1980년대에는 창원을 중심으로 영미극을 번역·소개하며 지역 연극 문화의 발전에 기여했다. 2010년부터는 활동 무대를 서울로 확장하여 대학로에서 '운전 배우기', '장엄한 예식', '빠뺑 자매는 왜?' 등의 작품을 국내 초연했고, 창작극 '나의 강변북로', '우리는 모두 무엇이 되었다', '13인의 아해가 무섭다고 그리오' 등을 공연했다. 미국 UCLA대학, 브라운대학, 일본 동지사대학에서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현재는 창원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대표로 있는 '극단 TNT레퍼토리'는 2022년 창단 40주년을 맞이했으며, 같은 해 서울연극협회로부터 '특별공로상'을 수상하였다. 이 상은 극단이 30년간 경남에서, 이후 10년간 서울에서 활동하며 대한민국 연극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여되었다.
온라인 웹진 《이프》에 “오토바이를 탄 여교수”라는 필명으로 연극에 관한 칼럼을 쓰고 있다.
3. 수상/선정
- 1994년 신인문학상(희곡) 여성신문사
- 2015년 올빛상(극작) 한국여성연극협회
- 2020년 아르코 창작산실 작품 공모 선정 〈여로의 끝〉
- 2022년 서울연극협회로부터 특별공로상 수상 극단 TNT레퍼토리 창단 40주년
4. 창작희곡집
- 「기우제」 2007 (평민사)
- 「나의 강변북로」 2021 (평민사)
5. 희곡 번역/출판
- 「카릴 처칠 희곡집: 비네가 탐, 클라우드 나인」 평민사
- 「운전배우기」 폴라 보글, 지만지
- 「빨래」 필립 칸 고탄다, 지만지
- 「이 집에 사는 내 언니」 웬디 케쓸먼, 지만지
- 「포럼으로 가는 길에 생긴 재밌는 일」 플로투스 원작, 지만지
- 「넘버」 카릴 처칠, 지만지
- 「여로의 끝」, 독서학교
6. 편간
- 「셰익스피어와 사랑에 빠지다」 북스힐
7. 대표 연출 작품
- 〈비네가 탐〉
- 〈진흙〉
- 〈네 여자〉
- 〈오늘 밤은 코메디〉
- 〈운전배우기〉
- 〈크라프의 마지막 테이프〉
- 〈십삼인의아해가무섭다고그리오〉
- 〈빠뺑 자매는 왜〉
- 〈장엄한 예식〉
- 〈나의 강변북로〉
- 〈V Monologue〉(낭독극)
- 〈빨래〉(낭독극)
- 〈세 자매〉(낭독극)